• 제목/요약/키워드: %24LR_3%24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187초

로봇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간 종양의 실시간 움직임 측정과 방사선수술 시 호흡추적장치의 정확성 평가 (Evaluation of Real-time Measurement Liver Tumor's Movement and $Synchrony^{TM}$ System's Accuracy of Radiosurgery using a Robot CyberKnife)

  • 김가중;심수정;김정호;민철기;정원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63-270
    • /
    • 2008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로봇 사이버나이프의 호흡추적장치($Synchrony^{TM}$ Respiratory motion tracking system)을 이용하여 방사선수술을 시행한 간 종양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중 실시간 종양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방사선 수술시 호흡추적장치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사이버나이프 치료를 시행한 간 종양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호흡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총 64회의 시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간 종양 근처에 $4{\sim}6$개의 금침을 삽입하였고 치료계획용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세웠다. 매 치료 시 금침의 위치는 치료계획 시 만들어진 디지털 재구성 방사선 영상(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y; DRR)과 실시간으로 촬영되어진 방사선영상(X-ray image)으로 확인하고, 이 결과를 MTS (Motion Tracking System)을 통해 Mtsmain.log 치료파일 형식으로 저장하여 종양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또한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수술 시 호흡추적장치의 정확성은 실시간 금침의 위치와 미리 예측된 좌표 사이의 상관관계 오차(Correlation Error)로 평가하였다. 결 과: 간 종양의 직선형태 움직임은 SI (Superior-Inferior)방향으로 최대 23.5 mm, 평균 $13.9{\pm}5.5\;mm$, LR (Left-Right)방향으로 최대 3.9 mm, 평균 $1.9{\pm}0.9\;mm$, AP (Anterior-Posterior)방향으로 최대 8.3 mm, 평균 $4.9{\pm}1.9\;mm$였으며 간 종양의 회전 운동 정도는 X (Left-Right)축 회전은 최대 $3.3^{\circ}$, 평균 $2.6{\pm}1.3^{\circ}$, Y (Cranio-Caudal)축회전은 최대 $4.8^{\circ}$, 평균 $2.3{\pm}1.0^{\circ}$, Z (Anterior-Posterior)축 회전은 최대 $3.9^{\circ}$, 평균 $2.8{\pm}1.1^{\circ}$로 측정되었다. 또한 치료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상관관계 오차는 평균 $1.1{\pm}0.7\;mm$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방사선 수술 중 간 종양의 실시간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로봇 사이버나이프의 호흡추적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수술의 정확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간 종양의 방사선 수술이나 일반적인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치료용적의 결정과 움직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된다.

한방병원에 입원한 수족냉증을 동반한 추간판탈출증 환자에 대한 한방 치료 1례 (A Case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Including Gyejifabuja-tang-gmibang and Acupuncture in a Patien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 A Case Report)

  • 윤상훈;김상윤;왕연민;백길근;이유진;이형철;강만호;박성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071-1082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icacy of us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cold hypersensitivity of the hands and fee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Case presentation: We used Korean medicine treatment (Gyejigabuja-tang, acupuncture) to treat a hospitalized patient with cold hypersensitivity of the hands and fee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o evaluate the treatment, we used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The degree of cold hypersensitivity of the hands and feet was also evaluated using evaluation paper. The generic health status was measured using the European Quality of Life-5 Dimensions (EQ-5D) scale. The 31-year-old female underwent 13 days of inpatient treatment. Her pattern identification was that both hands and feet are cold (BiYangHeo) types. The treatments were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She took Gyejigabuja-tang for 13 days. She also received acupuncture for 20 minutes twice a day at LI11 (曲池), L14 (合谷), TE5 (外關) on her hands, LR3 (太衝), SP6 (三陰交), SP9 (陰陵泉) ST36 (足三里), GB41 (足臨泣) on Feet, GV4 (命門), GV3 (腰陽關), BL23 (腎兪), BL24 (氣海兪), BL25 (大腸兪), and BL26 (關元兪) on the low back. After 2 weeks of treatment, the NRS scale of her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symptoms dropped from NRS 7 to NRS 3, and her low back pain dropped from NRS 6 to NRS 3. Her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evaluation paper score decreased from 64 to 32, and her EQ-5D increased from 0.487 to 0.681. After the end of treatment, continued symptom improvements and no significant side effects were confirmed. Res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 (Gyejigabuja-tang, acupuncture) may be effective for treating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he NRS, evaluation paper, and EQ-5D scores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no side effects.

