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a^*$, $b^*$값

검색결과 1,635건 처리시간 0.036초

강황과 비트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Turmeric (Curcuma longa L.) and Beet (Beta vulgaris L.))

  • 조영;최미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81-4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황과 비트의 기능성을 살린 젤리를 실용화시키고 효과적인 배합비를 알아보기 위해 강황과 비트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해서 젤리를 제조한 후 pH, 산도, 당도, 색도, 투명도, 탁도, 물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젤리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강황 젤리는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와 당도가 유의적으로 높아지고(p<0.001), 산도는 낮아졌다(p< 0.001). 비트 젤리는 비트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유의적으로 낮아졌고(p<0.001), 산도와 당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색도는 강황 젤리의 경우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황색도(b)값과 적색도(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그리고 비트 젤리는 비트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과 황색도(b)값은 감소했고, 적색도(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투명도는 강황 젤리와 비트 젤리 모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탁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물성은 강황 젤리의 경우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탄력성은 낮아졌고, 부착성은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아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검성도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으며, 씹힘성은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낮아졌다. 또한 비트 젤리는 비트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도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부착성은 비트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01), 탄력성도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응집성은 낮아졌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검성은 비트 분말이 첨가되면서 낮아졌다. 씹힘성은 비트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01). 관능검사 결과는 강황 분말 첨가 젤리의 경우 색상은 T1(0.5%)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외관과 단맛도 T1(0.5%)가 가장 높았다(p<0.001). 씹힘성, 탄력성, 견고성, 투명도, 전반적인 수용도는 대조군이 모두 높았으나 그 다음으로는 T1(0.5%)가 높았다. 또한 비트 분말 첨가 젤리의 경우도 색상, 외관, 씹힘성, 탄력성은 B2(1%)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단맛은 대조군이 조금 높았으나,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견고성, 투명도는 대조군이 모두 높았으나 그 다음으로 B1(0.5%)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인 수용도는 B2(1%)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강황과 비트의 기능성을 살린 젤리를 실용화시키는 효과적인 배합비는 강황 분말의 경우 0.5%, 비트 분말은 1% 첨가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강황과 비트는 천연 색소와 기능성을 포함한 식품 소재로서 젤리에 강황과 비트 분말을 첨가 하는 것은 강황과 비트를 활용할 가치와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자초(紫草)추출물의 외관상 변색 (Visual Color Deterioration of the Extract of Lithospermi radix)

  • 윤희남;김호;신용달;유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26-430
    • /
    • 1985
  • 자초(紫草)추출물의 외관상 변색에 영향을 주는 온도와 pH에 대해 조사하였다. 변색은 Hunter치(値)의 차이로 표시 할 수 있으며 자초추출물의 Hunter치(値)는 $50^{\circ}C$ 이상에서 변화하기 시작하고 $60^{\circ}C$ 이상에서는 온도와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온도에 따른 Hunter L, a, b, 치(値)의 변이상관계수는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전체변색의 상관계수는 증가하였다. 66.7%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1시간 열처리 할때 Hunter치(値) 변이 상관계수는 L치(値)의 경우 -0.3696, a치(値)의 경우 -0.4124, b치(値)의 경우 -0.2279, 전체 변색에 있어선 0.5983이었다. 이 때 전체변색의 상관계수는 Hunter L, a, b 각각의 상관계수로부터 직접 계산할 수 있었으며 0.5988로서 거의 비슷한 값을 보여주었다. 한편 pH를 낮추면 Hunter a치(値)는 감도하고 L, b치(値)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pH를 증가시키면 pH6.5를 전후로 해서 Hunter L, a, b 치(値) 모두 다 급격히 감소하여 외관상 색깔이 좋지 않았다. 자초(紫草)추출물은 pH가 4.0-6.5일 때 외관상 가장 좋은 '선명한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 PDF

