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10}$$PM_{2.5}$$PM_1$

검색결과 10,795건 처리시간 0.047초

Experiments of a Novel Magnetic Levitation Stage for Wide Area Movements

  • Jeon, Jeong-Woo;Caraiani, Mitica;Oh, Hyeon-Seok;Kim, Sung-Shi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558-563
    • /
    • 2012
  • In this paper, a novel planar type magnetic levitation system without other assistant devices is proposed and it can move with 6 degree of freedom (X, Y, Z, ${\theta}_X$, ${\theta}_Y$, ${\theta}_Z$) in wafer size as well as in nano scale positioning.The mover is composed with 2-D Halbach permanent magnet array and the stator is composed with $10{\times}10$ coil arrays.It was composed in laboratory and tested with short stroke (4 [mm]) and long stroke (160 [mm])movements. The errors of short movement test is [X, Y, Z, ${\theta}_X$, ${\theta}_Y$, ${\theta}_Z$]${\leq}$ [${\pm}200nm$, ${\pm}200nm$, ${\pm}250nm$, ${\pm}3urad$, ${\pm}2urad$, ${\pm}1urad$]The errors of long stroke movement test is [X, Y, Z, ${\theta}_X$, ${\theta}_Y$, ${\theta}_Z$]${\leq}$ [${\pm}200nm$, ${\pm}200nm$, ${\pm}250nm$, ${\pm}1.5urad$, ${\pm}2urad$, ${\pm}0.5urad$].

임신부의 혈청 비타민 B 수준과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준 및 MTHFR 유전자형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ernal Serum B vitamins, Homocysteine Concentrations and the 5, 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Polymorphism on Pregnancy Outcomes)

  • 김기남;김영주;박혜숙;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4호
    • /
    • pp.389-396
    • /
    • 2003
  • Maternal nutritional status has been shown to influence pregnancy outcomes. And the elevated maternal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serum levels of B vitamins and homocysteine, and the C677T MTHFR (5, 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polymorphism on pregnancy outcomes. In 177 pregnant women of 24-28 wks of gestation, the MTHFR gene mutation, serum B vitamins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nd their pregnancy outcomes were investigated from medical records. The birth length, and 1- and 5-min Apgar scores of neonates in the T/T mothers were 45.4 $\pm$ 9.3 cm, 7.6 $\pm$ 3.2 and 8.5 $\pm$ 3.8,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T (48.6 $\pm$ 3.3 cm, 9.0 $\pm$ 0.2, 10.0 $\pm$ 0.2) or the C/C mothers (49.4 $\pm$ 1.9 cm, 9.0 $\pm$ 0.2, 10.0 $\pm$ 0.0). The birth weight, birth length and the gestational age of neonates at delivery from hyperhomocysteinemic mothers whose homocysteine levels higher than 15 $\mu$ mol were 2.5 $\pm$ 1.3 kg, 43.9 $\pm$ 9.0 cm, 35.4 $\pm$ 6.3 wk,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 lower than those from normohomocysteinemic mothers (3.1 $\pm$ 0.6 kg, 48.8 $\pm$ 3.6 cm, 38.5 $\pm$ 2.5 wk). The birth weight and birth length of neonates in mothers whose PLP levels were below the media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mothers with the PLP levels above the median. The 1- and 5-min Apgar scores of neonates were lower in mothers with the T/T MTHFR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C/T or C/C only when the serum PLP levels were below the median. The 1-, 5 min Apgar scores and birth length of neonates were lower in mothers with the T/T MTHFR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C/T or C/C only when the serum FMN levels were below the median. In conclusion, maternal B vitamin status, homocysteine and the C677T MTHFR genotype seem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on pregnancy outcomes.

