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beta}{\gamma}$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2초

몇 가지 작물 종실의 Tocotrienol과 Tocopherol 함량 (Tocotrienol and Tocopherol Content in Various Plant Seeds)

  • 박경열;강창성;이용선;이영현;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07-210
    • /
    • 2004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콩 강낭콩 보리 옥수수 율무 들깨 차조기 홍화 해바라기를 비롯하여 달맞이꽃 타래붓꽃의 종실에 함유되어 있는 tocotrienol($\textrm{T}$), tocopherol(T)과 vitamin E 함량을 탐색 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 100g에 함유되어 있는 tocotrienol 함량은 차조기 25.06mg, 보리 4.50mg, 옥수수 3.54mg, 타래븟꽃 3.04mg, 율무 2.58mg, 홍화 0.12mg이었다. 2. tocotrienol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작물은 콩 강낭콩 달맞이꽃 해바라기 들깨이었고, tocotrienol의 4가지 동족체 중 율무와 옥수수는 $\beta$-$\textrm{T}_3$, 타래못꽃과 차조기는 $\delta$-$\textrm{T}_3$, 홍화는 $\alpha\textrm{-}$, $\beta\textrm{-}$, $\delta$-$\textrm{T}_3$가 검출되지 않았다. 3. 종실 100g에 함유되어 있는 tocopherol 함량은 타래붓꽃 51.82mg, 들깨 40,90mg, 콩 34.11mg, 해바라기 20.88mg 순으로 높았으며, 탐색한 작물 모두 4가지 동족체를 함유하였다. 4. vitamin E 함량은 타래붓꽃 54.86, 차조기 41.80, 들깨 40.90, 콩 34.11, 해바라기 20.88, 홍화 14.73, 옥수수 11.49, 달맞이꽃 10.07, 보리 7.48, 율무 6.24, 강낭콩 5.27mg/100g 이었다.

Presynaptic Mechanism Underlying Regulation of Transmitter Release by G Protein Coupled Receptors

