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_2O_2$

검색결과 18,153건 처리시간 0.047초

UV, H2O2, 오존을 이용한 고급산화공정에서의 테레프탈산 제조공정 폐수 처리 : 유기물 및 색도제거 연구 (Advanced Oxidatio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Terephthalic Acid Wastewater using UV, H2O2 and O3 : Organic and Color Removal Studies)

  • 권태옥;박보배;문일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48-655
    • /
    • 2007
  • UV/H_2O_2$, $O_3$, $O_3/H_2O_2$, $UV/H_2O_2/O_3$ 공정을 이용한 테레프탈산 제조공정 폐수의 COD 및 색도제거 연구를 수행하였다. UV/H_2O_2$, $O_3$, $O_3/H_2O_2$, $UV/H_2O_2/O_3$ 공정에서의 COD 제거율은 각각 10, 48, 56, 63%, 색도 제거율은 $UV/H_2O_2$ 공정이 80%, $O_3$, $O_3/H_2O_2$, $UV/H_2O_2/O_3$ 공정은 모두 99% 이상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 및 색도 제거율이 가장 우수한 $UV/H_2O_2/O_3$ 공정에서 테레프탈산 제조공정 폐수의 주요 유기물 성분인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그리고 벤조산 성분은 120분 이내에 모두 99% 이상 제거되었다. 또한 $UV/H_2O_2$, $O_3/H_2O_2$, $UV/H_2O_2/O_3$ 공정에서의 최적 $H_2O_2$ 주입농도는 각각 0.5M, 25 mM 그리고 5 mM로 나타나, UV와 $H_2O_2$를 오존산화 공정에 조합함으로써 유기물 제거율 향상과 함께 사용된 $H_2O_2$의 저감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다양한 산화반응을 조합한 고급산화공정의 아세트산 분해에 관한 연구 (Destruction of Acetic Acid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Oxidants by an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 권태옥;박보배;문장수;문일식
    • 공업화학
    • /
    • 제18권4호
    • /
    • pp.314-319
    • /
    • 2007
  • UV, $O_3$, $H_2O_2$, $Fe^{2+}$ 등의 산화반응을 조합한 고급산화 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이용하여 아세트산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용된 고급산화 공정은 $UV/H_2O_2$, $UV/H_2O_2/Fe^{2+}$, $O_3$, $O_3/H_2O_2$, $UV/O_3/H_2O_2$$UV/O_3/H_2O_2/Fe^{2+}$ 공정이었다. 낮은 pH (3.5)에서의 아세트산 분해율은 $UV/H_2O_2/Fe^{2+}$, $O_3/H_2O_2$, $UV/O_3/H_2O_2$$UV/O_3/H_2O_2/Fe^{2+}$ 공정은 비교적 높고, $UV/H_2O_2$$O_3$ 공정은 2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O_3/H_2O_2$, $UV/O_3/H_2O_2$ 공정의 아세트산 분해율은 반응시간 180 min까지 반응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UV/H_2O_2/Fe^{2+}$, $UV/O_3/H_2O_2/Fe^{2+}$ 공정에서는 반응시간 90 min까지 아세트산 분해율이 급격히 증가한 후 그 이후에는 분해율의 증가가 미미하였다. 고급산화 공정별 아세트산 분해율은$UV/H_2O_2/Fe^{2+}$ 공정은 55%, $O_3/H_2O_2$ 공정 및 $UV/O_3/H_2O_2$ 공정은 66%, $UV/O_3/H_2O_2/Fe^{2+}$ 공정은 64%이었다.

$H_2O$$D_2O$ 에서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비교 연구 (Comparision of the Pressure Denaturation of Metmyoglobin in $H_2O$ and $D_2O$)

  • 김건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19
    • /
    • 1984
  •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H_2O$$D_2O$에서의 차이를 pH 5.7과 pH 7.0에서 연구하였다. 메트미오글로빈은 $D_2O$에서 $H_2O$보다 더 작은 압력에서 변성하였다. 그 차이가 pH 5.7에서가 pH 7에서 보다 더 컸다. $H_2O$$D_2O$에서 이 안정도의 차이가 단백질에 대한 $H^+$$D^+$의 결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또한, 수소가 중수소로 바뀜에 따르는 구조 변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소에 의한 바나듐 (III) 이온의 산화반응에 대한 $O^{18}$ 동위원소 연구 (Tracer Study Using $H_2O^{18}$ on the Oxidation of Vanadium (III) by Molecular Oxygen)

