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_u$

검색결과 1,704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lipase levels on nutrient digestibility, digestive physiology and noxious gas emission in weaning pigs

  • Liu, J.B.;Cao, S.C.;Liu, J.;Pu, J.;Chen, L.;Zhang, H.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963-1973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lip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profiles, intestinal morphology, small intestinal digestive enzyme activities, biochemical index of intestinal development and noxious gas emission in weaning pigs. Methods: A total of 240 weaning pigs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BW) of $7.3{\pm}0.12kg$ were used in this 28-d experiment. Weaning pigs were randomly allocated to 4 dietary treatments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2 levels of energy (net energy = 2,470 kcal/kg for low energy diet and 2,545 kcal/kg for basal diet) and 2 levels of lipase (0 and 1.5 U/g of lipase) according to BW and sex. There were 6 replications (pens) per treatment and 10 pigs per pen (5 barrows and 5 gilts). Results: Weaning pigs fed the low energy diet had lower (p<0.05) gain-to-feed ratio (G:F) throughout the experiment,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ether extract, and gross energy during d 0 to 14, average daily gain during d 15 to 28, lipase activity in duodenum and ileum and protein/DNA in jejunum (p<0.05), respectively. Lipase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but affected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p<0.05) on d 14 and enhanced lipase activity in the duodenum and ileum and protease activity in duodenum and jejunum of pigs (p<0.05) fed the low energy diet. Lipase reduced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nd triglyceride (TG), $NH_3$ production (p<0.05) from the feces. Conclusion: The low energy diet decreased G:F throughout the experiment and nutrient digestibility during d 0 to 14 as well as lipase activity in duodenum and ileum. Lipase supplementation increased nutrient digestibility during d 0 to 14 and exerted beneficial effects on lipase activity in duodenum and ileum as well as protease activity in duodenum and jejunum, while reduced serum LDL-C, TG and fecal $NH_3$.

한천분해세균 Agarivorans sp. KC-1의 분리 및 내열성 β-아가라제의 특성 규명 (Isolation of Agarivorans sp. KC-1 and Characterization of Its Thermotolerant β-Agarase)

  • 민경철;이창은;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56-106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양 한천분해세균 Agarivorans sp. KC-1과 해당균주의 agarase 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천분해균인 KC-1은 경상남도 사천시 남일대 해수욕장에서 채취한 바닷물을 이용하여 Marine broth 2216 한천 배지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Agarivorans 속 세균과 99% 일치하여 Agarivorans sp. KC-1으로 명명하였다. 세포외로 분비되는 agarase는 Agarivorans sp. KC-1 균주 배양액에서 획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특성 조사를 하였다. Agarivorans sp. KC-1 균주의 한천분해효소는 20, 30, 40, 50, 60 및 $70^{\circ}C$에서 각각 65, 91, 96, 100, 77, 35%의 상대활성을 나타냈으며, pH 5, 6, 7, 8에서는 93, 100, 87, 8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외 agarase는 $50^{\circ}C$에서 pH 6.0인 20 mM Tris-HCl 완충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최대(254 U/l)의 활성을 보였다. 이 agarase는 20, 30, $40^{\circ}C$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하여도 90% 이상의 잔존활성을 보였다. 또한, $50^{\circ}C$에 2시간 노출된 후에도 67%의 잔존활성을 보였다. Zymogram 분석을 통하여 Agarivorans sp. KC-1 균주가 생산하는 한천분해효소의 크기는 약 130 kDa, 80 kDa, 69 kDa의 3개로 확인할 수 있었다. TLC 분석 결과, Agarivorans sp. KC-1 균주의 한천분해효소는 네오한천올리고당인 neoagarohexaose (21.6%), neoagarotetraose (32.2%) 및 neoagarobiose (46.2%)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아 ${\beta}$-agarase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Agarivorans sp. KC-1가 생산하는 ${\beta}$-agarase는 전분노화 방지, 미백효과, 보습효과 및 세균생장 억제 등의 기능을 가지는 한천올리고당의 생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Vitro Anticholinesterase 스크리닝을 위한 집파리 및 3종 곤충으로부터의 Acetylcholinesterase의 추출 (Extraction of Acetylcholinestrase from the Housefly and Three Other Insect Species for In Vitro Anticholinesterase Screening)

