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eO_2%24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충주지역 희유원소광상에서 산출되는 갈렴석의 지구화학적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lanite from Rare Metal Deposits in the Chungju Area, Chungcheongbuk-Do (Province), Korea)

  • 박맹언;김근수;최인식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5호
    • /
    • pp.545-559
    • /
    • 1996
  • Rare metal (Nb-Zr-REE) ore deposits are located in the Chungju area. Geotectonically, the rare metal ore deposits are situated in the transitional zone between Kyeonggi massif and Okcheon belt. The rare metal deposits are distributed in Kyemyeongsan Formation which consist of schist and alkaline igneous rocks. Alkali granite has suffered extensive post-magmatic metasomatism and hydrothermal processes. The ore contains mainly Ce-La, Ta-Nb, Y, Y-Nd, Nd-Th group minerals. More than 15 RE and REE minerals are found in the ore deposits. Allanite, one of the Ce-La rich REE minerals belonging to the epidote group, is the most common mineral in the studied area. The allanite- bearing rocks may be devided into seven types by features of occurrence and mineral associations; zircon type (ZT), allanite-vein type (AT), feldspar type (KT), fluorite type (FT), quartz-mica type (QT), iron-oxide type (MT), and amphibole type (HT). The allanite veins (AT) and zircon rich rocks (ZT) contain the highest total REE contents. Differences in REE abundance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varying portions of magmatic hydrothermal fluid. Petrographical and chemical data are presented for allanites which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types. The allanites show wide variations in optical properties, due in part to differences in their chemical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types) and to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the individual specimens. Allanite metamicts in biotite are generally surrounded by well developed pleochroic haloes. Usually, allanite is accompanied by zircon and other REE-bearing minerals. CaO and total REE contents $({\sum}RE_2O_3)$ range from 9.29 to 18.79% and 11.66 to 26.31%, respectively. Also, SiO, (28.87~32.61%), $Al_2O_3$ (8.30~16.88%), and $Fc_2O_3$ (16.74~24.38%) contents show varying contents from type to type. The ${\sum}RE_2O_3$ of allanite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e_2O_3$ and negative relaton with CaO, $SiO_2$, and $Al_2O_3$ Backscattered electron microscope images (BEl) of allanite shows that the its mineral composition and texture is very complex. The allanite-bearing hosts show distinct light REE enrichment with strong negative Eu anomaly except for HI. The HT has an almost flat REE distribution pattern with a small negative Eu anomaly. The chemical variation of the allanites with occurrences and mineral association can be related to condition of temperature and oxidation states in precipitation environment.

  • PDF

MR유체를 이용한 미세 채널구조물의 표면연마 (Surface polishing of Micro channel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 이승환;김욱배;민병권;이상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73-1876
    • /
    • 2003
  • Magneto-rheological polishing is a new technology used in precision polishing. It utilizes magneto-rheological fluid. nonmagnetic polishing abrasive, aqueous carrier fluids in magnetic field to remove material from a part surface. Silicon micro channel as work piece is fixed in the slurry which is made of MR fluid and CeO$_2$(10 vol%) abrasive particles. And permanent magnet rotate in the slurry to transfers magnetic force to abrasive particles by increasing yield strength of MR fluid. so, the obtained bottom surface roughness of micro channel by experiment reduced to Ra 0.010 $\mu\textrm{m}$ Rmax 0.103 $\mu\textrm{m}$ and finwall surface roughness of micro channel reduced to Ra 0.018 $\mu\textrm{m}$ Rmax 0.468 $\mu\textrm{m}$. At optimum conditions of variables, the workpiece as silicon micro channel have about 24 times smaller surface roughness than before polishing.

