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2.5}$ concentrations

검색결과 1,711건 처리시간 0.026초

2006 ~ 2008년 황사기간 중 천안시 대기 입자의 특성 변화 (Changes in aerosol characteristics during 2006 ~ 2008 Asian dust events in Cheonan, Korea)

  • 오세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642-1647
    • /
    • 2009
  • 황사기간 중 천안시 대기 입자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Cascade Impactor를 장착한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대기 시료를 채취하여, 대기 입자의 입경별 질량농도 및 이온, 금속 성분의 농도를 황사기간과 비황사기간에 비교 측정하였다. 황사기간 중 일평균 TSP, PM10, PM2.5 평균 농도가 각각 214.9, 160.3, 95.9${\mu}\;g/m^3$으로, 비황사기간에 비해 각각 평균 3.08, 2.58, 1.95배 증가하였으며, 최대 농도는 TSP, PM10, PM2.5가 각각 850.1, 534.4, 233.3${\mu}\;g/m^3$으로, 비황사기간에 비해 각각 12.19, 8.60, 4.76배까지 증가하였다. 황사기간 중 농도의 증가는 미세입자보다는 조대입자에서 현저하였으며, 미세입자와 조대입자 모두 수용성 이온성분의 증가는 미미한 반면, 토양의 주요 구성 성분인 Fe, Al, Ti의 증가가 뚜렷이 관측되어, 토양구성 금속성분이 황사기간 중 입자 농도 증가의 주요원인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 성북지역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결합 수은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Fine Particles and Particles-bound Mercury in Seongbuk-gu Area of Seoul Metropolitan City)

  • 박은정;이종화;김대선;박광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2호통권57호
    • /
    • pp.185-188
    • /
    • 2007
  • PM10 and PM2.5 in ambient air were collected in Seongbuk-gu area of Seoul for one year, from April 2005 to February 2006, and the concentration of PM-bound mercury was monitored. The annual concentrations of particles were $66.4{\pm}43.2{\mu}g/m^3\;(47.6{\pm}19.1{\mu}g/m^3-106.1{\pm}78.0{\mu}g/m^3)$ in PM10 and $37.2{\pm}20.4{\mu}g/m^3\;(28.0{\pm}23.4{\mu}g/m^3{\sim}42.7{\pm}21.4{\mu}g/m^3)$ in PM2.5, which is about 56% of PM10 concentration.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mercury were $0.125{\pm}0.078ng/m^3\;in\;PM10\;and\;0.141{\pm}0.080ng/m^3$ in PM2.5, respectively. In April of Asian dust season in Korea, mercury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both PM10 and PM2.5.

한국 재래 산양에 있어서 Prostaglandin $F_{2\alpha}(PGF_{2\alpha})$의 투여가 호르몬 함량 및 난포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staglandin $F_{2\alpha}(PGF_{2\alpha})$ Treatment on Hormone Concentrations and Follicular Development in Early Postpartum Korean Native Goats)

  • 변명대;함태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62
    • /
    • 2001
  • 본 실험은 한국재래산양에 있어서 분만 후 초기에 prostaglandin $F_{2{\alpha}}$(PG $F_{2{alpha}$)의 투여가 호르몬 농도 및 난포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만한 한국재래산양에 혈장중 PG $F_{2{\alpha}}$의 농도는 PG $F_{2{\alpha}}$처리 후 2일에 PG $F_{2{\alpha}}$처리군 (GR-1 및 GR-2)에서 각각 6.35$\pm$0.5 및 0.22$\pm$0.2pg/$m\ell$로서 저하한 후 점차 증가하여 4일 후 21.18$\pm$1.6 및 4.21$\pm$0.4 pg/$m\ell$로서 절정에 도달하였다. 2. 혈장중 PG $F_{2{\alpha}}$의 농도는 PG $F_{2{\alpha}}$ 처리 전 9.08$\pm$1.2 및 5.44$\pm$1.8 pg/$m\ell$였으며 처리후 농도는 다소 저하하였으나 처리 군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3. 혈장중 estradiol-l7$\beta$( $E_2$)농도는 PG $F_{2{\alpha}}$ 처리 후 2일까지 점차 감소한 후 3일에 증가하여 4일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4. 혈장중 luteinizing hormone (나T)의 농도는 PG $F_{2{\alpha}}$ 처리 후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혈장중 prolactin (PRL)의 농도는 PG $F_{2{\alpha}}$처리후 감소되었으나 저농도의 수준으로 남아 있었다. 6. PG $F_{2{\alpha}}$의 처리 후 소형 및 중형의 난포의 수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4mm 이상 대형 난포의 수는 숫적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G $F_{2{\alpha}}$ 및 estradiol-17$\beta$는 난포의 직경과 관계가 있다고 암시되며 PG $F_{2{\alpha}}$는 난포발육을 촉진하였다고 생각된다.

