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_2O_2$ tolerance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3초

Radiation Therapy for Primary Eyelid Cancers in Tunisia

  • Belaid, A;Nasr, C;Benna, M;Cherif, A;Jmour, O;Bouguila, H;Benna, F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643-3646
    • /
    • 2016
  • Management of eyelid cancers is based on surgery and/or radiotherapy (RT). The treatment objective is to control tumors with acceptable functional and esthetic outcom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in management of epithelial eyelid cancers, reviewing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records of patients treated in our institution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2013. We focused on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treatment characteristics, tolerance and disease control. One hundred and eight patients (62 men and 46 women) were enrolled, with a mean age of 61 years [ranges 15-87]. The most frequent tumor location was the inner canthus (42.6%). Median tumor size was 21 mm [ranges 4-70]. Histological type was basal cell carcinoma in 88 cases (81.5%), squamous cell carcinoma in 16 (14.8%) and sebaceous carcinoma in 4 (3.7%). Radiation therapy was exclusive in 67 cases (62%) and post-operative for positive or close margins in the remaining cases. Kilovoltage external beam radiotherapy (KVRT) was used in 63 patients (58.3%) and low-dose-rate interstitial brachytherapy in 37 (34.3%). Eight (7.4%) were treated with cobalt or with a combination of KVRT-cobalt, KVRT-electron beams, KVRT-brachytherapy or cobalt-electron beams. The total delivered radiation doses were 70 Gy (2 Gy/fraction) in 62 patients (57.4%), 66 Gy (2 Gy/fraction) in 37 (34.3%) and 61.2 Gy (3.4Gy/fraction) in 9 (8.3%). After a median follow-up of 64 months, we noted 10 cases of local recurrences(9.2%): 7 after exclusive and 3 after post-operative RT. No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patients treated with brachytherapy. Actuarial 5-year local recurrence-free rate,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were respectively 90%, 90% and 97%. T-stag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for recurrence (p=0.047). All acute radiation-related reactions were scored grade I or II. Delayed effects were eye watering in 24 cases (22.2%), eye dryness in 19 (17.6%), unilateral cataract in 7 (6.4%) and ectropion in 4 (3.7%). Radiation therapy and especially brachytherapy is an efficient treatment of eyelid cancers, allowing eye conservation and functional preservation with good local control rates and acceptable toxicity.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현장원위치 화학적 산화법과 공기분사법(Air-sparging)을 연계한 디젤 오염 토양/지하수 동시 정화 실내 실험 연구 (Study on the Combination of In-situ Chemical Oxidation Method by using Hydrogen Peroxide with the Air-sparging Method for Diesel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 김남호;김인수;최애정;이민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6호
    • /
    • pp.8-17
    • /
    • 2006
  • 현장비원위치(Ex-situ) 공법 적용이 불가능한 부지에서, 디젤로 오염된 오염 토양과 지하수를 동시에 복원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현장원위치 화학적 산화법(chemical oxidation)과 공기분사법(air-sparging)을 연계한 복합 복원 공정의 정화 효율 규명을 위한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TPH 농도가 2,401 mg/kg(A 토양)과 9,551 mg/kg(B 토양)인 두 종류의 현장 오염 토양을 대상으로 과산화수소용액을 이용한 화학적 산화법의 디젤 제거 효율 규명을 위한 배치(회분식) 실험 결과, 과산화수소 50% 용액에 의해 토양 초기 TPH 농도의 18%와 15%까지 감소하였다. 과산화수소 용액 20%를 이용한 칼럼 세정 실험 결과, 세정에 의해서 A 토양과 B 토양의 경우 각각 초기 TPH 양의 78%와 72%가 제거되었다. 칼럼 실험에서 과산화수소의 산화반응에 의해 완전 분해되어 무기가스상(주로 $CO_2$$H_2O$)으로 제거된 양까지 고려한다면, 과산화수소용액이 오염 토양과 접촉하면서 충분한 산화과정을 거쳐 대부분의 유류가 토양으로부터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기분사법을 이용한 디젤 오염 지하수 정화 실험의 경우, TPH 농도가 820 mg/L인 고농도의 인공 지하수 경우에도 공기분사 72시간 이내에 폐수배출허용기준인 5 mg/L 보다 낮아져, 디젤 제거 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오염 토양 내 다량의 디젤 자유상이 존재하는 경우 토양으로부터 지하수로의 지속적인 자유상 디젤의 질량 이동에 의하여, 공기분사법의 지하수 정화 효율은 매우 낮았다. 마지막으로,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현장원위치 화학적 산화법과 공기분사법을 연계한 복합 공정의 디젤 정화 효율을 규명하는 박스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양 내 자유상 디젤을 먼저 제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용액을 이용한 토양세정법을 실시한 후, 토양 내 TPH가 제거 되는 정도에 따라 후차적으로 공기분사법을 적용함으로써 토양 및 지하수로부터 디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20% 과산화수소 용액의 23 L 세정과 2,160 L의 공기분사에 의해 토양의 TPH 농도는 9,551 mg/kg에서 390 mg/kg으로 낮아졌으며, 오염 지하수의 TPH 농도도 5 mg/L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본 실험들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대단위 공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복원 공정의 최적 조건들을 도출해 낼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유류로 오염된 토양 뿐 아니라 오염 지하수까지 동시에 정화할 수 있는 복합 공정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술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cute Effect of Trimetazidine on the High Frequency Fatigue in the Isolated Rat Diaphragm Muscle

