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_max$

검색결과 925건 처리시간 0.028초

천연염료자원 탐색 및 염색특성(I) -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Makino)추출물의 pH에 따른 염색특성 - (The Search and Dyeing Properties of Natural Dyes Resources(I) - The Dyeing Properties of Boehmeria tricuspis Makino Extracts by pH -)

  • 조현진;이상극;강하영;최돈하;최인규
    • 임산에너지
    • /
    • 제25권1호
    • /
    • pp.18-23
    • /
    • 2006
  • 미이용 천연염료자원에 대한 탐색연구의 일환으로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Makino)를 선발하고 열수 및 알칼리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pH 조건에 따른 염착량 및 색상, 명도, 채도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면, 한지, 실크에 대한 열수 및 알칼리추출물 처리 염색물의 최대흡수파장 (${\lambda}\;max$)은 400 nm였으며, pH 조건에 따른 염착량(K/S)은 실크의 알칼리추출물 처리 염색물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산성조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pH 7 전후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Munsell의 색상은 주로 알칼리추출물 처리 염색물은 YR 계열의 색상을, 열수추출물 처리 염색물은 R 계열의 색상을 나타냈다. 명도는 알칼리 조건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채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pH 7을 전후하여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거북꼬리 추출물로 염색할 경우 염색액의 최적 pH 조건은 pH 7로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아황산가스에 대한 주요 콩 품종간의 내성 비교 (Varietal Responses of Ten Soybean(Glycine max L.) to Sulfur Dioxide Tolerance : A Comparison of Foliar Injuries and Yields in Relation to Physiological Properties of Leaves.)

  • 박기선;구자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55-463
    • /
    • 1996
  • 아황산가스에 대한 주요 콩 품종들의 내성을 비교하고자 10개의 국내장려품종을 택하여 pot에 재배하고 밀폐된 chamber내에서 2.0ppm 의 아황산가스에 4시간 또는 8시간 처리하였다. 아울러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가시피해율과 엽록소 함량, 효소활성 및 기공 저항성 등의 생리적 특성과 내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황산가스에 대한 내성은 콩 품종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4시간 처리시 가시피해율은 보광콩, 장수콩, 장경콩에서 낮았고 은하콩, 팔달콩에서 높은 피해를 보였다. 8시간 처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피해율이 높게 나타나 피해정도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다. 2. 피해율과 생리적 특성과 관계는 4시간 처리에서 피해율과 SOD 활성간에 상관$(r=-0.611^{\ast})$이 인정되었으며, 엽록소 함량, POD 활성, 기공저항성등은 내성과의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3. 아황산가스에 의한 피해는 경장(莖長), 절간수(節稈數) 및 100립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물중, 협수(莢數) 및 총립수에는 영향이 컸다. 수량 감수율은 보광콩, 장경콩에서 적었고 은하콩, 팔달콩에서 크게 나타났다. 4.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과 수량과의 관계는 피해율이 가장 컸던 팔달콩에서는 $Y=-1.17X+98.82^{\ast\ast}$, 피해율이 가장 적었던 보광콩에서는 Y=-0.165X+94.93의 회귀를 보였다.

  • PDF

조도(粗度)가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ck joint roughness on shear strength)

  • 김영기;천성환
    • 지질공학
    • /
    • 제2권1호
    • /
    • pp.1-18
    • /
    • 1992
  • 불연속면을 갖는 암체는 거의 대부분 조도를 가지고, 이 조도는 전단강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므로 불연속면을 갖는 화강암류(15개), 편마암류(7개), 안산암류(1개)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전단마찰각(${\Phi}_p$), 조도의 한계응력(${\sigma}_r$) 및 전단파괴강도(${\tau}$_o)를 도출하여 불연속면에 있어서의 전단강도($\tau$)를 규명한 것이다. 1. 조도는 단계전단력에 따라 마찰각은 ${\Phi}_i=38.03^{\circ}$에서 $33.21^{\circ}$로 감소하고 있다. 즉 초기때가 가장 높고, 말기때가 가장 낮다. 2. 조도각(i)의 한계는 $45^{\circ}$ 이내 (시험치:$43^{\circ}$)에 분포하고, 절리조도계수(JRC)는 14를 넘지않으며, $JRC=-4.63{\;}Ln{\sigma}n+5.63$을 경계로한 분포 범위에 있다. 3. 조도한계응력 ${\sigma}_T$는 0.1-3.65Mpa일때 전단파괴강도 ${\tau}_o$는 0.01-0.46Mpa가 되고, 이들 불연속면의 전단강도 $\tau$는 3.65-39.11Mpa로 되어 있어서 만일 이 이상의 하중이 가해 졌을때 그 암체는 붕괴 및 활동이 일어날 것이다.