  • 이시혁;이준호;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28
    • /
    • 1991
  • 집파리(Musca domestica L.)외 3종 곤충으로부터 0.01 M sodium phosphate buffer를 이용하여 AChE를 분리, 추출할 때 AChE의 안정성 및 buffer capacity를 고려한 적정 pH는 7.5였으며, 0.1M sidium phosphate buffer의 기질 수용액으로 AChE의 활성을 측정할 경우 효소의 활성화와 buffer capacity를 고려했을 때 pH는 7.5가 적합한 조건이었다. AChE 분리.추출을 위한 조직의 마쇄시에는 Potter Elvehjem homogenizer를 사용하였으며, 마쇄액을 원심분리하여 AChE현탁액을 조제할 때 집파리의 경우에는 성충 두부700g 상등액을,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는 5령 약충 전충체의 700g 상등액을,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 L.)의 경우에는 5령 유충 전충체의 지질을 제거한 10,000g 상등액을, 그리고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의 경우에는 4령 유충.두부의 700g 상등액을 AChE 0.2~0.5U 정도로 조정하여 효소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량조제, 추출수율 및 활성 측정상의 안정성등을 고려할 때 합리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종 곤충의 AChE현탁액을 $-18^{\circ}C$ 조건에서 냉동보관할 경우 3주까지는 90% 이상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집파리, 벼멸구 및 배추좀나방 AChE의 Km 값은 각각 0.042, 0.037 및 0.043 mM이었으며, 고농도에서 AChE 특이적 기질 저해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담배거세미나방 ChE의 경우에는 1.15 mM의 Km값을 가지며 BuChE적 특성을 보이는 듯 하나 추가실험이 요구된다. 각 곤충의 AChE를 대상으로 한 저해실험시의 적정 기질농도는 집파리, 벼멸구, 배추좀나방의 경우에는 공히 0.5 mM 그리고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는 12 mM 이었다.

  • PDF

한천분해세균 Agarivorans sp. JS-1의 분리 및 β-아가라제의 특성 규명 (Isolation of Agarivorans sp. JS-1 and Characterization of Its β-Agarase)

  • 김진선;이동근;여고운;박민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7-3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해양 한천분해세균 Agarivorans sp. JS-1과 해당균주의 agarase 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천분해세균인 Agarivorans sp. JS-1은 경상남도 창원시 소죽도에서 채취한 해수를 이용하여 Marine agar 2216배지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Agarivorans 속 세균과 99% 일치하여 Agarivorans sp. JS-1으로 명명하였다. 세포외로 분비되는 agarase는 Agarivorans sp. JS-1 균주 배양액에서 획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특성 조사를 하였다. Agarivorans sp. JS-1 균주의 한천분해효소는 20, 30, 35, 40, 45, 50, 55 및 60℃에서 각각 70, 74, 78, 83, 87, 100, 74, 66%의 상대활성을 나타냈으며, pH 5, 6, 7, 8에서는 91, 100, 90, 8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외 agarase는 50℃에서 pH 6.0인 20 mM Tris-HCl 완충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최대(207 U/l)의 활성을 보였다. 20, 30, 50℃에서 30분간 열처리하면 잔존활성이 각각 90%, 70%, 50% 이상이었다. 55℃ 이상에서는 30분 동안 열처리하면 잔존활성이 50% 미만이었다. 20, 30, 35, 40 및 45℃에서 2시간 열처리 후의 잔존활성은 각각 80, 68, 65, 63 및 57%였다. TLC 분석 결과, Agarivorans sp. JS-1 균주의 한천분해효소는 네오한천올리고당인 neoagarohexaose (20.6%), neoagarotetraose (58.5%)및 neoagarobiose (20.9%)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아 β-agarase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Agarivorans sp. JS-1 가 생산하는 β-agarase는 전분노화 방지, 미백효과, 보습효과 및 세균생장 억제 등의 기능을 가지는 한천올리고당의 생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subtilis KMKW4를 이용한 백미 및 아마란스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ice and Amaranth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KMKW4)