  • PDF

12wt% Co 담지 촉매에서 합성오일 제조시 조촉매 효과 및 반응조건 영향 분석 (The Effect of Promotor and Reaction Condition for FT Oil Synthesis over 12wt% Co-based Catalyst)

  • 박연희;이지윤;정종태;이종열;조원준;백영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47-254
    • /
    • 2014
  • The synthesis of Fischer-Tropsch oil is the catalytic hydrogenation of CO to give a range of products, which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diesel fuel, gasoline and linear chemicals. Our cobalt based catalyst was prepared Co/alumina, silica and titania by the incipient wet impregnation of the nitrates of cobalt and promoter with supports. Cobalt catalysts was calcined at $350^{\circ}C$ before being loaded into the FT reactors. After the reduction of catalyst has been carried out under $450^{\circ}C$ for 24hrs, FT reaction of the catalyst has been carried out at GHSV of 4,000/hr under $200^{\circ}C$ and 20atm. From these test results, we hav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ing ; in case of 12wt% Co-supported $Al_2O_3$, $SiO_2$ and $TiO_2$ catalysts, maximum activities of the catalysts were appeared at the promoters of Mn, Mo and Ce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12wt% $Co/Al_2O_3$ added a Mn promoter was about 3 times as high as that of 12wt% $Co/Al_2O_3$ catalyst without promoters. When it has been the experiment at the range of reaction temperature of $200{\sim}220^{\circ}C$ and GHSV of 1,546~5,000/hr, the results have shown generally increasing the activities with the increase of reaction temperature and GHSV.

온도 변화에 따른 YAG 및 Silicate형광체 기반 백색 LED의 광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Temperature Effect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YAG and Silicate Phosphor-based White Light Emitting Diodes)

  • 최현우;고재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5-14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YAG:Ce와 $(Sr,Ba)_2SiO4:Eu$ 등 두 종류의 형광체를 사용하여 백색 LED를 제작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각각의 백색 LED의 발광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80^{\circ}C$ 사이의 구간에서 측정된 두 백색 LED의 발광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 asymmetric double sigmoidal 함수를 활용하였다. 이 함수를 백색 LED의 청색 발광 및 황색 발광 피크에 적용해서 각 피크의 중심파장과 진폭, 반치폭 및 비대칭성을 온도의 함수로 구하였다. 그 결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청색 피크의 중심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천이되고 황색피크의 중심파장이 단파장 쪽으로 천이되며 비대칭성 또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백색 LED의 색도변화에 반영되었는데, 실리케이트계 형광체 기반 LED의 색도 변화가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발광효율 역시 온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YAG 형광체 기반 LED의 발광효율 저하 폭이 더 적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YAG 형광체 기반 백색 LED가 실리케이트계 형광체 기반 LED에 비해 색도안정성, 발광효율, 연색지수 측면에서 더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Enhanced photon shielding efficiency of a flexible and lightweight rare earth/polymer composite: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 Wang, Ying;Wang, Guangke;Hu, Tao;Wen, Shipeng;Hu, Shui;Liu, L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7호
    • /
    • pp.1565-1570
    • /
    • 2020
  • Photons with the energy of 60 keV are regularly used for some kinds of bone density examination devices, like the single photon absorptiometry (SPA). This article reports a flexible and lightweight rare earth/polymer composite for enhancing shielding efficiency against photon radiation with the energy of 60 keV. Lead oxide (PbO) and several rare earth element oxides (La2O3, Ce2O3, Nd2O3) were dispersed into natural rubber (NR) and the photon radiation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composites were assessed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For 60 keV photons, the shielding efficiency of rare earthbased composites were found to be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lead-based composite, which has bad absorbing ability for photons with energies between 40 keV and 88 keV. In comparison with the lead oxide based composite, Nd2O3-NR composite with the same protection standard (the lead equivalent is 0.25 mmPb, 0.35 mmPb and 0.5 mmPb, respectively), can reduce the thickness by 35.29%, 37.5% and 38.24%, and reduce the weight by 38.91%, 40.99% and 41.69%, respectively. Thus, a flexible, lightweight and lead-free rare earth/NR composite could be designed, offering efficient photon radiation protection for the users of the single photon absorptiometry (SPA) with certain energy of 60 keV.