  • PDF

부산지역 지하역사의 최근 3년간(2015~2017년) PM10과 PM2.5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at Subway Stations in Busan for 3 years (2015~2017))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581-594
    • /
    • 2019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M_{10}$ and $PM_{2.5}$ concentrations at the main subway stations in Busan. Annual mean $PM_{10}$ concentrations at the Seomyeon 1- waiting room and platform were $51.3{\mu}g/m^3$ and $47.5{\mu}g/m^3$, respectively, and the annual $PM_{2.5}$ concentration at the Seomyeon 1- platform was $28.8{\mu}g/m^3$. $PM_{2.5}$/$PM_{10}$ ratio at Seomyeon 1-platform and Dongnae station were 0.58 and 0.53, respectively. Diurnal variation of $PM_{10}$ concentration at subway stations in Busan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aks and the times at which the peaks occurred. Unlike the areas outside of the subway stations which reported maximum $PM_{10}$ concentration mostly in spring across the entire locations, the interiors of the subway stations reported the maximum $PM_{10}$ concentration in spring, winter, and even summer, depending on their location. $PM_{10}$ concentration was highest on Saturday and lowest on Sunday. The numbers of days when $PM_{10}$ concentration exceeded $100{\mu}g/m^3$ and $80{\mu}g/m^3$ per day over the last three years at the subway stations in Busan were 36 and 239,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enhace the understanding of the fine particle characteristics at subway stations in Busan and be useful for developing a strategy for controlling urban indoor air quality.

2006-2008년 봄철 부산 지역 PM10과 PM2.5의 질량농도 및 금속성분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the Metallic Elements and the Mass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Observed in Busan, Korea in Springtime of 2006-2008)

  • 전병일;황용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4-2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봄철에 $PM_{10}$$PM_{2.5}$를 채취하여 질량농도와 금속원소의 화학적 특성, 기상인자와의 관계 분석, 황사 및 비황사시의 미세먼지 특성 그리고 이동경로에 따른 농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기간동안의 $PM_{10}$, $PM_{2.5}$, $PM_{10-2.5}$평균농도는 각각 $126.2{\pm}89.8$, $85.5{\pm}41.6$, $40.7{\pm}54.9{\mu}g/m^3$이었으며 $PM_{2.5}/PM_{10}$$PM_{10-2.5}/PM_{2.5}$ 비는 각각 0.70, 0.48이었다. 우리나라의 북서쪽인 북경을 포함한 지역과 서쪽인 상해를 포함한 지역에서 공기덩어리가 이류 할 때 가장 높은 미세먼지농도를 나타내었다.

부산지역 여름철 해풍 발생 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중의 이온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Concentration and Ionic Elements of PM2.5 during Sea Breeze Occurrences in Summertime in Busan)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5-474
    • /
    • 2021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concentration and ionic elements of PM2.5 during sea breeze occurrences during summertime in Busan. Th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of summertime sea breeze occurrence days in Busan were 46.5 ㎍/m3 and 34.9 ㎍/m3, respectively. Th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of summertime non-sea breeze occurrence days in Busan were 25.3 ㎍/m3 and 14.3 ㎍/m3, respectively. The PM2.5/PM10 ratios of sea breeze occurrence days and non-sea breeze occurrence days were 0.74 and 0.55, respectively. The SO42-, NH4+, and NO3- concentrations in PM2.5 of sea breeze occurrence days were 9.20 ㎍/m3, 4.26 ㎍/m3, and 3.18 ㎍/m3 respectively. The sulfur oxidation ratio (SOR) and nitrogen oxidation ratio (NOR) of sea breeze occurrence days were 0.33 and 0.0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understanding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 and ionic elements of PM2.5 during sea breeze summertime conditions can provide insights useful for establishing a control strategy of urban air quality.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각성시와 수면중의 혈중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 변화 (The Changes of Plasma Atrial Natriuretic Peptide Concentrations During Waking and Sleep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문화식;최영미;송정섭;박성학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2호
    • /
    • pp.156-164
    • /
    • 1995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정상인과 달리 각성시보다 수면중에 뇨량과 나트륨 뇨배설이 증가하며 이러한 현상은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의 분비반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으로 확진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각성시와 수면중에 말초 정맥혈로부터 혈중 ANP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군에서는 수면전 ANP 농도 ($60.2\;{\pm}\;5.8pg/ml$)에 비해 수변중 ANP 농도 ($122.9\;{\pm}\;29.9pg/ml$)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p <0.05), 대조군에서는 수면전 ANP 농도($59.2\;{\pm}\;5.7pg/ml$)와 수면중 ANP 농도($69.6\;{\pm}\;3.0pg/ml$)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05). 2) 수면전 ANP 농도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군($60.2\;{\pm}\;5.8pg/ml$)과 대조군($59.2\;{\pm}\;5.7pg/ml$)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 > 0.05), 수면 중 ANP 농도 역시 환자군($122.9\;{\pm}\;29.9pg/ml$)과 대조군 ($69.6\;{\pm}\;3.0pg/ml$)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3)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군에서 수면중 ANP 농도는 무호흡지수(r = 0.3846, p < 0.05) 및 호흡장애지수 (r = 0.3939, p < 0.05)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저자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각성시에 비해 수면중에 혈중 ANP 농도가 증가하며 ANP 농도의 증가는 무호흡지수 및 호흡장애지수와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2006~2007년 천안시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별 농도 및 이온성분 특성 (Size-segregated mass and ion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aerosols in Cheonan City between 2006 and 2007)