  • 양수진;이래현;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40-54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KMKW4를 이용하여 백미 및 아마란스를 영양원으로 발효하였으며 발효물의 배양 특성과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백미와 아마란스의 비율별로 제조한 발효물 중 아마란스 20%가 첨가된 R80의 생균수가 가장 높았고 pH 또한 낮아 발효가 잘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발효물의 amyl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R100, R90, R80, R70 중 R80에서 48시간 배양 시 57.77 unit/mL로 가장 높아 R80을 곡류 효소 함유 제품 개발을 위한 혼합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발효물의 동결건조분말에 대한 amylase 활성도 발효물과 동일하게 48시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동결건조 후에도 효소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효물 동결건조분말의 유리당 함량은 발효 후 R80에서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glucose는 5,454.2 mg/100 g으로 함량이 증가하였고 R100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R100의 경우 발효 전 664.9 mg/100 g에서 48시간 발효 후 834.2 mg/100 g으로 증가하였으며, R80은 발효 전 868.8 mg/100 g에서 발효 후 1,085.2 mg/100 g으로 증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발효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R100보다 R80에서 우수하였다. ACE 저해 활성은 발효 전 R100과 R80에서 각각 30.12%와 40.22%로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는 각각 59.13%와 78.57%로 나타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R80이 R100보다 더 높은 AC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발효 전보다 발효 후에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R100보다 R80이 우수하여 향후 곡류 효소 함유 식품 제조를 위한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회의 요약: 제1차 국내 지표 플럭스 관측 및 모델링 전문가 워크숍 (Meeting Summary: The First Domestic Expert Workshop on Surface Flux Measurement and Modeling)

  • 홍진규;권효정;김맹기;임종환;하경자;김성준;홍성유;이정훈;최태진;김규랑;이길재;이나연;오현미;장근창;정유란;이영희;이치이 카즈히토;변영화;설경희;;홍경하;김홍철;김준
    • 대기
    • /
    • 제19권3호
    • /
    • pp.237-242
    • /
    • 2009
  • The first domestic expert workshop on surface flux measurement and modeling was held on 10-12 June 2009 in Seoul to invigorate research cooperation on soil-vegetation-atmosphere interactions in Korea and to promote interdisciplinary studies. This article provides a summary of the workshop presentations and recommend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urface processes in Korea.

Catalase 첨가배양이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한만희;이경본;천행수;박병권;이규승;서길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2-82
    • /
    • 2002
  • Catalase(CAT)는 주요한 활성산소(ROS)의 일종인 과산화수소($H_2O$$_2$)가 Hydroxyl 유리기 생성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H_2O$$_2$$H_2O$$O_2$로 대사시켜 주는 효소계 항산화제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AT가 5% $O_2$및 20% $O_2$조건하에서 1-세포기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란을 10% PFF, 0.1mg/ml cysteine, 10IU/m1 PMSG, 10IU/m1 hCG 및 10ng/m1 EGF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서 22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고, 성선자극호르몬이 배제된 배양액에서 추가로 22시간을 배양하여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체외성숙이 유기된 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2.5mM caffeine과 0.1% BSA가 첨가된 mTBM 배양액에 정자를 1.25 $\times$ $10^{5}$cells/ml의 농도로 5-6시 동안 공동배양을 실시하여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수정후 1-세포기의 수정란을 0.4mg/ml BSA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1,000uni1 첨가하여 30 embryos/ 50u1 소적으로하여 38.8$^{\circ}C$, 5% $CO_2$및 5%$CO_2$, 5% $O_2$90% $N_2$조건하의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 6.03 Packag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배양 48시간에 난할률을 조사하였을 때,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에 있어서는 각각 22.7$\pm$2.7, 22.1$\pm$3.9, 18.7$\pm$4.9, 및 15.1$\pm$2.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산소농도에 따른 배반포형성률은 5% $O_2$ 조건(22.1$\pm$2.4%)이 20% $O_2$조건(17.2$\pm$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각각 44.4$\pm$4.0, 43.3$\pm$36, 25.4$\pm$2.4 및 13.4$\pm$1.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세포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을 배양할 때, CAT의 첨가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 PDF

CBD 방법에 의한 $CdS_{1-x}Se_{x}$ 박막의 열처리에 따른 광전기적 특성 (Study on Growth and Opto-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CdS_{1-x}Se_{x}$ Thin Film using Chemical Bath Deposition Method)

  • 홍광준;최승평;이상열;유상하;신용진;이관교;서상석;김혜숙;윤은희;김승욱;신영진;정태수;신현길;김태성;문종대;전승룡
    • 센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63
    • /
    • 1995
  • Chemical bath deposition 방법으로 다결정 $CdS_{1-x}Se_{x}$ 박막을 세라믹 기판 위에 성장시킨 다음 온도를 변화시켜 열처리하고 X-선 회질 무늬를 측정하여 결정 구조를 밝혔다. $550^{\circ}C$로 열처리한 시료의 X-선 회절 무늬로부터 외삽법으로 구한 격자 상수는 CdS의 경우 $a_{0}=4.1364{\AA}$, $c_{0}=6.7129{\AA}$ 였으며 CdSe인 경우는 $a_{0}=4.3021{\AA}$, $c_{0}=7.0142{\AA}$ 였다. Van der Pauw 방법으로 Hall 효과를 측정하여 운반자 농도와 이동도의 온도 의존성을 연구하였다. 광전도 셀의 특성으로 스펙트럼 응답, 감도(${\gamma}$), 최대 허용 소비전격 및 응답시간을 측정하였다.