반복성 구토 또는 역류증 환아에서 24시간식도 산도 측정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24-Hour Esophageal pH Monitoring in Children with Recurrent Vomiting or Regurgitation)

  • 이소현;이창한;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39-146
    • /
    • 1999
  • 목 적: 소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는 대부분 생리적 위식도 역류에 기인하지만 치료가 필요한 병적인 역류와 감별이 필요하다. 병적 역류의 진단에 이용되는 24시간 식도산도 측정의 임상적 의의와 더불어 역류지표들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들 중 glass electrode 및 GastrograpH (MIC, Switzerland)를 이용하여 24시간 식도 산도측정을 시행한 87례를 대상으로 병적 역류의 연령별 빈도를 알아보고,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의 역류 지표들의 평가와 더불어 두 군내에서의 하루중 시간대 별 역류 지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총 87명 중 병적 역류 환아는 32명(36.8%) 였으며, 연령별로는 6개월 미만에서 32.5%, 6개월~1세 사이 13.3%, 1~2세 사이 61.5%, 2~3세 사이 14.3%, 3세 이상에서는 66.7%에서 병적역류를 보였다. 생리적 역류군에서 총 역류지수는 1세미만에서 $3.7{\pm}2.9%$, 1세 이상에서 $1.8{\pm}1.5%$로 1세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p=0.02)를 보였으며, 하루 시간대별 1세 전후의 역류지수는 아침시간대에서만 1세 이하군이 의의 있게(p=0.04) 높았다. 역류횟수는 각각 $118{\pm}150$, $108{\pm}104$회로 1세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분 이상 지속된 역류횟수는 1세 전후에서 각각 $1.7{\pm}1.9$, $0.8{\pm}1.0$회로 1세이하에서 유의하게(p=0.03) 많았으며, 가장 긴 1회 역류시간은 1세 전후에서 각각 $604{\pm}551$초, $275{\pm}296$초로 1세 이하에서 유의하게(p=0.007) 길었다. 병적 역류군에서 총역류지수는 1세 미만에서 $17.7{\pm}11.6%$, 1세 이상에서$7.7{\pm}2.9%$였고 역류횟수는 1세 전후에서 각각 $365{\pm}224$, $294{\pm}202$회였으며, 5분 이상 지속된 역류횟수는 $8.9{\pm}4.6$, $3.2{\pm}1.8$회였다. 가장 긴 1회 역류시간은 1세 전후에서 각각 $1955{\pm}2190$초, $1093{\pm}706$초였다.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 각각에서 하루 시간대 사이의 역류 지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glass electrode 및 GastrograpH를 이용한 24시간 식도 산도 측정 검사상 1세 미만에서는 역류 지수 10%, 1세 이상에서는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병적 역류는 36.8%에서 관찰되었다.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의 시간대별 역류 지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병적 역류군의 역류발생빈도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크며, 특히 1~2세 사이의 환아에서 그 비율이 현저히 높았고, 또한 1세 전후의 역류지수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므로, 향후 보다 많은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1~2세 사이의 병적 역류의 기준 역류 지수를 5~10% 사이에서 더 세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급성 파라콰드중독후 생존한 15예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the 15 patients survived after acute paraquat intoxication)