  • 김명자;최동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9-266
    • /
    • 1974
  • 과염소산 수용액 중에서 바나듐(III)이온이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반응에 대해서 pH 범위1∼3에 걸쳐 $H_2O^{18}$을 이용한 동위원소 실험을 행했다. 반응속도식$-\frac{d[V(III)]}{dt}=k_1\frac{[O_2][V(III)]}{[H^+]}$가 성립되는 높은 히드로늄이온 농도(pH<∼2)에서는 반응생성물 $VO^{2+}$이온의 산소가 모두 산소분자에서 유래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면 $-\frac{d[V(III)]}{dt}=K_2\frac{[O_2][V(III)]^2}{[Ht]^2}$의 속도식이 성립하는 pH>∼2 범위에서의 추적자 실험은 바나딜이온의 산소의 50%가 산소분자에서 온다는 결과를 주었다. 반응속도론의 결과 화학량론적 결정과 아울러 동위원소 실험결과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 메카니즘을 제안할 수 있다.$$V^{3+}\rightleftarrows VOH^{2+} + H+, 2VOH^{2+}\rightleftarrowsV_2(OH)_2^{4+}$$$$ 낮은\PH:\ VOH^{2+}+O_2 \rightarrow V(O_2)OH^{2+}, V(O_2)OH^{2+}+VOH^{2+}\rightarrow 2VO^{2+}+H_2O_2$$$$ 높은\PH:\V2(OH)_2^{4+}+O_2\rightarrow2VO^{2+}+H_2O_2, V_2(OH)_2^{4+}+H_2O_2\rightarrow2VO^{2+}+2H_2O$$

  • PDF

닭의장풀의 분리표피에서 $H_2O_2$에 의한 기공 닫힘기작 (The Mechanism of Stomatal Closing by $H_2O_2$ in Epidermal Strips of Commelina communis L.)

  • 이준상;전방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5-131
    • /
    • 1997
  • The mechanism of stomatal closing in response to $O_2$ was indirectly investigated by using $H_2O_2$ which is the intermediate product of $O_2$ metabolites. Stomata in epidermal strips close in response to $H_2O_2$. The effect of $H_2O_2$ on stomatal closing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H_2O_2$. 10 ppm $H_2O_2$ showed a clear effect on stomatal closing and 1000 ppm $H_2O_2$ induced complete stomatal closing after the treatment of 3 hours. Stomatal closing by $H_2O_2$ in intact leaf was also observed by measuring the diffusion resistance with porometer. It was found that the stomatal closing by $H_2O_2$ was not mediated by $Ca^{2+}$, and that was a different result observed in stomatal closing by water stress. Reversely, $Ca^{2+}$ showed a great inhibition on stomatal closing. The leakage of K+ in epidermal strips was doubled in response to $H_2O_2$ when it was campared to the control. 10 ppm $H_2O_2$ decreased photosynthetic activity. Fv/Fm representing the activity of Photosystem II was reduced about 4 % in 10 ppm $H_2O_2$ and 8 % in 100 ppm $H_2O_2$ In the treatment of 1.5 hour. However, stomatal closing by 10 ppm $H_2O_2$ was reduced about 56 %. According1y, it can be suggested that stomatal closing by $H_2O_2$ is related with the decrease of photosynthetic activity, but it was chiefly induced by the change of the membrane permeability. Key words Commelina communis, stomatal closing, $H_2O_2$, $Ca^{2+}$, photosynthesis.

  • PDF

Synthesis and Structures of $(NH_4)_{10}[Ni(H_2O)_5]_4[V_2P_2BO_{12}]_6{\cdot}nH_2O$ and $(NH_4)_{3.5}(C_3H_{12}N_2)_{3.5}[Ni(H_2O)_6]_{1.25}{[Ni(H_2O)_5]_2[V_2P_2BO_{12}]_6{\cdot}nH_2O$