체질에 따른 침치료가 특발성 파킨슨 환자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Constitution-dependent Acupuncture Treatment for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on Heart Rate Variability)

  • 김행범;이민호;이소영;남동우;양동훈;최양식;박연철;고형균;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63-174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Heart Rate Variability(HRV)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s: Subjects were voluntarily recruited through newspaper and internet advertisement. All the subjects were confirmed as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by a neurologis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was acupunctured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Standard group was acupunctured on $LR_3$, $GB_{34}$ and $ST_{36}$. Control group was sham-acupunctured. Acupuncture was applied 2 times a week for four weeks by an oriental medical doctor at Kyung-hee Oriental Medical Hospital. The patients were assessed by HRV before and 4 weeks after the treatment.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experimental group, increase in SDNN, TP, LF, HF Non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4 weeks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2. In standard group, increase in SDNN, TP, LF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4 weeks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3. After 4 weeks of treatment SDNN, LF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ufferences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acupuncture treatment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and other specific acupuncture treatment can be beneficial for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Further study on various acupuncture treatment for Parkinson's disease is required.

  • PDF

모유 수유 중인 산욕기 환자의 두드러기 치험 1례 (A Case of Urticaria occurred to a Breastfeeding Patient in Postpartum Period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 강동원;강세현;박중군;황덕상;김윤범;김규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0-149
    • /
    • 201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on a breastfeeding woman's postpartum urticaria which was unresponsive to a 1st generation antihistamine and a topical steroid. Methods : Wheals and pruritus occurred to a 36-year-old breastfeeding woman 2 days after the parturition. Symptoms were unresponsive to about a week of systemic antihistamine and topical steroid treatments. GamiSamul-tang herbal decoction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a day for the first 21 days and twice a day for the next 10 days of the treatment. Acupuncture treatment was applied to 12 acupoints (both sides of LI04, LR03, ST36, LI11, SP10, SP6) for 15 minutes once a week, 5 times in total. The patient's symptom was evaluated with Weekly Urticaria Activity Scale (UAS7) and Visual Analogue Scale for Worst Pruritus within 24 hours ($VAS_{Pruritus}$) each time the patient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Results : The scores of UAS7 and $VAS_{Pruritus}$ at the baseline were 38 and 8.2 respectively. 10 days after the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reatment began, both decreased to 0 and wheal, pruritus, erythema didn't appeared again for the rest of the follow up period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using GamiSamul-tang and acupuncture to treat postpartum urticaria.

인진오령산(茵陳五苓散)약침이 DEN으로 유발된 흰쥐의 간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duced by Diethylnitrosamine(DEN) in Rats)

  • 류미선;김성필;김재홍;류혜선;윤여충;신정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39-55
    • /
    • 2011
  • Objectives : Inchinohryungsan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hepatobiliary diseas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 rats. Sprague Dawley(SD) rats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50 mg/kg DEN, weekly for 12 weeks. Methods :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was not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not treated. Control group was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injected with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into the root of tail. Experimental groups were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BL group was injected with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into the $BL_{18}$ and $LR_{14}$, BG group was injected into the $BL_{19}$ and $GB_{24}$ and CSC group was injected into the $CV_{12}$, $ST_{25}$ and $CV_4$. Thereafter, the changes of the body weight, the liver weight and the weight of liver/100g body weight, WBC, neutrophil, lymphocyte and the activities of AST, ALT, ALP, LDH, AFP and SOD were measured. And gross anatom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re performed. Results :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ies of LD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SC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The activities of AF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L, BG, CSC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The activities of SOD were increased in the BL, BG, CSC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CSC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normal group. 4. According to the gross anatomical observation, the control and BL, BG, CSC groups showed multi-nodular hepatocellular carcinoma. But the size and numbers of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in experimental groups were smaller than control group. 5. The numbers of hepatic p53 positive cells were decreased in the BL, BG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6. According to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the BL, BG and CSC groups were mildly improved than control group in morph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may have some effects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duced by DEN in rats.