체외에서 성숙되고 수정된 소 난자의 배반포 형성에 있어 항산화제의 역할 (Effect of Thiol Compounds on the Blastocyst Formation of In Vitro Matured and Fertilized Bovine Embryos)

  • 정미용;도정태;엄진희;엄상준;김남형;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3-300
    • /
    • 1998
  • 본 연구는 체외에서 성숙되고 수정된 소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thiol compound인 $\beta$-mercaptoethanol($\beta$-ME)과 cysteine(CYS)의 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한 후 TCM-199 배양액내에서 24시간 동안 성숙을 유도하였다. 수정은 Fert-TALP 배양액에서 실시하였으며, 2세포기로 발달한 수정란만을 선별하여 CR1aa 배양액내에 $\beta$-ME 및 CYS를 첨가하여 체외배양하였다. 실험 1에서는 $\beta$-ME과 CYS의 최적농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0, 5, 25, 125$\mu$M의 $\beta$-ME과 0, 0.01, 0.1, 0mM의 CYS이 첨가된 배양액에 2세포기 난자를 9일 동안 배양하면서 배반포까지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5$\mu$M의 $\beta$-ME 그리고 0.1mM의 CYS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각각 30.7%와 31.0%로 대조군의 발달율(8.0%, 1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실험 2에서는 배반포 형성에 있어 최적농도인 25$\mu$M의 $\beta$-ME과 0.1mM의 CYS을 각각 초기배(2$\longrightarrow$8세포기)와 후기배 (8세포기 이후) 배양시 첨가하였을 때,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후기배양시 25$\mu$M의 $\beta$-ME과 0.1mM의 CYS이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각각 60.2%와 43.1%로 초기배 배양에서의 첨가군(18.2%, 23.7%)과 대조군(22.5%, 18.1%)에 비해 유\ulcorner거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배양액내 $\beta$-ME과 CYS의 첨가는 체외에서 생산된 소 난자의 배발달율을 향상시키며, 초기배 수정란의 genome 활성이 일어나는 시기 (8~16 세포) 이후에 첨가효과가 큼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쥐 2-세포배아에 의한 시험관아기 배양용 대아제대혈청의 절적평가에 관한 연구 (Quality Assay of Human Fetal-Cord Serum for Human IVF-ET with Mouse 2-Cell Embryos)

  • 문신용;신창재;정구민;오선경;방명걸;장윤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39-146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ative variation of human fetal-cord sera (HCS) and to accept the sera in human lVF-ET program. One hundred and sixteenth RCS were tested with 1772 2-cell embryos of F1 (C57BL x CBA) virgin mice, Ten to sixteenth embryos were cultured in m-KRB medium with a aliquot of each serum (10%, v/v) or with bovine serum albumin(O.4%, w/v) as a control medium. Embryonic development were recorded at every 24hr for 4 days by such events as cellular compaction, cavitation, and hatching. In the control groups of eight assays, 98.1%(106/ 108) of 2-ce1l embryos developed above expanded blastocyst and the embryonic development was unified through the tests. But the developmental pattern in medium with each serum was various. Namely, the sera that supported development of 100% 2-cell embryos to above morula, early blastocyst, expanded blastocyst and hatching blastocyst was 45,7%(53/116) , 35.3%(41/116), 15.5%08/116.) and 6.9-%(8/116), respectively. And the sera that supported development of above 80% 2-cell embryos to the each embryonic stage was 92.2% (107/116), 83.6%(97/116), 63.8%(74/116) and 36.2%(42/116), respectively. Meanwhile two kinds of toxic pattern to the embryonic development were observed in some sera. The first pattern is that some sera arrested development of most embryos in pre- or post-stage of morula or blastocyst. The second pattern is that some sera promoted or arrested a part of embryos in the same dish. The ability of serum was depended on the batch of serum. Finally we could accept 69%(80/116) of the tested sera for human IVF-ET program. The base line for acceptance was the ability that supported above 80% 2-ce1l embryos to blastocyst. But some deterious sera were contained in this range. We cut off about 10% of the sera (83.6% , 97/116) that passed the baseline. This final percent of sera was similar to that of grade N of this study.

