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emergence

검색결과 3,216건 처리시간 0.03초

Echinochloa glabrescens 발아(發芽)에 대한 담수심(湛水深)과 경운(耕耘)의 영향(影響) (Effect of Standing Water and Cultivation on Emergence of Echinochloa glabrescens)

  • 김종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8-32
    • /
    • 1988
  • Echinochloa glabrescens 발아(發芽)에 대한 담수심(湛水深)과 경운빈도(耕耘頻度)의 영향(影響)을 논조건하(條件下)에서 파종방법(播種方法)을 달리하여 4개월(個月)동안 조사(調査)하였다. 총발아수(總發芽數)는 종자(種子)의 토양혼화(土壤混和)에서 포화상태(飽和狀態)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 2, 8 cm 순(順)이었던 반면에 토양표면(土壤表面)에 파종(播種)한 조건(條件)에서는 2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cm, 포화토양(飽和土壤), 8cm 담수심(湛水深)의 순(順)이었다. 파종후(播種後) 2주(週) 이내(以內)의 발아(發芽)는 종자토양혼화(種子土壤混和) 조건(條件)에서는 4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높았고, 2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낮았던 반면(反面)에, 토양표면(土壤表面)에 파종(播種)한 조건(條件)에서는 2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높았다. 4개월(個月) 동안의 총발아(總發芽)에 대한 2 주(週) 이내(以內)에 발아(發芽)된 비율(比率)은 종자(種子) 토양혼화(土壤混和) 조건(條件)에 서는 2 cm 담수심(湛水深)에서 가장 낮았는데 이것은 2cm 담수심(湛水深)이 E. glabrescens 의 한계담수심(限界湛水深)임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종자(種子)가 경운전(耕耘前) 2 주(週) 이내(以內)에 발아(發芽)되기 때문에 발아양상(發芽樣狀)은 모든 담수심(湛水深)에서 경운(耕耘)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 PDF

솔잎혹파리 우화(羽化)와 아까시나무 개화시기(開花時期)의 관계(關係) (Relationships between the Flowering Time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and Emergence Period of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 et I.))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47
    • /
    • 1975
  • 이것은 서울, 광릉(光陵), 전주(全州), 경주지방(慶州地方)에서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시기(羽化時期)와 이의 표현표식(表現標識)으로 아까시나무의 개화시기(開花時期)를 조사(調査)한 것이다. 1.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羽化)는 그 지방(地方)의 아까시나무꽃의 개화(開花)가 시작되는 시기(時期)에 시작된다. 2.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羽化)는 그 지방(地方)의 아까시나무꽃의 만개(滿開)하는 시기(時期)에 그 최성기(最盛期)에 드러가며 주락기(淍落期)까지 계속(繼續)된다. 3.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최성기(羽化最盛期)에 꽃이 만개(滿開)하는 식물(植物)은 아까시나무이외(以外)에 백당나무, 찔레나무, 꽃창포 등(等)이 있다.

  • PDF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Occurrence Inhibition by Seed-Mulching in Wet Seeded Rice

  • Yang, Woon-Ho;Kim, Jae-Hyun;Kim, Je-Kyu;Han, Hee-Suk;Lee, Moon-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0-84
    • /
    • 2002
  • In spite of simple and cheap cultivation method, water broadcast-seeded rice demonstrates uneven and un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per unit land area and requires more herbicide and labor-input for weed control.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phytotron at 18$^{\circ}C$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seed-mat mulching cultivation technologies in water seeded rice for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Five different kinds of mat with different mesh sizes and fabric properties were tested. The emergence of rice was the highest in Lawn-mat treatment, being comparable with the control, in which seeds were sown without mat. The Lawn-mat also exhibited the lowest mat tension. Mat tension may influence the emergence of rice. And once it was soaked in water, it didn't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ny more. The emergence rate of rice was the lowest in Safer-mat treatment. In Lawn-mat treatment,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for rice emergence in the first study, the differences of emergence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depending on the seeding position (upper, beneath, and between mats) treatments were negligible, while they were higher in dry seeds than in pre-germinated seeds treatment. The emergence as affected by the kinds of mat also showed the same trend when tested using barnyard grass. Depending on the kinds of mat, the inhibition effect of weeds was the greatest in Safer-mat and the poorest in Lawn-mat.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management without chemical could be achieved simultaneously by seed-mat mulch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effective mat for the emergence of rice and another efficient mat for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This possibility was also tested in the field.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Gibbrellin의 종자분무처리가 출아 및 초장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bberellin Seed-Spray on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in Dry-Seeded Rice)