  • PDF

ISSR 분석에 의한 전나무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Abies holophylla Popul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ISSR Markers)

  • 김영미;홍경낙;이제완;양병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182-188
    • /
    • 2014
  • ISSR 표지를 이용하여 전나무 6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유전구조를 분석하였다. 6개 ISSR primer로 유전다양성을 추정한 결과, 집단별 다형성 유전자좌의 비율은 평균 85.6%, 이형접합도 기대치($H_e$)는 0.288로 나타났다. AMOVA 결과, 전체 유전변이에서 5.6%는 집단간, 94.4%는 집단내 개체간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즈 추론에 근거한 유전분화는 ${\theta}^{II}$$G_{ST}$가 각각 0.045, 0.038로, 근연교배 정도는 0.509로 추정되었다. Mental 검증에서 집단간 지리적 거리가 멀수록 유전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판명되었다(r = 0.74, P < 0.05). UPGMA 방법과 PCA 결과에 따라서 남원, 청도, 문경 집단을 한 군집으로, 인제, 홍천, 평창 집단을 다른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다. 베이즈 군집분석에서는 유전변이 분포에 따라서 남원, 문경 집단이 한 군집으로 인제, 홍천, 평창, 청도 집단이 다른 한 군집으로 묶여서 2개의 상위 군집으로 나뉘었다. 빈도주의 분석에 따른 '군집'을 반영한 AMOVA 결과에서 전체 유전변이의 3.9%를 군집의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전나무 집단의 지리적 분포는 베이즈 분석보다는 UPGMA 방법에 의한 구분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엽-협 비율 조절에 따른 탄소와 질소의 전류 (Carbon-Nitrogen Transport in Response to Control of Leaf-Pod Ratio in Soybean)

  • 성락춘;강병화;박세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94-601
    • /
    • 1994
  •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50%와 하부 50%로 구분하여 엽제거 및 엽-협제거처리 하여 줄기, 엽 및 종실건물중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과 1991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 농장에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 모두 건물축적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처리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평균 줄기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로 높았고 상엽제거와 하엽제거는 낮았다. 3. 엽건물중은 처리중에서 상부엽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4. 종실수와 종실건물중은 엽 및 엽-협제거로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와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높았다. 5. 가용성 당과 전분함량도 처리중에서 하부종실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단백질함량은 상엽제거의 상부와 하엽제거의 하부에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의 상부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방조제의 설계를 위한 태풍의 분석 (Analysis of Typhoon for Design of Sea-Dike)

  • 한상욱;이중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089-4095
    • /
    • 1976
  • The safety of 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ea dipe is largely affected by typhoon.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analize the typhoon and determine the wind direction and velocity for use in planning and design of the structure. This method was adopted for the design of the Yong San Gang Estuary Dam.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sults of typhoon analysis with the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through actual observ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1) 62% of the typhoons occur during May to June in a year, and 62% of the typhoon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the proposed estuary dam fsite, proceed eastward through the zone in lat. 36$^{\circ}$-37$^{\circ}$N. Such typhoons occur two to three times a year on the average. (2) Data on typhoon "SARL" were used as a model case in designing the estuary dam, where it was proved that a southwesterly wind had a maximum velocity of 30m/sec in case r=150km, ${\alpha}$=120$^{\circ}$. Within the range of 22$^{\circ}$30'on the right and left side of the fetch line of the estuary dam, the wind direction varied SSW\longrightarrowSW\longrightarrowWSW, and the wind velocity varied 29m/sec\longrightarrow30m/sec\longrightarrow125m/sec. Such phenomemum lasted for five hours. (3) An analysis of data obtained during 44 years at Mok Po Meteorological Station shows that a wind with a velocity of some 25m/sec occurred twelve times in the S-direction and two times in the SW-direction, while that with a velocity of 30m/sec occurred three times in the S-direction, three times in the SSW-direction and one time in the SW-direction. The wind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estuary dam had a direction of SSW\longrightarrowSW\longrightarrowWSW and a velocity of min. 30m/sec. Actually, a wind with a max. velocity of 31.3m/sec occurred in the SSW-direction on March 15 and 16, 1956 where the mean velocity during two hours was 28m/sec and that during four hours was 24.6m/sec. (4) The data obtained through actual observation show that when the velocity is low, the wind with a fixed direction lasts long, and when the velocity is high, it is short-live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velocity of a wind which blows in a fixed direction for consecutive two or four hours. Therefore, the values obtained through typhoon analysis are larger that those obtained through actual observation, and hence, it is resonable to use the analyzed valuse for design of the estuary dam and shore structures. (5) The greatest effect was had on the estuary dam when typhoon was proceeding at a velocity of 29.71m/sec in the direction of ${\alpha}$=120$^{\circ}$(SW) at a point of R=150km from the center of the typhoon.