  • PDF

케토프로펜 겔제와 플라스터제의 피부 흡수 비교 (The Topical Absorption of Ketoprofen from Gels and Plaster in Human Volunteers)

  • 강원구;이창현;우종수;권광일
    • 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5-30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bsorption fraction and extent of ketoprofen gels and a matrix typed ketoprofen plaster patch. 3g (90mg as ketoprofen) of the two gels whi ch has oleohydrogel or hydrogel as a base, respectively, and 3 pieces of plaster patches (90mg as ketoprofen) were, applied in the area of 210$cm^2$ on forearm in 12 volunteers by cross over desig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serially up to 24 hours and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ketoprofen were analyzed by HPLC using flurbiprofen as an internal standard. The detection limit of the assay was 1ng/ml of ketoprofen in plasm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e.g. $AUC_{24hr}$, $AUMC_{24hr}$, MRT, Fraction Absorbed) were calculat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s time data of each volunteer. The oleo-hydroge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bsorption fraction and extent of ketoprofen than the current hydrogel. The mean plasma concentrations of the oleo-hydrogel were increased to 98.46${\pm}$23.15ng/ml by 6 hour after application, and increased futher to 100.61${\pm}$18.65ng/ml at 24 hour.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hydrogel were increased 17.61${\pm}$18.65ng/ml at 5 hour to 34.68${\pm}$9.65ng/ml at 24 hour gradually. Therefore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oleo-hydrogel at each measured time were 3~7 times greater than those of the hydroge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UC_{24hr}$ (1797.26${\pm}$52.09ng.h/ml) of the oleo-hydrogel was 3.5 times greater (P<0.05) than that (516.17${\pm}$104.52ng.h/ml) of the hydrogel. The plaster patches showed higher bioavailability ($AUC_{24hr}$ 2877.37${\pm}$578.27ng.h/ml) than the olea-hydrogel ($AUC_{24hr}$ 1797.26${\pm}$52.09ng.h/ml)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absorption fraction of the oleo-hydrogel was rather higher than that of the plaster patches during the first 6 hours after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wly developed ketoprofen gel which is used oleo-hydrogel as a base would show excellent skin permeation on topical application for the corresponding clinical indications and could be absorbed as well as plaster patches.

  • PDF

통계학적 방법을 사용한 해양미생물 Bacillus velezensis A-68균주의 섬유소 분해효소 생산 조건 최적화 (Rapid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Carboxymethylcellulase by a Newly Isolated Marine Bacterium, Bacillus velezensis A-68 from Rice Hulls)

  • 김보경;김혜진;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7-769
    • /
    • 2013
  • 섬유소 분해효소(carbxymethylcellul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해수에서 분리하여 16S rDNA 및 gyrase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Bcaillus velezensis로 확인되었으며 B. velezensis A-68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섬유소 분해효소의 생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통계학적 방법인 response surface method (RSM)를 사용하였다. 이 균주의 생육에 최적인 왕겨, 효모 추출물 및 배지의 초기 pH는 60.2 g/l, 7.38 g/l 및 7.18이었으나, 섬유소 분해효소 생산에 최적인 왕겨, 효모 추출물 및 배지의 초기 pH는 50.0 g/l, 5.99 g/l 및 7.30이었다. 통계학적인 분석 결과, 균주의 생육 및 균주의 섬유소 분해효소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효모 추출물이었다. 이 균주의 생육과 섬유소 분해 효소의 생산에 최적인 $K_2HPO_4$, NaCl, $MgSO_4{\cdot}7H_2O$$(NH_4)_2SO_4$의 농도는 각각 7.50, 1.00, 0.10, and 0.80 g/l이었다. 이 균주의 생육 및 섬유소 분해효소 생산에 최적인 온도는 각각 $30^{\circ}C$$35^{\circ}C$로 생육에 최적인 조건과 섬유소 분해효소 생산에 최적인 조건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섬유소 분해효소의 생산성은 83.8 m/l이며, 이는 최적화하기 전의 생산성에 비하여 3.3배 증가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농업 부산물인 왕겨를 섬유소 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기질로 개발하였으며, 해수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섬유소 분해효소의 생산기간을 3일로 단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