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rF_2$ glass fill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SiO$_2$-TiO$_2$-RO(RO: BaO, CaO, SrO)계 고유전율 유리 제조 및 글라스/세라믹스의 소결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lass fabrication and sintering behaviour of glass/ceramics for SiO2-TiO2-RO(RO: BaO, CaO, SrO) system)

  • 구기덕;오근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26-63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고유전율의 저온소성용 글라스/세라믹을 제조하고자, SiO2-TiO2-RO계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고 Al2O3를 필러 물질로 혼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관찰하였다. 본 유리조성으로써 $900^{\circ}C$ 이하에서 결정화되는 유리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RO (BaO, CaO, SrO)의 성분에 따라 결정화 온도는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유리조성에 $Bi_2O_3$를 플럭스로 첨가하고, 세라믹 필러로써 Al2O3를 사용하여 $860^{\circ}C$에서 소성함으로써 고유전율의 저온소성용 글라스/세라믹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이때 복합체의 밀도는 3.96g/$\textrm{cm}^3$ 이었고, 유전율은 17, Q.f 값은 600이었다.

  • PDF

$SrF_2$계 충진재를 함유한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특성 (PROPERTIES OF LIGHT-CURED COMPOSITE RESINS CONTAINING $SrF_2$, GLASS FILLER)

  • 김희정;김경남;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4-66
    • /
    • 2001
  • 기존의 불소방출 복합레진보다 많은 양의 불소를 방출시키기 위해 총 복합레진 중 불소의 함량이 각각 8, 16, 24wt%가 되도록 $SrF_2$계 충진재를 첨가하여 3종의 수복용 불소방출 복합레진 시험군(VF8, VF16, VF24)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 및 불소방출량을 기존의 복합레진 제품인 Heliomolar(HE), Veridonfil(VE), Z100(ZH), Aelitefil(AE) 등의 대조군과 비교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험군의 3점 굽힘강도는 ZH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다른 대조군인 AE, VE와 비슷하였고, HE보다는 우수하였으며, 시험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2. 시험군의 표면경도는 ZH보다 낮았고, AE, VE와 유사하였으며, 불소 방출 대조군인 HE보다는 높았다(p<0.05). 시험군 중에서는 VF16, VF24가 VF8에 비해 표면경도가 높았다(p<0.05). 3. 시험군의 마모도는 대조군인 HE, ZH보다 낮았으며, 시험군 중에서는 VF16, VF24가 VF8에 비해 낮은 마모도를 나타내었다(p<0.05). 4. 시험군의 물흡수도는 대조군인 HE, VE, AE와 유사하였으며 ZH보다는 낮았다(p<0.05). 시험군의 용해도는 대조군인 HE와 유의차가 없었으며, VE, ZH, AE보다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p<0.05). 5. 시험군은 대조군인 HE보다 $9\sim23$배 많은 양의 불소를 방출하였으며, 시험군의 불소방출량은 $SrF_2$계 충진재의 함유량과 비례하였다. 6. 시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약한 정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SrF_2$계 충진재를 첨가한 불소방출 복합레진 시험군의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은 기존의 복합레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소방출량은 기존의 불소방출 복합레진보다 현저히 높아 이차우식증에 대한 항우식효과도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저온 소성용 $SiO_2-TiO_2-Bi_2O_3-RO$계 (RO;BaO-CaO-SrO) Glass/Ceramic 유전체의 $AI_2O_3$ 함량에 따른 소결 및 유전 특성의 변화 (A study on the sintering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Sinterable $SiO_2-TiO_2-Bi_2O_3-RO$ System (RO:BaO-CaO-SrO) Glass/Ceramic Dielectrics as a Function of $AI_2O_3$ Content)

  • 윤장석;이인규;임욱;조현민;박종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350-1355
    • /
    • 1999
  • Sintering characteristics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low temperature sinterable Glass/Ceramic dielectric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he dielectric materials which were developed for microwave frequency applications consist of SiO2-TiO2-Bi2O3-RO system(RO:BaO-CaO-SrO) crystallizable glass and Al2O3 as a ceramic filler. Sintering experiments showed that no more densification occurred above 80$0^{\circ}C$ and bulk density and shrinkage depended on Al2O3 content only. Results of dielectric measurements showed that $\varepsilon$r Q$\times$f and $\tau$f of the material containing 30wt% Al2O3 were 17.3, 600 and +23 ppm respectively. Those values for 45 and 60wt% Al2O3 samples were 11.6, 1400, +0.7 ppm and 7.2, 2000, -8.5 ppm, repectively.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Glas/Ceramic materials of present experiment decreased in $\varepsilon$r and increased in $\times$f value and changed from positive to negative value in $\tau$f value with the increasement of Al2O3 content.

  • PDF

저유전율 소재에서의 유리조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Glass Composition on Low k Materials)

  • 나윤수;황종희;임태영;신효순;김종희;조용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177-177
    • /
    • 2008
  • The effect of several $SiO_2-B_2O_3-Al_2O_3$-R(R;Ca, Sr, Ba) borosilicate glass system on sintering behavior, dielectric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lass/ceramic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The amount of '+2 valency' metal elements(Ca, Sr, Ba) were examined in LTCC composite of low k glass with cordierite filler. It was sintered for 60minutes in temperature range from 850C to 950. Properties of frit and glass/ceramic composites were analyzed by DTA, XRD, SEM, Network Analyzer, UTM and so on. Dielectric constant ($\varepsilon_r$) and $Q{\times}f_0$ (Q) of the composite with 50% glass contents demonstrated $\varepsilon_r$ = 5.4 $Q{\times}f_0$ = 1600 GHz. Sintering was complete and maximum bending strength of 160MPa was obtained.

  • PDF

저온 소성용 SiO$_2$-TiO$_2$-Bi$_2$O$_3$-RO계(RO :BaO-CaO-SrO) Glass/ceramic 유전체 재료의 B$_2$O$_3$첨가에 따른 Ag 후막과의 동시 소결시 정합성 밀 유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firing Compatibility with Ag-thick film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Sinterable SiO$_2$-TiO$_2$-Bi$_2$O$_3$-RO system (RO :BaO-CaO-SrO) Glass/Ceramic Dielectric Material with the Addition of B$_2$O$_3$)

  • 윤장석;이인규;유찬세;이우성;강남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43
    • /
    • 1999
  • 고주파에서 사용하기 위한 $SiO_2-TiO_2-Bi_2O_3$-RO계(RO:BaO-CaO-SrO)를 주성분으로 하는 결정화 유리와 세라믹 충진재로서 $Al_2O_3$를 혼합하여 제조한 저온 소성용 Glass/Ceramic 유전체 모재와 Ag-thick film의 동시 소결시 발생할 수 있는 소결 부정합과 그 해소 방안을 연구하였다. 적층된 Glass/Ceramic 유전체 sheet와 Ag-thick film의 동시 소결시에 소결체는 sheet와 film의 densification rate 차 등에 의해 큰 camber 현상과 그로 인해 Ag-film에 crack이 발생하였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 유리 성분과 $Al_2O_3$성분이 혼합된 유전체 분말에 $B_2O_3$를 6, 8, 10, 12, 14 vol% 첨가한 결과를 보면 $B_2O_3$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결체의 camber 현상은 점점 크게 줄어들었으며 14 vol% 첨가된 경우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BaO_3$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전율($varepsilon_{r}$)은 점점 감소하였고 Q$\times$f 값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au_{f}$ 값은 양(+)의 값으로 점점 크게 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