  • 김동웅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5
    • /
    • 1999
  • From January 1994 to April 1997, there was 15 survivals who wa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Oriental Medicine Hospital in Cheun-ju, after ingestion of paraquat, and treated wi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therapy. For the patients, I investigated clinical symptoms, gastroduodenoscopy, intake by oral and parenteral route, and output by urine and stool, serum ALP, AST. ALT, Bilirubin, BUN, Creatinine level and urine analysis. On admission day, the LFT level was as follows. The serum mean ALP, AST, ALT, Total Bilirubin and Direct Bilirubin was $10.05{\pm}2.75\;KAU$, $66.67{\pm}9.88\;IU/L$, $43.80{\pm}7.74\;IU/L$, $1.89{\pm}1.22\;mg/dl$ and $1.10{\pm}1.14\;mg/dl$ respectively. After that day, administered Gamdutang and checked the mean LFT level regullary. Until the 3rd day, the mean ALP, AST, ALT, Total Bilirubin and Direct Bilirubin level was $11.01{\pm}3.16\;KAU$, $56.47{\pm}7.19\;IU/L$, $59.00{\pm}7.57\;IU/L$, $2.54{\pm}1.78\;mg/dl$, $1.64{\pm}1.59\;mg/dl$ respectively. From 4th day to 7th day, the mean ALP; AST, ALT, Total Bilirubin and Direct Bilirubin level was $12.51{\pm}3.49\;KAU$, $77.85{\pm}7.17\;IU/L$, $58.00{\pm}9.09\;IU/L$, $2.54{\pm}1.97\;mg/dl$, and $1.80{\pm}1.81\;mg/dl$ respectively. From 8th day to 10th day, the mean ALP, AST, ALT, Total Bilirubin and Direct Bilirubin level was $12.43{\pm}3.14\;KAU$, $41.13{\pm}6.49\;IU/L$, $50.40{\pm}7.17\;IU/L$, $1.66{\pm}1.90\;mg/dl$ and $1.14{\pm}1.50\;mg/dl$ respectively. From 11th day to 14th day, the mean ALP, AST, ALT, Total Bilirubin and Direct Bilirubin level was $12.30{\pm}3.25\;KAU$, $31.07{\pm}3.85\;IU/L$, $43.33{\pm}5.49\;IU/L$, $1.62{\pm}1.95\;mg/dl$, $1.17{\pm}1.71\;mg/dl$ respectvely. On admission day, the mean RFT level as follows. Serum BUN and Creatinine level was $28.73{\pm}5.19\;mg/dl$ and $1.82{\pm}1.27\;mg/dl$ respectively. After that day, administered Gamdutang and checked the mean RFT level regullary. Until the 3rd day, the mean BUN and Creatinine level was $32.12{\pm}5.65\;mg/dl$ and $2.31{\pm}0.45\;mg/dl$ respectively. From 4th day to 7th day, the mean BUN and Creatinine level was $31.07{\pm}5.47\;mg/dl$ and $1.92{\pm}0.79\;mg/dl$ respectively. From 7th day to 10th day, the mean BUN and Creatinine level was $17.47{\pm}3.57\;mg/dl$ and $1.33{\pm}0.59\;mg/dl$ respectively. From 11th day to 14th day, the mean BUN and Creatinine level was $11.93{\pm}3.16\;mg/dl$, $1.27{\pm}0.38\;mg/dl$ respectively.

  • PDF

정상 어린이에서 혈청 인슐린양 성장인자-I과 인슐린양 성장인자 결합단백-2 및 -3의 농도 분석 (Evaluation of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IGFBP)-2 and IGFBP-3 Levels in Healthy Korean Children)

  • 양기훈;정혜림;김덕수;심재원;심정연;박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298-305
    • /
    • 2005
  • 목 적 : 혈청 IGF-I, IGFBP-2, IGFBP-3 농도 및 IGF-I/IGFBP-3 molar ratio는 소아의 성장 발달, 당뇨병, 비만 및 악성종양의 진단, 예후 예측과 치료후 추적에 유용한 지표이지만 성별, 연령별, 인종별 변이가 있다. 저자들은 우리나라 어린이의 성별 및 연령군별 혈청 IGF-I, IGFBP-2, IGFBP-3 농도 및 IGF-I/IGFBP-3 molar ratio의 정상 표준치 확립을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총 92명(남자 42명, 여자 50명)의 건강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고, 신생아군 9명(남자 3명, 여자 6명), 영아군 19명(남자 9명, 여자 10명), 유아군 24명(남자 13명, 여자 11명), 학령군 30명(남자 12명, 여자 18명), 청소년군 10명(남자 5명, 여자 5명)으로 분류 후,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 IGF-I, IGFBP-2 및 IGFBP-3 농도를 측정하였고, 각 군간의 IGF-I, IGFBP-2, IGFBP-3 및 IGF-I/IGFBP-3 molar ratio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1) 남자에서는 IGF-I과 IGFBP-3는 출생과 더불어 증가하여 각각 유아군(P<0.05), 학령군(P<0.05)에 최고값에 도달한 후 청소년군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IGFBP-2와 IGF-I/IGFBP-3 molar ratio는 각각 학령군과 영아군에 최고값을 보이고 감소하였으나 출생시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각 군간의 비교에서 IGFBP-2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여자에서는 IGF-I과 IGFBP-2, IGFBP-3는 출생과 더불어 증가하여 각각 청소년군, 학령군(P<0.05), 학령군(P<0.05)에 최고값에 도달하였으나 IGF-I은 출생시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IGF-I/IGFBP-3 molar ratio는 출생시에 최고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군간의 비교에서 IGFBP-2 및 IGFBP-3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동일연령군별 남녀 비교에서 IGF-I과 IGFBP-2, IGFBP-3 및 IGF-I/IGFBP-3 molar ratio 어느 것도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상관관계 조사시 IGF-I의 농도가 높을수록 IGFBP-3의 농도 역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r=0.504, P=0.000), IGF-I/IGFBP-3 molar ratio와 비만도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051, P=0.629). 또한 비만도와 IGF-I, IGFBP-2 및 IGFBP-3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결 론 : IGF-I과 IGFBP-3는 사춘기 진행에 따라 증가하며, 본 연구에서 IGFBP-3가 학령군에서 최고 수준을 보이는 것은 사춘기가 일찍 오는 요즘 어린이들의 성장 추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IGFBP-2는 신생아군에서 가장 높고 영아군에서 감소하는 데 이것은 IGFBP-2가 출생 전 발달 과정에 중요한 물질임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향후 더 많은 정상아를 대상으로한 연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우리나라 어린이의 성별 연령군별 정상 표준치 확립이 필요하겠다.