  • Yun, Ho-Seop;Do, Jung-Hwan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39
    • /
    • 2004
  • Two new nickel vanadium borophosphate cluster compounds, $(NH_4)_{10}[Ni(H_2O)_5]_4[V_2P_2BO_{12}]_6{\cdot}nH_2O$ (1) and $(NH_4)_{3.5}(C_3H_{12}N_2)_{3.5}[Ni(H_2O)_6]_{1.25}{[Ni(H_2O)_5]_2[V_2P_2BO_{12}]_6{\cdot}nH_2O$ (2) have been synthesized and structurally characterized. Inter-diffusion methods were employed to prepare the compounds. The cluster anion $[(NH_4)\;{\supset}\;V_2P_2BO_{12}]_6$ is used as a building unit in the synthesis of new compounds containing $Ni(H_2O){^{2+}_5}$ in the presence of pyrazine and 1,3-diaminopropane. Compounds contain isolated cluster anions with general composition ${[Ni(H_2O)_5]_n[(NH_4)\;{\supset}\;V_2P_2BO_{12}]_6}^{-(17-2n)}$ (n = 2, 4). Crystal data: $(NH_4)_{10}[Ni(H_2O)_5]_4[V_2P_2BO_{12}]_6{\cdot}nH_2O$, monoclinic, space group C2/m (no. 12), a = 27.538(2) ${\AA}$, b = 20.366(2) ${\AA}$, c = 11.9614(9) ${\AA}$, ${\beta}$ = 112.131(1)$^{\circ}$, Z = 8; $(NH_4)_{3.5}(C_3H_{12}N_2)_b[Ni(H_2O)_6]_{3.5}{[Ni(H_2O)_5]_2[V_2P_2BO_{12}]_6{\cdot}nH_2O$, triclinic, space group P-1 (no. 2), a = 17.7668(9) ${\AA}$, b = 17.881(1) ${\AA}$, c = 20.668(1) ${\AA}$, ${\alpha}$ = 86.729(1)$^{\circ}$, ${\beta}$ \ 65.77(1)$^{\circ}$, ${\gamma}$ = 80.388(1)$^{\circ}$, Z = 2.

몰리브덴의 피리딘계 착물합성과 그 성질 (제5보). 이-${\mu}$ -옥소-이옥소이클로로비스(치환피리딘) 이 몰리브덴 (Ⅴ) 와 이-${\mu}$- 옥소-이옥소육이소티오시아나토 이 몰리브덴 (Ⅴ) 산 치환피리딘늄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bstituted Pyridine Complexes of Molybdenum(Ⅴ). Di-${\mu}$-oxo-dioxodichlorobis(substituted pyridines) dimolybdenum(Ⅴ) and Substituted Pyridinium Di-${\mu}$-oxo-dioxohexaisothiocyanatodimolybdates(Ⅴ))

  • 김창수;오상오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83-388
    • /
    • 1982
  • $Mo_2O_4Cl_2$$(X-py)_4{\cdot}2H_2$O와 $(X-pyH)_4$[$Mo_2O_4(NCS)_6)$]${\cdot}H_2$O를 합성하고 이들 착물에 대한 자기적 및 분광학적성질을 조사하였다. $Mo_2O_4Cl_2$$(X-py)_4$·$2H_2$O (X-py=3-및 4-시아노피리딘, 2-및 4-아미노피리딘, 니코틴아미드, 3,5-루티딘 및 2-아미노-4-피코린)은 옥소오클로로몰리브덴(Ⅴ)산 치환피리딘늄을 가수분해시켜 얻었다. 또한, MoO(NCS)$_3$에 물과 치환피리딘류를 가하여 갈색의 $(X-pyH)_4$[$Mo_2O_4(NCS)_6)$]$H_2$O를 얻었다. 여기서 X-py는 피리딘,${\alpha}$-피코린, 3-브로모피리딘, 3,5-루피린, 3-벤조일피리딘 및 4-아세틸피리딘이다. $Mo_2O_4Cl_2$$(X-py)_4{\cdot}2H_2$O와 $(X-pyH)_4$[$Mo_2O_4(NCS)_6)$]${\cdot}H_2$O는 반자성을 가진 이합체로서 $Mo_2O_4Cl_2(X-py)_4{\cdot}2H_2$O는 비전해질이나 $(X-pyH)_4$[$Mo_2O_4(NCS)_6)$]${\cdot}H_2$O는 전해착물임을 알았다.