  • 김제규;이문희;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7-303
    • /
    • 1993
  • 식물생장조절제가 벼 건답직파재배시 출아 및 초기생육 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화성벼를 공시하고 3가지 약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종 또는 종자분무처리하였을 때 이들의 출아 및 초장신장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ibberellin (GA$_3$ 4% 액제)은 건답직파재배에서 벼의 출아 및 초장신장 촉진에 현저히 효과가 없었다. 2. GA$_3$ 종자침종처리의 적정 농도는 약 100ppm이었고, 종자분무처리의 적정 농도는 약 200ppm이었다. 3. GA$_3$(200ppm)의 종자분무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출아를 1~2일 단축시켰고, 출아율이 높았으며 초장신장 효과가 인정되었다. 4. GA$_3$의 종자처리는 묘의 초엽과 엽신 및 엽초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 PDF

토양온도(土壞溫度)가 벼와 피의 출아속도(出芽速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il Temperature on the Emergence - Speed of Rice and Barnyardgrasses under Dry Direct - Seeding Condition)

  • 권용웅;김도순;박상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87
    • /
    • 1996
  • 벼와 피 종자의 출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토양온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온도구배가 10~$30^{\circ}C$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알루미늄의 열전도(熱傳導) 특성을 이용하여 온도구배장치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온도구배장치는 알루미늄괴(塊)(가로 80cm${\times}$세로 150cm${\times}$높이 10cm)에 직경 3cm, 깊이 3cm의 구멍을 4cm 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는 8개씩, 세로 방향으로는 16개씩 총 128개(8${\times}$16)의 구멍을 뚫었다. 온도조절을 위하여 한쪽에는 열전대 온도센서와 히터를 부착하였고, 다른 쪽에는 열전대 온도센서와 냉각수 순환파이프를 삽입 장착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물피, 돌피, 강피의 발아력(發芽力)을 검증하여 각각 발아율이 88.7, 84.6, 72.6% 이상인 종자를 구멍당 20립씩(3반복) 2.5cm 심도로 파종하고 벼 육묘용(育苗用) 상토(床土)로 복토하여 실험(寶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일품벼의 최종발아율(最終發芽率)은 $20^{\circ}C$ 까지는 토양온도(土壞溫度)에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거의 일정하여 80~100% 의 최종출아율을 나타냈으며, 피의 경우에는 11~$30^{\circ}C$ 사이에서 출아율(出芽率)이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하였다. 2. 평균출아일수(平均出芽日數)는 토양온도(土壞溫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벼의 경우 지수함수적(指數函數的)으로 짧아졌고, 피는 초종에 관계없이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하였으며, 물피<돌피<강피순으로 짧았다. 3. 벼에 있어서 온도(溫度)에 따른 출아속도차이(出芽速度差異)는 최초출아, 25%, 50% 및 75% 출아까지에 소요(所要)되는 시간(時間)간에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출아율 조사는 어느 시기에 하더라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4. 일품벼의 출아한계온도(出芽限界溫度)는 $12.3^{\circ}C$, 피에 있어서는 초종에 관계없이 벼 보다 낮은 $11^{\circ}C$ 정도이었고, 일품벼를 13$^{\circ}C$에 파종했을 때 출아시(出芽始)까지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약 26.7일(日), 피의 경우에는 초종간에 큰 차이가 없이 10~11일(日)이면 출아시(出芽始)에 도달하였다. 5. 벼 직파재배(直播載培)에 있어서 휴면(休眠)이 타파(打破)된 피는 10~$30^{\circ}C$ 온도범위에서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가 벼보다 항상 짧아 경합(競合)에 유라(有利)할 뿐만 아니라, 특히 18$^{\circ}C$ 이하( 以下)에서는 벼의 출아소요기간(出芽所要期間)이 피 보다 현저히 길어 피의경함력(競合力)이 더욱 커질 수 있는 근거(根據)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주요(主要) 밭잡초(雜草)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출아(出芽)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복토(覆土) 심도(深度), 산도(酸度), 시비(施肥)가 잡초종자(雜草種子)의 출아(出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Major Upland Weeds II. Effects of Soil Depth, pH and Fertilization on Emergence of Weeds)