  • PDF

청겨자채 추출물의 뇌조직 내 Oxidative Stree 억제활성물질의 동정 (Isolation an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unds from Green Mustard Leave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Bovine Brain Tissue)

  • 이근종;김미리;심재석;황재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43-948
    • /
    • 2001
  • 마우스 뇌조직에서 지질과산화를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진 청겨자채에 대해서 50%MeOH 추출물(2mg/mL)을 사용하여 소 뇌조직의 산화적스트레스를 유발한 ascorbate/Fe$^{3+}$ system에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청겨자채 추출물의 용매순차추출 후 TBARS 활성을 각각 용매 분획(100)$\mu\textrm{g}$/mL)별로 확인한 결과 각각의 용매 분획 중 n-BiOH 분획 (49%)이 가장 높았고, EtOAc(40%), H$_{2}$O(9%) 및 n-hexane (0%) 순이었다. n-BuOH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였으며, CE, TLC를 통해서 sinapic acid와 ferulic acid를 확인하였다. CE를 통하여 그 함량을 정량한 결과, 건조중량(g)당 sinapic acid는 24.3 ppm 이었고 ferulic acid는 42.8 ppm으로 나타났다. 최종 정제활성물질을 $^{1}$J-NMR(CDCL$_{3}$)와 $^{13}$C-NMR(CDCL$_{3}$)로 확인하였으며 sinapic acid methyl ester, ferulic acid acid와 ferulic acid와 RF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TLC상에서 비교하였다. 동일한 50$\mu\textrm{g}$/mL 농도에서 sinapic acid methyl ester는 40%, ferulic acid methyl ester 는 35%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시판되는 표준물질은 sinapic acid(22%)와 ferulic acid (18%)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이 화합물에 라디칼을 소거하는 작용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청겨자채 추출물 중에도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널리 분포된 것으로 보아 이 성분들은 체내에서 단독으로 또는 상호작용으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 연안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II. 현존량 분포 및 환경요인들(1992~1996)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 Gori, Wolseong, Uljin and Younggwang II. Distributions of Standing Crop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1992~1996))

  • 강연식;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08-128
    • /
    • 2002
  • 고리, 월성, 울진 그리고 영광해역에서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엽록소 농도가 조사되었고, 무생물학적 환경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해역에서 연구기간동안 총 질소의 평균 농도는 각각 0.101, 0.094, 0.072및 0.108mg/$\ell$이었고 ,인산염은 각각 0.007, 0.008, 0.006 및 0.009mg/$\ell$이었다 N:P ratios는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해역에서 3.2~57.3, 3.1~109.0. 2.6~102.0 및 1.0~165.0으로 극심한 변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부유물질 농도는 각각 평균 18.7, 16.7, 11.6 및 52.7mg/$\ell$이었고, 투명도는 각각 평균 3.8, 5.4, 7.9및 0.7m이었다. 총 현존량은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해역에서 각각 평균 710,659, 687,508, 656,245 그리고 1,278,173ce11s/$\ell$로 영광해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해역은 서로 유사하였다. 연구해역 모두 전반적으로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으며, 이 중 소형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해역에서 각각 평균 357,546, 333,638, 276,407그리고 592,975ce11s/$\ell$이었으며, 미소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해역에서 각각 평균 353,113, 353,870, 379,838그리고 714,846cells/$\ell$로 영광 해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규조류는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해역에서 각각 평균 282,009, 284,710, 238,758 그리고 574,563cells/$\ell$로 영광해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리, 월성 및 울진 해역은 봄철에 높고 가을철에 낮은 계절분포를 보인 반면에 영광해역은 여름철에 낮은 현존량을 기록하였다. 와편모조류는 각각 평균 46,078, 35,401, 32,906 그리고 16,749cells/$\ell$로 서해 영광해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고리와 영광해역은 여름철 그리고 울진해역은 가을철에 높은 계절분포를 나타내었다. 엽록소 $\alpha$농도는 연구해역에서 평균 2.16~4.28$\mu\textrm{g}$/$\ell$로 영광해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 다양성 지수는 연구해역에서 2.11~2.24 이었으며, 동해연안은 겨울철에 불안정하고 여름철에 안정된 군집구조를 이루는 반면에, 서해의 영광해역은 겨울철과 여름철에 안정된 군집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무생물학적 환경요인들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연구해역과 계절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투명도, 부유물질 및 영양염(N $O_3$$^{-}$-N, P $O_4$$^{3-}$ -P)등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에 의한 조류기원 용존유기물의 생분해도 및 화학조성변환. (Photoalteration in Biodegrad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Algae- derived Dissolved Organic Matter)