돈육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산삼 배양액 급여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 진상근;김일석;정현정;김동훈;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7-342
    • /
    • 2006
  • 본시험은 돼지에 대한 산삼 배양액 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60{\pm}3kg(126{\pm}3$일령)의 Berkshire 종 암퇘지와 거세돼지 각각 60두씩 총 120두를 선발하여 2(성; 암 vs. 거세)${\times}2$(대조구 vs. 산삼 배양액 첨가구) 'factorial' 실험설계 하에 돈방당 30두씩 4 돈방에 임의로 배치한 다음 약 110 kg($193{\pm}4$일령)까지 70일간 비육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산삼 배양액을 첨가하지 않은 구로 하였고, 시험구는 산삼 배양액을 1일 1L씩 첨가 음수시켰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리 간에 암퇘지의 경우 수분 함량, 경도 및 씹힘성은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력과 지방의 $L^*$값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p<0.05). 처리 간에 거세돼지의 경우 전단가와 육색 $a^*$값이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p<0.05) 산삼 배양액 급여에 따라 조직이 단단해지고 육의 $a^*$값은 향상되나 보수력과 지방의 명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성별 간에 처리구의 경우 조지방 함량, 지방의 $a^*$$b^*$값,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은 암퇘지보다 거세돼지가 낮게 나타났으나, pH는 반대로 높게 나타나(p<0.05) 암퇘지에 비하여 거세돼지가 조지방 함량은 적고, 조직이 무르나 지방의 $b^*$값은 낮고 pH가 높은 장점을 나타내었다.

은이온을 첨가한 장석계 도재의 분광 측색학적 평가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feldspathic porcelain with silver ion)

  • 김지현;송경우;노세라;윤계림;윤귀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1호
    • /
    • pp.20-25
    • /
    • 2015
  •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장석계 도재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은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은 첨가가 장석계 도재의 색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조군은 은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장석계 도재를 이용하고, 은이 5%, 10%, 20%, 30%의 농도로 첨가된 장석계 도재를 4개의 실험군으로 하여 총 5개의 그룹을 이용하였고, 각 그룹당 각 5개씩 디스크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L, a, b값을 2번씩 측정하였다. 각 값은 SPSS를 이용하여 일원분산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은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각 그룹간 L값은 거의 비슷하였고, a값은 점차 증가하고, b값은 점점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은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Delta}E$ 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은 이온이 함유된 도재와 10%의 은 이온이 함유된 도재는 ${\Delta}E$값이 3.7 이하였다. 결론: 장석계 도재에 은을 첨가하는 것은 도재의 색조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10% 이하의 이온을 첨가한 장석계 도재는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만 하다.

풍력터빈 후류 유동특성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Eddy Viscosity 및 Lange 후류모델의 예측 정확도 검증 (Validation of the Eddy Viscosity and Lange Wake Models using Measured Wake Flow Characteristics Behind a Large Wind Turbine Rotor)

  • 전상현;고영준;김범석;허종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1호
    • /
    • pp.21-29
    • /
    • 2016
  • 상업용 풍력발전단지에 설치된 기상 탑의 측정데이터와 풍력터빈의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데이터를 이용하여 풍력터빈의 후류영향을 분석하고 후류 풍속저감 예측을 위한 eddy viscosity 모델 및 난류강도 예측을 위한 Lange 모델의 계산값과 비교하였다. 후류영향 분석결과, 자유단(free stream) 풍속이 낮을수록 풍력터빈 후류에서의 풍속 감소율은 증가하였으며 후류 난류강도 역시 자유단 풍속이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Eddy viscosity 모델에 의해 예측된 풍력터빈 후류중심에서의 풍속 감소율은 측정값에 비해 과대 예측되었으며 Lange 모델에 의한 후류 난류강도 예측은 실측값과 유사하게 예측되고 있음을 보였다.

집중강우시 우리나라 밭토양의 토성과 경사에 따른 물유출 양상 (Runoff Pattern in Upland Soils with Various Soil Texture and Slope at Torrential Rainfall Events)

  • 정강호;허승오;하상건;박찬원;이현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8-213
    • /
    • 2007
  •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일 강우량 80 mm 이상일 때의 유거량 자료를 이용하여 집중강우시 물유출 양상을 구명하였다. 지표유거가 발생하는 유거 발생 최소 강우량은 지표피복과 경사장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성과 경사각에 따라서는 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거 발생 최소 강우량을 기준으로 그 이후의 유거량은 강우량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 때의 기울기 즉, 유거율은 토성, 지표 피복형태, 경사각, 경사장에 따라 달라졌다. 유거율은 토성이 세립질로 침투속도가느릴 수록 커졌으며 콩 재배에 비해 물흐름에 대한 저항이 작은 나지에서 컸다. 또한 유거율은 경사각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경사장이 길어짐에 따라 특정값에 수렴하면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중강우 시 유거량을 모사할 수 있는 식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Runoff=a(s^{0.5}+l^b)(Rainfall-80(1-e^{-bl}))------(9)$$ 이 식에서 a는 토양의 침투특성과 관련된 토양계수, b는 지표 피복의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피복계수, s는 경사각(radian), l은 경사장(m)이다. a는 토성에 따라 0.5~0.6으로 나타났으며 세립질일 수록 값이 컸다. b는 피복조건에 따라 나지에서 0.06, 콩 재배시 0.5 정도로 평가되었다.