  • 우인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4-228
    • /
    • 1991
  • 주요 밭잡초(雜草)의 복토심도(覆土深度), 산도(酸度), 시비(施肥)가 출아(出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위해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l. 밭토양(土壤)의 토심별(土心別) 잡초종자(雜草種子)의 분포(分布)는 10cm까지 58%가 존재(存在)하였고 40-45cm층(層)에도 2%가 분포(分布)하였으며 2. 복토(覆土)깊이에 따른 출아(出芽)에서 냉이는 표면(表面) 파종(播種)에서, 털비름, 개비름, 쇠비름, 명아주, 까마중은 3cm까지, 왕바랭이, 피는 7cm까지 출아(出芽)하였으며 강아지풀과 피는 7cm깊이에서도 각각(各各) 26, 40%의 높은 출아율(出芽率)을 보였다. 3. 공시(供試)된 잡초(雜草) 종자(種子)의 출아(出芽)는 pH 2.0-3.0의 탄산성(彈酸性)에서는 출아(出芽)가 저조했으나 피, 강아지풀, 명아주는 출아(出芽)했으며 pH 3.5-4.0 이상(以上)에서는 출아(出芽)에 큰 영향(影響)이 없었던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 토성간(土性間) 출아(出芽)는 토양(土壤)에서 왕바랭이, 냉이, 털비름, 개비름, 명아주, 피, 까아중, 강아지풀이 좋았으며 사양토(砂壤土)에서는 쇠비름, 바랭이가 좋았으나 시비(施肥) 유무간(有無間)에는 출아(出芽)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 PDF

줄날도래 (날도래목: 줄날도래과)의 우화 양상 (Emergence patterns of Hydropsyche kozhantschikovi (Trichoptera: Hydropsychidae))

  • 허준미;진영헌;박선진;원두희;배연재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67-273
    • /
    • 2000
  • 온도와 연관된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의 우화 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도 왕숙천에서 1999년 4월${\sim}$6월 동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화하는 성충의 정량채집은 피라미드형 우화트랩을 이용하였다. 수온은 1999년에 1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우화는 일일 평균 수온이 약 10$^{\circ}C$에 도달한 4월 15일에 시작되었고, 그 이후 빠르게 증가하여 약 10일만에 우화의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5월 25일까지 40일간 지속되었다. 우화된 성충의 평균개체수는 35.8 inds./m$^{2}$였고, 암수의 성비는 수컷 : 암컷 = 1 : 2.04였다. 수컷이 암컷보다 2일 정도 우화가 빨랐다. 일일 우화 양상은 일몰 직후(19 :00${\sim}$21 : 00)에 제1정점(66.7%)이 나타나고, 일출 직전(05:00${\sim}$07:00)에 제2정점 (11.1%)이 나타나는 쌍생형 양상이었다. 본 연구의 적산온도 회귀모형에 따르면 우화의 시점, 정점, 그리고 완료에 도달하기 위한 누적적산 온도는 각각 453.89 DD (수컷 440.48 DD, 암컷 473.97DD), 615.71DD(수컷 610.18 DD, 암컷 622.09 DD), 그리고 820.24DD (수컷 828.25 DD, 암컷 804.71 DD)였다.