  • Emre, Mustafa;Karayaylali, Lbrahim;San, Mustafa;Demirkazik, Ayse;Kavak, Servet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646-652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ute effect of trimetazidine (TMZ) on the pre-fatigue, fatigue and post-fatigue contractile characteristics and tension-frequency relationships of isolated rat diaphragm muscle. Muscle strips were taken from the ventral-costal aspects of the diaphragm muscle of rats killed by decapitation. The muscle strips were suspended in organ baths containing Krebs solution, with a gas mixture of 95% $O_2$ and 5% $CO_2$ at $37^{\circ}C$ and pH 7.35-7.45. After determining the thermoregulation and optimum muscle length the muscles were subjected to direct supramaximal stimulation with 0.05 Hz frequency square pulses for periods of 0.5 msec to obtain control values. After adding $5{\times}10^{-6}{\;}and{\;}5{\times}10^{-5}$ M trimetazidine solution to the respective bath media, the contractile parameters of the muscles were recorded. The contractile parameters were also recorded for both the trimetazidine and tri-metazidine-free media after application of the high frequency fatigue protocols. Later, the tension-frequency relationship was determined by applying stimulating pulses of 10, 20, 50 and 100 Hz to the muscle strips. Whilst the twitch tension obtained from the $5{\times}10^{-6}{\;}and{\;}5{\times}10^{-5}$ M trimetazidine media showed numerical increase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s,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contraction time exhibited a dose dependent increase (p<0.001), whilst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ra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isometric contraction forces obtained with the different stimulating frequenci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etanic contraction only at 100 Hz (p<0.05). A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fatigue twitch tensions in the trimetazidine media showed the post- fatigue twitch tensions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e-fatigue contraction forces (p<0.05). In the $5{\times}10^{-6}{\;}and{\;}5{\times}10^{-5}$ M trimetazidine media the increases in the post-fatigue contraction force were 22 and 30%,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isolated rat diaphragm muscle, TMZ significantly limited the mechanical performance decrease during fatigue. It is our opinion that trimetazidine contributed to the observed fatigue tolerance by eliminating the factors of fatigue, due to preser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homeostasis, provision of the ATP energy levels needed by ATPase dependent pumps and especially by keeping the intracellular pH within cer-tain limits.

과산화수소 처리가 수수의 발아 및 초기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Sorghum (Sorghum bicolor))

  • 심두보;송기은;박찬영;전승호;황정규;강은주;김종철;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40-148
    • /
    • 2018
  • 본 논문은 수수에 엽면처리된 과산화수소의 한발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생리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분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0.15 MPa와 -0.20 MPa에서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한 발아율 증가가 20%로 발아율의 차이가 가장 크게 조사되었다. 이는 과산화수소가 발아 과정에서 자극을 주어 대사 활성을 유도하여 수분스트레스가 심한 조건에서 일어나는 대사 저하가 완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1. 수분 스트레스 하에서 10 mM 과산화수소 처리는 무처리 보다 20%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유아 유근의 신장을 촉진하였다. 2. 온실 pot 실험 결과 한발 하에서 과산화수소 처리는 형태적 형질(초장, 줄기 직경, 엽장, 엽수)과 생리적 형질(SPAD, 엽록소형광, 기공전도도) 모두 증가시켰다. 토양수분 구배장치를 이용한 실험 결과 역시 과산화수소 엽면처리가 광합성 능력(SPAD, 기공전도도)과 뿌리 발근(지하부 건물중, 뿌리길이)이 우수하여 생육, 건물 생산량이 무처리 보다 높았다. 결과적으로 과산화수소의 처리는 수수의 발아율 향상과 기공 폐쇄를 억제하여 광합성능력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한발 스트레스 대한 내성을 높여 수수의 생육을 유지 및 회복시켜 주었다.