  • PDF

세자리 Schiff Base 리간드의 몰리브덴 착물에 관하여 (제1보) (Studies on the Molybdenum Complexes with Tridentate Schiff Base Ligand (I))

  • 조기형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9-173
    • /
    • 1973
  • 세자리 schiff base리간드로서 salicylidene amino-o-hydroxy benzene 은 salicylaldehyde와 o-amino phenol로서 합성하였으며 이 세자리 schiff base 리간드와 Mo(VI), Mo(V), Mo(IV) 및 Mo(III) 의 과산화상태의 몰리브덴 착물들의 반응으로 새로운 착물[Mo O$_2(H_2O)\;(C_{13}H_9O_2N)]$, [MoO Cl(H$_2O)(C_13H_9O_2N)]$, $[Mo(SCN)_2(H_2O)(C_{13}H_9O2_N)]$$[Mo(H_2O)_2 (C_{13}H_9O_2N)]_2O$들을 얻었다. 이들 착물에서 Mo(VI), Mo(V) 및 Mo(IV)착물들은 리간드와 몰리브덴의 mole비가 1:1인 착물로서 몰리브덴 이온은 6배위 팔면체로서 주어지나 Mo(III) 착물은 Mo-O-Mo의 산소 bridge bond를 갖는 poly nuclear 착물로서 mole비 1:1인 착물로 주어짐을 원소분석치와 자외선흡광도 및 적외선 spectra의 고찰로서 알아보았다.

  • PDF

메탄올 용매에서 산소 첨가된 다섯자리 Schiff Base Cobalt(Ⅲ) 착물들의 활성 촉매에 의한 Hydrazobenzene의 산화반응 (Oxidation Reaction of Hydrazobenzene by Activated Catalysts of Pentadentate Schiff Base Cobalt(Ⅲ)-O2 Complexes in Methanol Solvent)

  • 노윤정;박동화;조기형;김상복;최용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2-308
    • /
    • 1994
  • 산소가 포화된 메탄올 용액에서 다섯자리 Schiff base cobalt(II) 착물인 [Co(II)(Sal-DPT)(H$_2$O)] 와 [Co(II)(Sal-DET)(H$_2$O)]들의 활성촉매에 의한 hydrazobenzene(H$_2$AB)의 산화 주생성물은 trans-azobenzene(trans-AB)이다. UV-visible분광광도법에 의해 이들 반응의 속도상수 $k=6.06{\times}10^{-3}sec^{-3}$$2.50{\times}10^{-3}sec^{-1}$로 주어짐을 알았다. 균일 산화 활성촉매에 의한 H$_2$AB의 산화반응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주어진다. H$_2$AB + Co(II)(L)(H$_2$O) + O$_2$ $\rightleftharpoons^K_{methanol}Co(III)(L)O_2{\cdot}H_2AB + H_2O\longrightarrow^{k}Co(II)(L) + trans-AB + H_2O_2$ (L: Sal-DPT and Sal-DET).

  • PDF

요오드가 도핑된 무금속 프탈로시아닌/산화아연계의 광기전력 효과 (Ⅱ). Poly(9-vinylcarbazole)에 분산된 $ZnO/H_2Pc(I)_x$계의 광기전력 효과 (The Photovoltaic Effect of Iodine-Doped Metal Free Phthalocyanine/ZnO System (Ⅱ). The Photovoltaic Effect of $ZnO/H_2Pc(I)_x$ Dispersed in Poly(9-vinylcarbazole))

  • 허순옥;김영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6-185
    • /
    • 1995
  • ZnO/$H_2Pc(I)_x$계의 광증감성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ZnO/$H_2Pc(I)_$x를 광전도성 고분자인 poly(9-vinylcarbazole)(PVCZ)에 분산시켰다. $H_2Pc$ 결정형에 따른 ZnO/$H_2Pc(I)_x$계의 요오드 도핑 함량(x)은 ZnO/${\chi}-H_2 Pc(I)_x$ 경우는 요오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x값이 증가하였고, ZnO/${\beta}-H_2Pc(I)_x$ 경우는 약 x=0.95인 요오드 농도가 $6.3{\times}10^{-3}\;M$ 이후에서는 오히려 x값이 감소되었다. 514.5 nm로 여기시킨 ZnO/${\beta}-H_2Pc(I)_x$계의 라만 스펙트럼에서 x값이 약 0.57에서부터 $I_3^-$ chain에 대한 특성 피크가 50~550 $cm^{-1}$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ZnO/{\chi}-H_2Pc(I)_{0.48}$/PVCZ의 광증감 효과는 ZnO/${\chi}-H_2Pc(I)_{0.48}보다 1.6배, ZnO/${\beta}-H_2Pc(I)_{0.57}$/PVCZ보다 1.8배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ZnO/$H_2Pc(I)_x$/PVCZ계에서 x값이 증가될수록 광중감 효과도 크게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H_2Pc$의 광여기로 생성된 정공이 PVCZ으로 주입되어 ZnO/$H_2Pc(I)_x$/PVCZ계의 광증감 효과가 ZnO/$H_2Pc(I)_x$계의 광중감 효과보다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