이온빔을 이용한 Prepreg의 표면처리가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파괴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이경엽;신동혁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7-17
    • /
    • 2000
  • 탄소섬유/에폭시 적충복합재는 경량성 및 비강도, 비강성이 우수해 최근 들어 항공기, 자동차, 우주선 등에 대한 적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적충복합재 구조물에 있어 최대 약점 중 하나는 적충된 면이 서로 떨어지는 충간분리가 발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탄소섬유/에폭시 적충복합재의 파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리프레그 (prepreg)를 이온빔으로 표면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프리프레그를 $Ar^+$ 이온도 움반응법에 의해 표면처리 하였으며 이를 적용, 열림모드 파괴특성을 검토하였다. 즉 표준 프리프레그와 표면처리 된 프리프레그를 이용 $0^{\circ}$ 단일방향 DCB(Double Cantilever Beam)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파괴시험을 수행하였다. 파괴시험으로부터 파괴 저항곡선(R-곡선)을 결정하여 이를 비교 검토함으로서 프리프레그의 표면처리가 파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층간분리 길이가 동일한 경우 표면처리한 경우의 컴플라이언스가 표면처리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파괴하중 값은 컴플라이언스와 반대현상을 나타낸다. 즉 표면처리한 경우의 파괴하중 이 표면처리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표면처리 한 시편의 경우 R-곡선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즉 표면처리 한 경우의 열림모드 파괴이성, $G_{Ic}$ 값은 표준 시편의 값보다 24% 높았다. 이는 프리프레그의 표면처리 가 충과 충간의 접착강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탄소섬유와 에폭시 간의 계면력을 증가시킨데 기인하는 것으로 사려된다.되었으며, duty-on 시간의 증가에 따라 $Cr_2N$ 상의 형성이 점점 많아져 80% duty-on 시간 경우에는 거의 CrN과 $Cr_2N$ 상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uty-on 시간이 증가할수록 회절피크의 세기가 증가하여 결정화가 더 많이 진행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바이어스 펄스이 주파수에 다른 결정성의 변화도 펄스의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박막이 결정성이 좋아지고 $Cr_2N$ 상이 쉽게 형성되었다. 증착 진공도에 따른 결정성은 상대적으로 질소의 농도가 높은 낮은 진공도에서는 CrN 상이 주로 형성되었으며, 반대로 높은 진공도에서는 $Cr_2N$ 상이 많이 만들어졌다. 즉 $1.3{\times}10^{-2}Torr$의 증착 진공도에서는 CrN 상만이 보이는 반면 $9.0{\tiems}1-^{-2}Torr$ 진공도에서부터 $Cr_2N$ 상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5.0{\tiems}10^{-2}Torr$ 진공도에서는 두개의 상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박막의 내마모성을 조사한 결과 CrN 박막의 마찰 계수는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후 0.5에서 0.6 사이의 값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Cr_2N$ 박막도 비슷한 거동을 보였다.차 이, 목적의 차이,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

  • PDF

백서 기관지 천식 모텔에서 난황에 의한 기도염증과 기도반응 (Airway Inflammation and Responses in the Bronchial Asthma Model in Sprague-Dawley Rats Sensitized by Ovalbumin)

  • 나문준;이병훈;안창혁;김재열;박인원;최병휘;허성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33-44
    • /
    • 2000
  • 연구배경: 기관지천식은 기도의 과민성을 특징을 지닌 기도의 염증성 질환이며, 기관지천식에서의 기도 염종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기관지천식의 병인과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백서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일실 체용적 변동기록기을 이용하여 항원에 의한 반응을 관찰하여 기관지천식의 모델을 확립하고, 사람 기관지 천식과의 유사성을 알아보고자 백서의 기관지천식 모텔에서 기도의 염증을 관찰하여 항원에 의한 기도의 반응 양상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백서 30마리에 0.1mg의 난황을 피하로 주입하여 감작시키고, 감작후 14-16일 항원유발시험을 시행하여 각 10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기도의 반응을 관찰하면서 1시간, 6-8시간, 24시간 후에 사망시켜 폐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 10마리는 감작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원을 흡입하고 1일 후에 사망시켰다. 기도반응은 동물용 일실 체용적 변동기록기를 사용하여 enhanced pause(Penh)를 지표로 측정하였다. 병리소견은 백서를 사망시켜 폐와 기관지를 절제한 후 Hematoxylin Eosin으로 염색하여 기관, 대기관지 및 소기관지 및 혈관주위에서 염증반응과 호산구 침윤을 관찰하였다. 결 과: 항원 유발시험을 시행한 20마리중 총 17마리(85%)에서 항원에 의한 기도의 수축반응을 보였다. 이들중 15 마리(75%)에서 조기반응을, 5 마리(25%)는 이중반응을 보였고 2마리(10%)는 후기반응만을 보였다. 항원 유발 후 기관, 대기관지, 소기관지와 혈관주 위에서의 염증반응은 1시간군, 6시간군, 1일군모두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항원유발시험후 호산구의 침윤은 1시간군과 대조군에서는 호산구의 침윤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나, 6시간군은 5마리(50%)에서 호산구의 침윤을 관찰하였으며, 대조군과 유의한 호산구의 침윤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조기반응과 후기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던 6시간군과 1일군에서 조기반응군(조기반응만을 보인 백서, n=10)과 후기반응군(이중반응과 후기반응만을 보인 백서, n=7) 에서 염증의 침윤은 모든 부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산구의 침윤은 조기반응군에는 10마리중 4마리(40%)에서 $0.7{\pm}1.1$등급이었으며, 후기반응군은 7마리중 4 마리(57.1%)에서 $1.0{\pm}1.0$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결 론: 백서의 기관지천식 모델에서 항원에 의한 기도의 수축 반응은 높고 반응률을 보였으나 기도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지는 않으며, 호산구의 침윤도 미약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백서 기관지 천식모델은 항원에 의한 기도 반응의 연구에는 좋으나, 사랑의 만성 기관지 천식을 연구하기에는 적당치 못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