  • PDF

에지형 Back Light Unit의 휘도와 균일도 향상을 위한 복합도 광판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Dual-layer LGP for Improving Luminance and Uniformity of Edge Type Back Light Unit)

  • 오세원;김남;김은석;안준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47-2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에지 방식의 BLU(Backlight unit)에 사용되는 도광판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광학시트를 줄이면서 휘도와 균일도 및 시야각을 유지하기 위한 이중구조의 도광판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휘도와 균일도를 알아보았다. 여기에 사용된 복합 도광판은 이중구조의 도광판으로 상부에는 곡률 R을 갖는 프리즘패턴을 형성하고 곡률 R에 따른 휘도와 균일도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하부에는 V groove 패턴을 회전시켜 상부패턴과 $90^{\circ}$를 이루게 하여 균일도를 확보하였다. 특히, 하부 패턴에서는 외곽의 피치 간격과 중심의 피치간격의 비(최대:최소), 패턴의 개수와 패턴의 분산을 정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V groove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였다. 복합 도광판(dual-layer light guide plate, DLGP)의 최적화를 위해 다시 하부 패턴의 개수를 변화시켜 균일도를 알아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복합 도광판을 이용한 BLU는 균일도 90.6%, 시야각 $145^{\circ}$인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천연염료자원 탐색 및 염색특성(II) - 염색조건에 따른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Makino)추출물의 염색특성 - (The Search and Dyeing Properties of Natural Dyes Resources(II) - The Dyeing Properties of Boehmeria tricuspis Makino Extracts by Dyeing Condition -)

  • 조현진;이상극;강하영;최돈하;최인규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22-27
    • /
    • 2006
  • 거북꼬리의 적정염색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열수 및 알칼리추출물을 사용하여 염색조건에 따른 염착량(K/S) 및 Munsell의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면, 한지, 실크에 대한 열수 및 알칼리추출물 처리 염색물의 최대흡수파장(${\lambda}max$)은 400 mm였다. 염색조건에 따른 염착량은 온도와 시간 조건에서 실크 염색물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80\;^{\circ}C$와 40분을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농도조건에서는 농도가 높을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unsell의 색상은 온도와 시간조건에서 알칼리추출물 처리 염색물은 YR (Yellow Red) 계열의 색상을, 열수추출물 처리 염색물은 R (Red)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었으며 온도는 $80\;^{\circ}C$, 시간은 40분을 전후로 큰 변화가 없었다. 명도 및 채도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염색조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거북꼬리추출물로 염색할 경우 최적 염색조건은 온도 $80\;^{\circ}C$, 시간 40분, 농도 100% (추출원액)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iCl-KCl 공융염 내에서 희토류염화물들의 침전 (Precipitation of Rare Earth Chlorides in a LiC-KCl Eutectic Molten Salt)

  • 조용준;양희철;은희철;김응호;김인태
    • 공업화학
    • /
    • 제18권4호
    • /
    • pp.361-365
    • /
    • 2007
  • LiCl-KCl 공융염 내 존재하는 몇가지 희토류염화물($Ce/Nd/GdCl_3$)들의 산소와의 반응으로 인한 침전반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소와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희토류침전물의 형태와 산소분산 시간(최대 420 min) 및 공융염($450{\sim}750^{\circ}C$) 온도가 침전물로의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산소분산 시간 및 공융염의 온도와 무관하게 $NdCl_3$$GdCl_3$는 옥시염화물(REOCl), $CeCl_3$는 산화물($REO_2$)형태로 침전되었으며 이러한 실험결과는 반응 Gibbs free energy (${\Delta}G_r$) 를 이용한 예측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희토류염화물의 침전물로의 전환특성은 전환율 개념을 도입하여 파악하였다. 전환율은 산소분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지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750^{\circ}C$의 공융염 온도 및 300 min 이상의 분산시간 조건에서 0.999 이상의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공융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전환율이 증가하였다. Ce의 경우에는 60 min 이상의 산소분산 조건에서 전 실험온도 범위에서 0.999 이상의 일정한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발기부전의 선별검사로서 파파베린유도 음경발기 촬영술의 재조명 (Reevaluation of $^{99m}Tc$-HSA Erection Penography in the Impotence Patients)

  • 김덕규;박정하;박희승;정경우;김종성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1-376
    • /
    • 1994
  • 저자들은 파파베린유도 음경발기촬영술이 발기부전 원인의 선별검사로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정상인 12예와 제반검사에서 확진된 동맥성 발기부전 5예, 정맥성 발기부전 12예, 심인성 발기부전 11예, 혼합형 발기부전 8예 및 신경성 발기부전 19예를 대상으로 하여 파파베린의 국소 주사로 발기를 유도하고 $^{99m}Tc$-HSA를 정주하여 관심영역의 시간방사능곡선을 구한 다음 발기유발시간, 발기지속시간 및 정맥성 계수를 비교하였다. 동맥성 발기부전군에서 발기유발시간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지연되어 있었고, 정맥성 발기부전군에서는 정상대조군과 동맥성 발기부전군에 비하여 발기지속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정맥성계수는 더 낮았다. 심인성 발기부전군에서는 발기지속시간이 정상 대조군 및 동맥성 발기부전군에 비해 지연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파파베린유도 음경발기촬영술은 동맥성과 정맥성 발기부전 뿐만 아니라 심인성 발기부전도 선별할 수 있는 좋은 검사법으로 생각되나 혼합형과 신경성 발기부전을 감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