  • PDF

참부귀(富歸)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잡초방제(雜草防除) (Chemical Weed Control in Direct-Seeded Angelica gigas)

  • 김종석;전재철;성낙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3-187
    • /
    • 1992
  • 참당귀(當歸) 직파재배(直播栽培)를 위한 출아(出芽)와 효과(效果)적인 잡초방제(雜草防除)에 대(對)한 방법(方法)을 검토(檢討)할 목적(目的)으로 파종전(播種前) Paraquat 및 파종후(播種後) 토양처리형(土壞處理型)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 그리고 유공(有孔) 흑색(黑色) PE film 피복(被覆)에 대한 출아율(出芽率)과 제초효과(除草效果)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참당귀(當歸) 종자(種子)는 채종(採種) 다음 해에 Pot 실험에서 출아율(出芽率)이 86% 출아기간(出芽期間)은 18 일이었으며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해서 90% 이상의 출아율(出芽率)과 출아기간(出芽期間)은 2일 이상 단축되었다. 2. Paraquat의 파종전(播種前) 처리는 가능한 한 참당귀(當歸) 출아(出芽) 직전에 살포(撒布)하는 것이 출아율(出芽率)과 제초효과면(除草效果面)에서 우수하여 본 포장에서는 파종후 23일 처리구에서 98% 의 출아율(出芽率) 91%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나타냈다. 3. 공시(供試) 토양처리형(土壤處理型) 제초제(除草劑)는 추천량의 2배량에서도 약해(藥害)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90%이상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보였다. 4. 유공(有孔) 흑색(黑色) PE film 피복(被覆)은 유공(有孔) 투명(透明) PE film 피복(被覆)과 노지(露地)보다 출아율(出芽率)과 제초효과(除草效果)가 우수하였고 출아기간(出芽期間)도 8일 단축되었다.

  • PDF

인삼의 출아 및 생육 특성에 대한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Effects of the Growth Regulators on the Emergence and Growth of Panax ginseng C.A. Meyer)

  • 정찬문;안상득;권우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8-374
    • /
    • 1985
  • 생장조절물질인 GA, Kinetin 및 2,4-D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출아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므로서 출아에 필요한 장기 저온기간의 단축 가능성을 탐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아의 출아는 처리물질중 GA효과가 가장 컸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조기출아되어 출아기간이 단축되었고 출아율도 높았다. 2. GA처리는 지상부 생육을 크게 신장시켰으며 특히 경장 엽병장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3. GA 50ppm, 100ppm처리구는 근중을 크게 증가시켰다. 4. GA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조기에 지상부 생육이 완료되었다. 5. 뇌포제거구는 무제거구에 비하여 출아가 다소 빠른 경향이나 생육은 대체로 비슷하였다.

  • PDF

담배 가공 원료엽의 궐련벌레 생육과 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ed tobacco leaves for the development and emergence of cigarette beetle)

  • 채순용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cessed tobacco leaves on the development, adult emergence and body weight of the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Fabricius) (Coleoptera: Anobiidae) is serious insect pest of tobacco leaves and cigarette during storage. Developmental time, adult emergence rate and adult weight of the cigarette beetle, were evaluated on the cured tobacco and burley tobacco leaves at $30{\pm}1^{\circ}C$ with $70{\pm}5$ % RH under 12L:12D. The developmental time on all of the flue-cured tobacco leaves was about 61 days, but in the only CD3W and CD4TR grade burley tobacco, the developmental times ranged from 70 days to 74 days. Among the flue-cured tobacco leaves, the highest beetle emergence rate was 123 % on the CD3L grade, and the lowest was on the AB4OR grade. Adult body weights of the cigarette beetle reared on flue-cured tobacco were about 2.11~2.46 mg, and on the only CD3W and CD4TR grade burley tobacco were about 1.86~1.96 mg. Among the flue-cured tobacco leaves, the highest adult body weight(2.46 mg) of cigarette beetle was observed on the B1O grade flue-cured tobacco, whereas the lowest adult weight(2.11 mg) was observed on the CD4L grade flue-cured tobacco. The adult weight of cigarette beetle reared on whole meal was 2.04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