  • ;;;김용환;김범철;최광순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235-241
    • /
    • 2003
  • 자외선에 의한 조류기원 용존유기물의 특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한 남조류 두종 (Microcystis aeruginosa, Oscillatoria agardhii)의 체외배출용존유기물에 자외선 처리전과 처리후의 생분해도와 유기물의 화학적조성을 비교하였다. 자외선처리는 pyrex용기에 시료를 넣고 인공자외선램프(UVA: 40 W/$m^2$, UVB: 2 W/$m^2$)로 24시간 조사하였다. 유기물의 화학적조성은 XAD-8, 양이온, 음이온수지를 이용하여 소수성 산 (hydrophobic acids; HoA), 소수성 중성 (hydrophobic neutrals;HoN), 친수성 산 (hydrophilic acids; HiA), 친수성 염기 (hydrophilic bases; HiB), 그리고 친수성 중성 (hydrophilic neutrals; HiN)의 5개 분획으로 분류하였다. 자외선처리동안 유기물의 농도변화는 거의 없었던 반면 생분해도는 자외선처리 전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M. aeruginosa: 17%, O. agardhii: 28% 감소). 또한 자외선 처리 전과 후의 유기물의 화학적조성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자외선처리 후 HiB분획(단백질, 아미노산류)은 감소한 반면 HiA분획 (카복실산류)은 증가하였다. 유기산분석에서도 3종류의 카복실산이 자외선처리 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수체의 유기물은 자외선에 의해 난분해성 유기물이 분해되거나 잘게 쪼개져 이분해성 유기물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조류기원의 이분해성 유기물의 경우는 자외선에 의해 완전한 광분해는 보이지 않았지만 난분해성 유기물로 전환되었고 화학적조성도 바뀌었다. 이는 유기물의 기원과 종류에 따라 자외선에 대한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0.73, P< 0.001). 본 연구기간동안 동물플랑크톤 섭식에 의한 청수기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동 ${\cdot}$ 식물플랑크톤의 다양성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증가 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부영양 호수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섭식이나 제한영양염의 결핍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영향을 출 수 있으나 군집의 변화를 야기하지는 못함이 제시되었다.X>$NH_4\;^+$, $NO_3\;^-$, $PO_4\;^{3-}$$SiO_2$의 용출량 범위는 각각 -9${\sim}$ 105 mgN $m^{-2}day^{-1}$, -156${\sim}$62 $m^{-2}day^{-1}$ -5${\sim}$5 $m^{-2}day^{-1}$, 및 12 ${\sim}$ 117 $m^{-2}day^{-1}$였다. 낙동강과 서낙동강에서 식물플랑크톤의 1차 생산성과 조체의 C:N:P의 Redfield 비율 106: 16: 1을 이용하여 추정한결과 저질에서 용출되는 $NH_4\;^+$는 식물플랑크톤의 요구량의 9 ${\sim}$23%이었고, $PO_4\;^{3-}$는 11 ${\sim}$ 22%를 차지하였다.도로 검출되어 이를 고려한정수공정의 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yr^{-1}$)의 71%가 감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여름철 심층 산소 고갈이 야기되었고, 이 시기에 퇴적물로 용출된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될 수 있기때문에 퇴적물에 대한 관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