  • Takahashi, Tomoyuki;Kajikawa, Yoshinao;Kimura, Masahiro;Saitoh, Naoto;Tsujimoto, Tetsuhir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2호
    • /
    • pp.69-76
    • /
    • 2004
  • A variety of G protein coupled receptors (GPCRs) are expressed in the presynaptic terminals of central and peripheral synapses and play regulatory roles in transmitter release. The patch-clamp whole-cell recording technique, applied to the calyx of Held presynaptic terminal in brainstem slices of rodents, has made it possible to directly examine intracell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GPCR-mediated presynaptic inhibition. At the calyx of Held, bath-application of agonists for GPCRs such as $GABA_B$ receptors, group III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mGluRs), adenosine $A_1$ receptors, or adrenaline ${\alpha}2$ receptors, attenuate evoked transmitter release via inhibiting voltage-activated $Ca^{2+}$ currents without affecting voltage-activated $K^+$ currents or inwardly rectifying $K^+$ currents. Furthermore, inhibition of voltage-activated $Ca^{2+}$ currents fully explains the magnitude of GPCR-mediated presynaptic inhibition, indicating no essential involvement of exocytotic mechanisms in the downstream of $Ca^{2+}$ influx. Direct loadings of G protein ${\beta}{\gamma}$ subunit $(G{\beta}{\gamma})$ into the calyceal terminal mimic and occlude the inhibitory effect of a GPCR agonist on presynaptic $Ca^{2+}$ currents $(Ip_{Ca})$, suggesting that $G{\beta}{\gamma}$ mediates presynaptic inhibition by GPCRs. Among presynaptic GPCRs glutamate and adenosine autoreceptors play regulatory roles in transmitter release during early postnatal period when the release probability (p) is high, but these functions are lost concomitantly with a decrease in p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기관지 결핵 치료 후의 기관지 협착 발생과 Interferon-γ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농도 변화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between Bronchostenosis and Changes in the Levels of Interferon-γ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during the Treatment in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 김기욱;이수진;이재형;조우현;정경식;조진훈;김윤성;이민기;김영대;최영민;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18-24
    • /
    • 2005
  • 연구배경 : 기관지 결핵의 주요 합병증인 기관지 협착은 기도폐쇄에 의한 호흡곤란을 초래하거나 천식이나 폐암으로 오인되는 등의 임상적 문제를 가진다. 본 연구는 기관지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후 기관지 협착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간에 치료 전후의 $IFN-{\gamma}$$TGF-{\beta}$의 혈청 및 기관지 세척액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IFN-{\gamma}$$TGF-{\beta}$의 농도와 기관지 협착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세균학적 검사 및 조직검사로 기관지 결핵으로 진단받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전후에 기관지 세척술을 포함한 기관지 내시경술을 시행하였으며 $IFN-{\gamma}$$TGF-{\beta}$의 혈청 및 기관지 세척액에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건강한 성인 대조군 10명에서 혈청 및 기관지 세척액의 $IFN-{\gamma}$$TGF-{\beta}$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기관지 결핵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기관지 세척액의 $IFN-{\gamma}$(108.55 pg/ml vs undetectable, median)와 $TGF-{\beta}$ 농도(60.80 pg/ml vs undetectable, median)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치료 후 시행한 기관지 내시경 소견에서 섬유화로 인한 기관지 협착이 남은 환자가 7명 이었고 나머지 9명은 후유증 없이 치유된 소견을 보였다. 기관지 협착을 보인 환자군이 협착이 남지 않은 군에 비해 치료 전의혈청 $TGF-{\beta}$ 농도(847.67 pg/ml vs 1140.30 pg/ml, median)가 낮았으며 또한 치료 후에 더 많이 감소하였다(${\Delta}381.08pg/ml$ vs ${\Delta}191.47pg/ml$, median)(p<0.05). 결 론 : 증가된 기관지 세척액의 $IFN-{\gamma}$$TGF-{\beta}$ 농도는 기관지 결핵의 발생기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치료 경과에서 섬유화로 인한 기관지 협착의 발생 유무는 혈청 $TGF-{\beta}$의 치료 전 농도 및 치료 후 농도 변화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콩 Saponin의 생리활성 기능과 함량변이 (Biological Activities of Soyasaponins and Their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in Soybean)

  • 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
    • /
    • pp.49-57
    • /
    • 2003
  • There is much evidence suggesting that compounds present in soybean can prevent cancer in many different organ systems. Especially, soyb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dietary saponin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possible anticarcinogens to inhibit tumor development and major active components contributing to the cholesterol-towering effect. Also they were reported to inhibit of the infectivity of the AIDS virus (HIV) and the Epstein-Barr virus. The biological activity of saponins depend on their specific chemical structures. Various types of triterpenoid saponins are present in soy-bean seeds. Among them, group B soyasaponis were found as the primary soyasaponins present in soybean, and th e 2, 3-dihydro-2, 5-dihydroxy-6- methyl-4H-pyran-4-one(DDMP)-conjugated soyasaponin $\alpha\textrm{g}$, $\beta\textrm{g}$, and $\beta$ a were the genuine group B saponins, which have health benefits. On the other hand, group A saponins are responsible for the undesirable bitter and astringent taste in soybean. The variation of saponin composition in soybean seeds is explained by different combinations of 9 alleles of 4 gene loci that control the utilization of soyasapogenol glycosides as substrates. The mode of inheritance of saponin types is explained by a combination of co-dominant, dominant and recessive acting genes. The funtion of theses genes is variety-specific and organ specific. Therefore distribution of various saponins typ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ed tissues. Soyasaponin $\beta\textrm{g}$ was detected in both parts whereas $\alpha\textrm{g}$ and $\beta$ a was detected only in hypocotyls and cotyledons, respectively. Soyasaponins ${\gamma}$g and $\gamma\textrm{g}$ were minor saponin constituents in soybean. In case group A saponins were mostly detected in hypocotyls. Also, the total soyasaponin contents varied among different soy-bean varieties and concentrations in the cultivated soy-beans were 2-fold lower than in the wild soybeans. But the contents of soyasaponin were not so influenced by environmental effects.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soyasaponins were different among the soy products (soybean flour, soycurd, tempeh, soymilk, etc.)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onditions.