  • 이형배;오세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49-1353
    • /
    • 2008
  • 충청남도, 천안시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별 농도 및 이온성분 특성을 분석하고자, 2006년 3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천안시 상명대학교에서 Cascade Impactor를 장착한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대기 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입경별 에어로졸의 일평균농도는 TSP, PM10, PM2.5, PM1이 각각 61.7, 55.2, 43.7, $33.2{\mu}g/m^3$였으며, 직경이 $1{\sim}3{\mu}m$인 영역을 경계로 조대영역과 미세영역으로 나누어지는 전형적인 도심지 특성을 나타냈다. 이 중 미세영역입자인 PM2.5이 전체 에어로졸의 70.8%를 차지하였다. 이들 에어로졸 입자의 성분 분석 결과 양이온은 ${NH_{4}}^+$, $Na^+$, $K^+$, $Ca^{2+}$, $Mg^{2+}$이, 음이온은 ${SO_{4}}^{2-}$, ${NO_{3}}^-$, $Cl^-$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이들 수용성 이온이 차지하는 비율은 조대입자에서 37.4%, 미세입자에서 46.2%였다.

수도권 초미세먼지 농도모사: ( I ) 2013 CAPSS 배출량 목록의 전구물질별 기여도 추정 (PM2.5 Simulation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I ) Contributions of Precursor Emissions in the 2013 CAPSS Emissions Inventory)

  • 김순태;배창한;김병욱;김현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9-158
    • /
    • 2017
  • CMAQ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otential range of contributions on surface $PM_{2.5}$ concentra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ith the gaseous precursors and Primary Particulate Matters(PPM) available from a recent national emissions inventory. In detail, on top of a base simulation utilizing the 2013 Clean Air Policy Supporting System (CAPSS) emission inventory, a set of Brute Force Method (BFM) simulations after reducing anthropogenic $NO_x$, $SO_2$, $NH_3$, VOCs, and PPM emissions released from area, mobile, and point sources in SMA by 50% were performed in turn. Modeling results show that zero-out contributions(ZOC) of $NH_3$ and PPM emissions from SMA are as high as $4{\sim}5{\mu}g/m^3$ over the region during the modeling period. On the contrary, ZOC of local $NO_x$ and $SO_2$ emissions to SMA $PM_{2.5}$ are less than $1{\mu}g/m^3$. Moreover, model analyses indicate that a wintertime $NO_x$ reduction at least up to 50% increases SMA $PM_{2.5}$ concentrations, probably due to increased HNO3 formation and conversion to aerosols under more abundant ozone and radical conditions after the $NO_x$ reduction. However, a nation-wide $NO_x$ reduction decreased SMA $PM_{2.5}$ concentrations even during winter, which implies that nation-wide reductions would be more effective to curtail SMA $PM_{2.5}$ concentrations than localized efforts.

부산지역 PM10과 PM2.5 중의 금속 농도와 이온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Concentrations in PM10 and PM2.5 in Busan)

  • 전병일;황용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19-827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etallic elements and water-soluble ions in $PM_{10}$ and $PM_{2.5}$. $PM_{10}$ and $PM_{2.5}$ concentrations in Busan during 2010-2012 were $97.2{\pm}67.5$ and $67.5{\pm}32.8{\mu}g/m^3$, respectively, and the mean $PM_{2.5}/PM_{10}$ concentration ratio was 0.73. The contribution rate of water-soluble ions to $PM_{10}$ ranged from 29.0% to 58.6%(a mean of 38.6%) and that to $PM_{2.5}$ ranged from 33.9% to 58.4%(a mean of 43.1%). The contribution rate of sea salt to $PM_{10}$ was 13.9% for 2011 and 9.7% for 2012, while that to $PM_{2.5}$ was 17.4% for 2011 and 10.1% for 2012. $PM_{10}$ concentration during Asian dust events was $334.3{\mu}g/m^3$ and $113.3{\mu}g/m^3$ during non-Asian dust events, and the $PM_{10}$ concentration ratio of Asian Dust/Non Asian dust was 2.95. On the other hand, the $PM_{2.5}$ concentration in Asian dust was $157.4{\mu}g/m^3$ and $83.2{\mu}g/m^3$ in Non Asian dust, and the $PM_{2.5}$ concentration ratio of Asian Dust/Non Asian dust was 1.89,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P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