수종의 식물수출물의 항산화 및 Melanin 합성 억제효과 (Anti-Oxidant Property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of Eight Plant Extracts)

  • 김재영;이진영;이위영;이용섭;임융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14-4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폴리페놀물질의 총 함량은 Acer psedo-siebolianum의 추출물이 16.4 mg/g로 가장 높은 추출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Acer ginnala 에서 $IC_{50}$값으로 $21.3\;{\mu}g/mL$으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L-DOPA를 기질로 하여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 억제측정에서는 Distylum racemosum 1,000 mg에서 49.1%로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활성 억제력이 가장 높은 D. racemosum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ethanol 분획과 ethyl acetate 분획으로 분리하여, 이중 D. racemosum의 ethanol 분획에서 항산화 활성 $IC_{50}$ 값은 $0.9\;{\mu}g/mL$, tyrosinase 활성억제는 $IC_{50}$값이 $118.1\;{\mu}g/mL$로 ethyl actate 분획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thanol 분획을 이용하여 B16/F1 melanoma cell에서는 $60\;{\mu}g/mL$까지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80\;{\mu}g/mL$의 농도에서 약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분획을 이용한 세포내 melanin 색소의 생산억제 $IC_{50}$값은 $75.4\;{\mu}g/mL$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D. racemosum의 에탄올 추출물이 B16/F1 melanoma cell세포의 melanin색소합성대사에 관여하여 색소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쑥 분말을 첨가한 돼지고기 patty의 저장 안정성 (Storage Stability of Pork Fatty with Mugwort Powder)

  • 정인철;문윤희;강세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8-203
    • /
    • 2004
  • 본 연구는 쑥 분말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 패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쑥 분말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네 종류의 돈육 패티를 제조하였다. 쑥 분말을 첨가한 돈육 패티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쑥 분말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에 영향을 미쳤다. 돈육 패티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쑥 분말을 첨가한 것이 낮았고, B등급 패티가 E 등급보다 높았다. 돈육 패티의 a*값은 E 등급육이 B등급육보다 높았으며, 저장 중 변화는 없었고, b*값은 B등급 육으로 제조한 패티가 E 등급육으로 제조한 것보다 높았다. 돈육 패티의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낮아졌다. VBN, TBARS 및 총균수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쑥 분말의 영향은 없었다.

양파추출물의 갈변 및 매운맛 억제기술 (Browning and Pungent Taste Reduction Techniques in Onion Extract)

  • 김희선;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60-364
    • /
    • 2009
  • 추출방법과 $\beta$-cyclodextrin, soluble starch 및 calcium chloride 혼합용액(MIX) 처리가 양파추출물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처리구가 대 조구보다 L(명도) 값은 크게 나타났으며 a(적색도)와 b(황색도)는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100${^{\circ}C}$ 열수추출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의 O.D.값은 각각 0.296 과 0.093 으로서 처리구가 대조구의 약 31%의 O.D.값을 보였다. 열수추출과 초음파추출 모두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높은 pyruv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갈변정도와 매운맛 강도에서는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양파추출물의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증가를 보였고 저장기간 내내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매우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hotochromic 렌즈의 광변색 이동 (Change of color transfer of Photochromic lens)

  • 김용근;성정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9-64
    • /
    • 2003
  • Photochoromic lens에 광을 조사하면 darkening 상태와 fading상태에서photo-transmittance는 감소한다. 광의 조사를 제거하면 fading 상태가 되어 photo-transmittance는 원래 상태로 회복하는 가역과정을 갖는다. 자체 제작한 Photochoromic lens에서 darkening과 fading 과정에서 Photochromism의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CIE $L^*a^*b^*$의 색 좌표을 얻는다. darkening과 fading상태에서 색 좌표($a^*-b^*$)는 일차 곡선이고 (-) 기울기를 이며, 선형적으로 변한다. 색 좌표 이동량은 Blue ${\rightarrow}$ Yellow, Red ${\rightarrow}$ Green형태이다. fading상태에서 색 좌표는 darkening 상태보다 $b^*$ 값이 낮고, Photochromism 좌표의 이동은 darkening 상태와 반대로 이동한다. Photochoromic lens에 대한 Photochoromism 평가 방법은 darkening과 fading에 대한 색 좌표 이동으로 이용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