수집(蒐集) 잡초성(雜草性)벼(Oryza sativa)의 분류(分類), 생장(生長) 및 제초제(除草劑) 내성차이(耐性差異) (Difference of Classification, Growth and Herbicidal Tolerance in Collected Weedy Rice(Oryza sativa))

  • 국용인;구자옥;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43
    • /
    • 1997
  • 본 연구는 전남 13계통, 전북 1계통 및 경기 2계통의 수집 잡초성벼와 재배벼에 대하여 동위효소 esterase와 peroxidase에 의한 잡초성벼분류, 건답 및 당수조건하에서 장초성벼와 재배벼의 생장차이 및 수종의 제초제에 대한 잡초성벼의 방제 및 잡초성벼내의 제초제 내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에 의해 동위효소 esterase와 peroxidase를 분석한 결과 이 동위효소에 의해 수집 잡초성벼는 3 개군으로 분류되었으나, 그 두효소의 분류군은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2. 건답 및 담수조건에서 파종후 18일에 초장은 수집 잡초성벼가 재배벼보다 휠씬 컸으나, 그밖의 엽수, 지상부중, 지하부중 및 근장은 잡초성벼와 재배벼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집 잡초성벼의 생장은 단수조건보다는 건답조건에서 훨씬 빨랐다. 3. 파종 6일전에 Thiobencarb, Molinate 및 Oxadiazon을 처리후 잡초성벼의 방제는 2.1kg Thiobencarb와 0.24kg Oxadiazon 처리에서 100% 방제되었다. 그러나 6.5kg Molinate 처리에서는 단지 26-67%가 방제되었다. 벼의 약해는 Molinate를 제외하고 2.1kg Thiobencarb와 0.48kg Oxadiazon 처리후 담수상태에서 벼를 파종할 때에는 약해가 아주 심했다(25-100%). 그러나 제초제 처리후 담수상태의 물을 배수하고 처리했을 경우에는 약해가 아주 경미하였다(4-13%). 공시 제초제에 대한 수집 잡초성벼간의 종내 내성은 49%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약제별 제초제의 종내 내성차이는 Thiobencarb>Molinate>Oxadiazon 순이었다.

  • PDF

생약복합제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및 대사성증후군 모델 동물에서의 혈당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erbal Complex on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d in Mice Model of Metabolic Syndrome)

  • 박한석;이연실;최세진;김진규;이윤열;김현근;구삼회;구대희;기승일;임순성
    • 생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6-204
    • /
    • 2009
  •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생약 및 식품 소재로 구성된 생약복합제인 백강잠, 산약, 쥐눈이콩, 청국장가루의 복합물을 대상으로 실험관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생약복합제 $H_2O$추출물은 당흡수에 관여하는 $\alpha$-glucosidase효소를 비교약물인 acarbose ($IC_{50}$=0.39 mg/mL)과 비교하여 1/3배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IC_{50}$=1.24 mg/mL), ethanol추출물은 인슐린 내성에 관여하는 $PTP1{\beta}$ 효소작용을 ($IC_{50}=498.46{\mu}g$/mL)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PTP1{\beta}$ 효소를 억제하는 n-hexane 분획을 대상으로 하여 GC-MS로 성분 분석한 결과 지방산유도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와 저용량 STZ (35 mg/kg)으로 유발시킨 당뇨모델에서 OGTT 실험결과 비교약물인 rosiglitazone(당부하 30분 후 평균 60 mg/dL 의 감소)과 생약복합제 투여군의 경구 당부하능 개선효과를(당부하 30분 후 평균 30 mg/dL의 감소) 확인하였다. 또한, 대사성 증후군 모델에서는 체중증가의 감소 효과와 공복혈당의 증가를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OGTT에서도 후반부에 현저한 경구당부하능 개선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산약, 백강잠, 쥐눈이콩, 청국장으로 조제한 생약복합제는 당뇨 및 대사성 증후군의 혈당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