강원지방유우의 번식장해 발생실태 및 혈액학치에 관한 조사연구 III. 번식장해유우의 혈액학치에 관하여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Reproductive Disorder and Hematological Values of Dairy Cattle being raised in Kangweon District III. Blood Chemical Values of Holstein Cows)

  • 고광두;김정익;김홍기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2-166
    • /
    • 1988
  • Holstein cows being raised in the Kangweon district were examined on the values of blood chemistry in infertile cow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otal serum protein was 7.52$\pm$0.45g/100ml 2. Serum albumin was 3.06$\pm$0.28g/100ml 3. In values of serum globulin, $\alpha$1-globulin, $\alpha$2- globulin, $\beta$-globulin and ${\gamma}$-globulin were 0.79$\pm$0.14, 0.60$\pm$0.10, 0.86$\pm$0.13 and 2.21$\pm$0.35ng/100ml, respectively. 4. A/G ration was 0.69$\pm$0.09 5. Total cholesterol in serum was 119.73$\pm$34.52mg/100ml 6. Blood glucose was 55.24$\pm$6.46mg/100ml 7. Serum calcium was 9.27$\pm$0.87mg/100ml 8. Serum inorganic phosphorus was 5.74$\pm$0.86mg/100ml 9. Serum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was 47.90$\pm$11.02I$\mu$/l 10.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was 14.20$\pm$3.02I$\mu$/l

  • PDF

유지가열시 Benzo(a)pyrene 생성에 관한 연구(I) -대두유가열시-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Benzo(a)pyrene in Fats and oils by Heat Treatment(I))

  • 김인숙;안명수;장대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3-328
    • /
    • 1993
  • 유지를 가열할때 생성되는 B(a)P 및 기타 PAHs함량과 각 유지의 이화학적 성질변화와의 관계를 비교해 봄으로써 각 유지의 적절한 가열 온도와 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판 대두유를 $180\pm$5^{\circ}C$$,$200\pm$5^{\circ}C$$, $300\pm$5^{\circ}C$$,에서 50시간 가열한 것을 시료로 취하였다. 이들 각 시료의 B(a)P 및 기타 PAHs함량은 HPLC/UV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산패와 관련된 이화학적 성질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열유지의 산값(Acid Value, AV)과, 공액이중 산값(Conjugated Diene Value, CDNV)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시료로 사용한 대두유의 B(a)P 및 PAHs함량은 Pyr 1.093, B(a)P 0.986, Ch 1.147, DMBA 1.082, B(e)P 0.664, Per 1.135, B(a)P 0.146, DBA 1.053, 3-MC 0.055 $\mu\textrm{g}$/kg 이었다. 대두유를 $180\pm$5^{\circ}C$$, 에서 10,20,30,50시간 가열했을 때 B(a)P함량은 각각 0.391, 0.692, 0.451, 0.372$\mu\textrm{g}$/kg이었으며 $200\pm$5^{\circ}C$$, 와 $300\pm$5^{\circ}C$$,에서 가열했을 때 B(a)P함량은 각각 10시간일때 0.844와 0.466, 20시간일때 0.512와 0.706, 30시간일때 0.479와 0.607, 50시간일때 0.367과 0.247 $\mu\textrm{g}$/kg이었다. 2. 대두유를 10,20,30,50시 간 가열했을 때 산값은 180$\pm$5$^{\circ}C200\pm$5^{\circ}C$$,에서는 0.26, 0.26, 0.27, 0.33이었고, 200$\pm$5$^{\circ}C$에서는 0.23, 0.21, 0.21, 0.52였으며 $300\pm$5^{\circ}C$$,에서는 0.47, 1.57, 3.90, 6.42였다. CDNV는 $180\pm$5^{\circ}C$$,에서는 0.67,0.76,0.99,1.04였으며, $200\pm$5^{\circ}C$$,$^{\circ}C$에서는 0.39, 0.49, 3.27, 3.89였고 $300\pm$5^{\circ}C$$,에서는 0.65, 2.I5, 3.00, 3.88이었다. 3. 대두유를 가열했을 때 B(a)P의 생성과 산패도의 변화와의 관계를 볼때 B(a)P함량은 $180^{\circ}C$에서는 20시간가열시 0.692$\mu\textrm{g}$/kg, $200\pm$5^{\circ}C$$,에서는 10시 간 가열시 0.844$\mu\textrm{g}$/kg, $300\pm$5^{\circ}C$$,에서는 20시간 가열시 0.706$\mu\textrm{g}$/kg으로 가장 높게 생성된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산값과 공액이중산값은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즉 B(a)P생성과 산패도 변화사이에는 일정한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PDF