밥의 종류에 따른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에놀 함량 분석 -연구노트- (Determination of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in Rice Cooked with Various Cereals)

  • 김양수;박순량;이영상;정 환;고광오;김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89-129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주식인 쌀밥과 각종 잡곡밥에 함유된 토코페롤의 8가지 이성질체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쌀밥에서는 8가지 이성체중 3개의 이성체가 검출되었고, 보리밥에서는 2개, 팥밥에서는 5개, 콩밥은 7개 그리고 여러가지 곡류의 혼합인 잡곡밥에서는 6개의 이성체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쌀밥에는 alpha-토코페롤 외에도 alpha-, gamma-토코트리에놀이 검출되었고 그 값을 합한 토코트리에놀 함량은 alpha-토코페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쌀밥의 비타민 E 영양가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된 토코페롤 이성체의 총합인 비타민 E의 함량은 콩밥>잡곡밥>팥밥>쌀밥>보리밥의 순서로 나타나 콩밥과 잡곡밥의 영양적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매일 섭취하는 주식인 밥을 쌀밥에서 콩밥이나 잡곡밥으로 대치할 경우, 각종 성인병의 예방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의 이성체를 골고루 꾸준히 섭취할 수 있으므로 쌀밥에 콩 등의 잡곡을 혼합하는 것이 건강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사료된다.

엔트로피 기반 ECoG 신호를 이용한 손과 팔꿈치 움직임 추론 (Entropy-based Discrimination of Hand and Elbow Movements Using ECoG Signals)

  • 김기현;차갑문;이기원;정천기;신현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05-51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Electrocorticogram(ECoG) 신호를 이용하여 손과 팔꿈치의 움직임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환자로부터 다수의 채널을 이용하여 표면 근전도 신호와 ECoG 신호를 동시에 취득하였다. 추론하는 동작은 손을 쥐었다 펴는 동작과 팔꿈치를 안으로 굽히는 동작이며, 외부 자극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대신 환자의 자유의지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게 하였다. 표면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한 운동 시점을 찾고, ECoG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을 추론한다. 각 동작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ECoG 신호를 전체 대역을 포함한 ${\delta}$, ${\Theta}$, ${\alpha}$, ${\beta}$, ${\gamma}$ 총 6개의 대역을 나누어 정보 엔트로피를 구하고,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여 동작을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 감마대역의 ECoG를 사용할 경우 다른 대역을 사용할 때 보다 높은 평균 74%의 성능을 보이며, 다른 대역보다 감마 대역에서 높은 추정 성공률을 보였다. 또한 운동 시점을 기준으로 3개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준비전위를 포함하는 'before' 구간과 'onset' 구간을 비교하였다. 'before' 구간과 'onset' 구간에서 추정 성공률은 각각 66%, 65%로 준비전위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ytonutrient Profile of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Seeds

  • Bhandari, Shiva Ram;Lee, Ju-Kyong;Lee, Young-Sa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9-204
    • /
    • 2011
  • To characterize phytonutrients, the seeds of 12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ccessions collected from Korea and Japan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ocopherols, phytosterols, squalene and fatty acids. The average tocopherol, squalene and phytosterols contents were 12.2 mg $100g^{-1}$, 3.99 mg $100g^{-1}$ and 77.20 mg $100g^{-1}$, respectively. Among 4 tocopherol (T) isomers (${\alpha}$-T, ${\beta}$-T, ${\gamma}$-T, and ${\delta}$-T), ${\gamma}$-T was present in the highest quantity (11.03 mg $100g^{-1}$) with the least variation (CV = 13.7%), while ${\beta}$-T was present in lowest quantity (0.25 mg 1$100g^{-1}$). Compared to campesterol (4.36 mg $100g^{-1}$) and stigmasterol (13.32 mg $100g^{-1}$), ${\beta}$-sitosterol exhibited higher quantity (59.51 mg $100g^{-1}$) with 9.5% of variation. The major fatty acids wer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nic (61.5%), linoleic (17.3%), and oleic (9.9%) acids compared to saturated ones: palmitic (7.6%) and stearic (3.7%) acids. When Korean and Japanese accession were compared, almost no difference in content could be observed, while more variation as evaluated by CV (%) could be observed in Japanese accession in most phytonutrients suggesting wider genetic variation of purple Perilla in Japan. Presence of all above-mentioned phytonutrient compounds strongly suggested health beneficial value of purple Perilla seeds.