한국 연안산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의 일반성분 및 미네랄 함량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Laver Porphyra yezoensis from the Korean Coast)

  • 목종수;이태식;손광태;송기철;권지영;이가정;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54-559
    • /
    • 2011
  • To measur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laver Porphyra yezoensis, we collected 30 raw and 30 dried laver from the major production area of the south coast of Korea (Busan, Goheung, Haenam, Wando). The approximate composition of a 100 g edible portion of raw laver was $89.9{\pm}1.4$ g moisture, $3.7{\pm}1.0$ g protein, $0.5{\pm}0.2$ g lipids, $2.1{\pm}1.8$ g carbohydrate and $3.9{\pm}0.6$ g ash. The approximate composition of a 100 g portion of dried laver was $8.9{\pm}1.6$ g moisture, $31.5{\pm}6.5$ g protein, $1.9{\pm}0.3$ g lipids, $48.4{\pm}6.5$ g carbohydrate and $9.3{\pm}1.1$ g ash. No clear regional variation in laver composition was observed. The mineral content of laver was expressed as dry weight. The mean macro mineral content per 100 g portion of raw laver was (in descending order): K ($1,979{\pm}863.0$ mg), Na ($1,063.2{\pm}498.8$ mg), P ($658.7{\pm}101.8$ mg), Mg ($432.3{\pm}83.5$ mg) and Ca ($394.2{\pm}136.5$ mg). In comparison, the mean micro mineral content of raw laver was (in descending order): Fe ($243.72{\pm}154.75\;{\mu}g/g$), Zn ($72.76{\pm}30.61\;{\mu}g/g$), Mn ($41.53{\pm}15.33\;{\mu}g/g$), Cu ($4.16{\pm}1.66\;{\mu}g/g$) and Ni ($0.43{\pm}0.70\;{\mu}g/g$) No clear regional variation in the mineral content of laver was observed; however, raw laver contained a higher mineral content than dried laver.

비소세포폐암 III, IV기 환자에 있어서 Shell-Type Pseudo Target을 이용한 세기 조절 방사선치료계획기법의 유용성 평가 (Assessment of the Usefulness of an IMRT Plan Using a Shell-Type Pseudo Target with Patients in Stage III or IV of NSCLC)

  • 이상봉;박기주;박두찬;김만우;김준곤;노성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5-106
    • /
    • 2012
  • 목 적: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II, IV기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Shell-Type Pseudo Target의 유무에 따른 IMRT 치료계획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NSCLC III, IV기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Shell-Type Pseudo Target이 있을 때와(SPT) Shell-Type Pseudo Target이 없을 때(WSPT) 각각의 세기변조방사선치료(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계획을 세운 후, 선량-체적 히스토그람(Dose-Volume Histogram, DVH) 분석을 통해 종양 표적 내의 균일성 지수(Homogeneity Index, HI), 종양 표적에 대한 선량조형 지수(Conformity Index, CI), 척수 최대선량(Spinal Cord Maximum Dose), 식도에 대한 $V_{50%}$, 평균 폐 선량(Mean Lung Dose, MLD), 폐에 대한 $V_{40%}$ $V_{30%}$ $V_{20%}$ $V_{10%}$ $V_{5%}$ 등의 선량학적인 비교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결 과: WSPT와 SPT에 따른 각각의 CI 값은 평균 $1.22{\pm}0.04$, $1.16{\pm}0.032$ (.000*), HI 값은 평균 $1.06{\pm}0.015$, $1.07{\pm}0.014$ (.000*)로 나타났으며, CI 값은 SPT의 경우에서 각각의 차이 값에 대한 평균은 $-5.16{\pm}2.54%$의 감소를 보였으며, HI 값은 SPT의 경우에서 평균 $0.81{\pm}0.47%$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도에 대한 $V_{50%}$에서는 각각 $14.54{\pm}12.01%$ (WSPT), $12.14{\pm}11.09%$ (.000*, SPT)로 SPT에서 차이 값에 대한 평균이 $-26.37{\pm}25.05%$ 감소되었고, 척수 최대선량에서도 평균 선량이 각각 $3,898.44{\pm}1,075.0$ cGy (WSPT), $3,810.8{\pm}1,134.9$ cGy (.004*, SPT)로 SPT의 경우 평균 $-3.36{\pm}5.81%$ 감소되었다. 폐에 대한 $V_{X%}$에서는 $V_{5%}$, $V_{10%}$의 경우 차이 값에 대한 평균이 $-1.62{\pm}2.29%$ (.006*), $-1.98{\pm}5.02%$ (.005*)로 SPT의 경우에서 감소됨을 보여 주었고, 마찬가지로 $V_{20%}$, $V_{30%}$, $V_{40%}$에서도 각각 $-3.51{\pm}3.07%$ (.000*), $-4.84{\pm}6.01%$ (.000*), $-6.16{\pm}8.46%$ (.001*)로 SPT 경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함을 보이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MLD의 평가에서도 SPT의 경우에서 평균 $-2.83{\pm}2.41%$ (.000*)의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평균 169 cGy (Max: 547 cGy, Min: 6.4 cGy)의 처방선량을 SPT 사용 시 올릴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 론: NSCLC III, IV기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SPT를 이용한 IMRT 치료계획이 정상 폐에 들어가는 방사선량을 줄임으로 인해 방사선치료로 유발되는 폐렴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거라 생각되고, 또한 얼마간의 처방선량 증가로 인한 방사선치료 국소제어실패율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치료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Tris-buffer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가 동결.융해정자의 첨체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gar Kind Added in Tris-buffer on Acrosome Damage of Post-thaw Spermatozoa in Canine)

  • 유대중;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1-96
    • /
    • 2003
  •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 두부의 첨체의 손상과 생존율 및 운동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당의 종류에 따른 정자의 첨체손상 정도는 정상 정자비 율은 Fru+Tre, 처리구가 Fructose, Trehalose, Fru+Tre+Xyl, Fru+Xyl, Tre+Xyl, Xylose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83.0$\pm$5.6%, 82.3 $\pm$3.1%, 81.7$\pm$2.1%, 81.0$\pm$5.6%, 80.3$\pm$4.5%, 76.7$\pm$3.8%, 72.0$\pm$2.0%;(P<0.05). Fru+Tre처리구에서 CASA 분석 후 운동성이 Fru +Tre+Xyl, Tre+Xyl, Fru+Xyl, Xylose, Trehalose, Fructose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79$\pm$6 vs 75$\pm$3, 74$\pm$8, 71$\pm$11, 70$\pm$4, 66$\pm$15, 63$\pm$12%; P< 0.05). 전진운동율은 Fru+Tre 처리구가 Fru+Tre+Xyl, Tre+Xyl, Fru+Xyl, Xylose, Trehalose, Fructose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67$\pm$7, 64$\pm$3, 62$\pm$6, 61$\pm$8, 60$\pm$2, 57$\pm$13, 53$\pm$10%; P<0.05). 본 연구결과 70 mM Fru+Tre (two combination) 가 첨체 손상정도가 낮았으며 가장 높은 운동성 및 전진 운동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