감마선 처리에 의한 떫은감 과육의 세포벽 성분 및 물성 변화 (The change on cell wal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astringent persimmon fruits by gamma irradiation)

  • 김병오;차원섭;안동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2-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가 떫은감 과육의 세포벽변화, 수렴성 및 경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감마선 조사 결과 떫은감 과육 중의 가용성 탄닌 함량의 변화는 대조구의 $181.04{\pm}1.72{\mu}g/g$에 비해 처리 방사선의 양이 5~20 kGy로 증가할수록 $146.31{\mu}g/g$에서 $128.09{\mu}g/g$으로 과육내의 가용성 탄닌의 양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감과육의 경도는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방사선 조사한 감과육의 경도가 감소하였다. 세포벽 성분의 변화는 알콜불용성 물질의 경우 대조구의 39.3 mg/g에 비해 방사선 처리의 경우 37.2 mg/g로 낮아졌다. 수용성 물질의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11.4 mg/g이었으나, 방사선 조사의 경우 13.9 mg/g로 높아졌으며, 세포벽 성분의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26.6 mg/g였으나, 방사선 조사의 경우 23.1 mg/g로 낮아져, 떫은감 과육이 방사선조사에 의해 숙성이 일어나 세포벽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고 수용성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벽 구성다당류 중 lignin의 함량과 pectin질의 함량은 대조구의 0.82 mg/g, 3.56 mg/g에 비교해 방사선 조사의 경우 0.77 mg/g, 3.14 mg/g로 감소하였다. 산가용성 hemicellulose의 함량은 lignin과 pectin처럼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알칼리 가용성 hemicellulose와 cellulose는 방사선조사에 의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감과육에 존재하는 세포벽 분해 및 연화효소인 polygalacturonase, pectinesterase와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의 경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모든 효소활성이 증가하였다. 방사선 처리감의 관능검사 결과 수렴성은 대조구의 경우 매우 떫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사선처리 후에는 거의 떫지 않게 느껴졌고, 과육의 경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는 딱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사선처리 후에는 약간 물렁해 지는 것으로 나타나 방사선처리에 의해 탄닌의 중합이 일어나며 과육의 숙성도 동시에 발생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처리는 떫은 감의 수렴성 제거와 숙성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Decreased Expression of Phospholipase C-$\beta$2 in Human Platelets with Impaired Function

  • Lee, Sang-Bong;A. Koneti Rao;Lee, Kweon-Haeng;Xu Yang;Bae, Yun-S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제4회 추계심포지움
    • /
    • pp.75-84
    • /
    • 1996
  • Platelets from a patient with a mild inherited bleeding disorder and abnormal platelet aggregation and secretion show reduced generation of inositol 1,4,5-trisphosphate (IP$_3$), mobilization of intracellular Ca$\^$2+/, and phosphorylation of pleckstrin in response to several G protein mediated agonists, suggesting a possible defect at the level of phospholipase C (PLC) activation. A procedure was developed that allows quantitation of platelet PLC isozymes. After fractionation of platelet extrac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even, out often known PLC isoforms were detected by immunoblot analysis. The amount of these isoforms in normal platelets decreased in the order PLC-${\gamma}$2 > PLC-${\beta}$2 > PLC-${\beta}$3 > PLC-${\beta}$l > PLC-${\gamma}$ > PLC-$\delta$1 > PLC-${\beta}$4. Compared with normal platelets, platelets from the patient contained approximately one-third the amount of PLC-${\beta}$2, whereas PLC-${\beta}$4 was increased threefo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ired platelet function in the patient in response to multiple G protein mediated agonists is attributable to a deficiency of PLC-${\beta}$2. They document for the first time a specific PLC isozyme deficiency in human platelets and provide an uniqu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role of different PLC isozymes in normal platelet fun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