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beta}$

검색결과 3,856건 처리시간 0.037초

차전자의 항암활성성분 (Anticancer Compounds of Plantago asiatica L.)

  • 문형인;지옥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46
    • /
    • 1999
  • 차전자의 메탄올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계통분획하여, 활성을 검정하고, 그 중 활성분획인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크로마토그라피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각종 기기분석과 이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beta}-sitosterol(C1)$, $cholest-5-en-3{\beta}-ol(C2)$, rutin(C3), $coumarin-7-O-{\beta}-glucopyranoside(C4)$임을 확인 하였으며, 4종의 화합물 중 $cholest-5-en-3{\beta}-ol$, rutin(C3)이 주요 항암 성분 이었다.

  • PDF

다류소재 식물류 중의 황산화물질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Contents in Various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 김미혜;김명철;박종석;박은지;이종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3-279
    • /
    • 1999
  • 국내외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다류소재 식물류 40종에 대하여 총 페놀성 물질과 비타민 C 함량은 비색법으로, ${\alpha}-tocopherol$${\beta}-carotene$ 함량은 HPLC에 의해, 셀레늄 함량은 원자흡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 100 g당(건량) 들어있는 총 페놀성 물질 함량은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인스탄트커피 등이 약 7g으로 가장 높았고 셀레늄 함량은 산수유와 칡이 약 $4{\mu}g$으로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 함량은 두충$(8587{\mu}g)$, 감잎$(6222{\mu}g)$, 녹차잎$(3652{\mu}g)$ 등이 매우 높았다. ${\alpha}-tocopherol$ 함량은 감잎(33 mg), 두충(26 mg), 녹차잎(16 mg), 홍차잎(13 mg) 순으로 높았으며, 비타민 C 함량은 녹차잎(199 mg)과 홍차잎(117 mg)이 가장 높았다.

  • PDF

Enzymatic Produc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 by Bullera singularis $\beta$-Galactosidase

  • SHIN, HYUN-JAE;JI-WON Y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5호
    • /
    • pp.484-489
    • /
    • 1998
  • Galactooligosaccharides (GalOS) were efficiently produced by partially purified $\beta$-galactosidase from the yeast strain Bullera singularis ATCC 24193.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ultrafiltration methods were used to prepare the enzyme. The enzyme activity decreased at $50^{\circ}C$ and above. A maximum yield of 40% (w/w) GalOS, corresponding to 120 g of GalOS per liter, was obtained from 300 g per liter of lactose solution at $45^{\circ}C$, pH 3.7 when the lactose conversion was 70%. The yield of GalOS did not increase with increasing initial lactose concentration but the total amounts of GalOS did. Volumetric productivity was 4.8 g of GalOS per liter per hour. During this reaction, the by-products, glucose and galactose, were found to inhibit GalOS formation. Reaction products were found to be comprised of disaccharides and trisaccharides according to TLC and HPLC analyses. We propose the structure of the major product, a trisaccharide, to be ο-$\beta$-D-galactopyranosyl-(l-4)-ο-$\beta$-D-galactopyranosyl-(l-4)-$\beta$-D-glucose (4'-galactosyl lactose).

  • PDF

Effect of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on the Biochemical Changes in the Fat Body and Haemolymph of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Hugar, I.I.;Kaliwal, B.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2호
    • /
    • pp.149-152
    • /
    • 2001
  •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with 10, 20 and 30 ${\mu}g$/ml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on the fourth and fifth instar bivoltine NB18 silkworm larvae Bombyx mori, on the glycogen and protein contents of the Fat body and trehalose and protein contents of the haemolymph has been studied. Glycogen content of the fat bod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ment groups except in the group treated with 30 ${\mu}g$ testosterone propionate where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 increase/decrease in haemolymph trehalose cont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treated groups. Protein content of the fat body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 and 20 mg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treated groups but in 30 mg treated groups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haemolymph protein content in all the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ed groups except in group treated with 10 ${\mu}g$ estradiol -17${\beta}$ where i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hen compared with that of carrier control.

  • PDF

Association between the TGFBR2 G-875A Polymorphism and Cancer Risk: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 Huang, Yong-Sheng;Zhong, Yu;Yu, Long;Wang, 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705-8708
    • /
    • 2014
  • Disrupte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signaling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cancer and the TGF-${\beta}$ receptor II (TGFBR2) is a key mediator of TGF-${\beta}$ growth inhibitory signals. It is reported that the G-875A polymorphism in TGFBR2 is implicated in risk of various cancers. However, result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is polymorphism and cancer remain conflicting. To derive a more precise estimation, a meta-analysis of 3,808 cases and 4,489 controls from nine published case-control studies was performed. Our analysis indicated that G-875A is associated with a trend of decreased cancer risk for allele A versus(vs.) allele G [odds ratio (OR) =0.64, 95% confidence intervals (CI): 0.55-0.74], as well as for both dominant model [(A/A+G/A) vs. G/G, OR=0.76, 95% CI: 0.64-0.90] and recessive model [A/A vs. (G/G+G/A), OR=0.74, 95% CI: 0.59-0.93). However, larger scale primary studies are required to further evaluate the interaction of TGFBR2 G-875A polymorphism and cancer risk in specific cancer subtypes.

${\alpha},{\beta}$-Dichloro 치환기를 갖는 Chitosan Succinic Acid 유도체 합성과 피부미용 및 해태 김 양식 응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Study on Skin Beauty Culture, Green Laver Culture and Synthesis of ${\alpha},{\beta}$-Dichloro Substituted Chitosan Succinic Acid Derivatives)

  • 류성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03-5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CCl_4$ 존재하에서 $Cl_2$(g) and ultra violet(200~300nm) 파장으로 maleic anhydride 와 $Cl_2$(g)을 반응시켜 ${\alpha},{\beta}$-dichlorosuccinic acid 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반응은 N-(${\alpha},{\beta}$-dichloro)succinic acid 함유 glucosamine 유도체(I)를 합성하는 것으로 methanol 함유 2% acetic acid 용매 하에서 glucosamine과 과량의 ${\alpha},{\beta}$-dichlorosuccinic anhydride을 넣은 후 온도를 $70^{\circ}C$로 올리면서 반응시켰다. 우리는 합성한 유기산 유도체들이 해태 김 재배와 피부미용에 주로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본다.

초소성변형의 분자론 (Molecular Theory of Superplastic Deformation)

  • 김창홍;이태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7-236
    • /
    • 1979
  • 소성변형에 대한 著者들의 이론을 초소성합금(Zn-Al eutectoid, A1-Cu, Pb-Sn, Sn-Bi, Mg-Al eutectics)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초소성합금의 소성변형은 두 개의 grain boundary流動單位의 平行連結로 나타낼 수 있었다. 이 두 개의 流動單位는 流動式에 나타나는 parameter $X_{gj}/{\alpha}_{gj}$${\beta}_{gj}$(j=1 혹온 2)로 表現할 수 있으며 이들을 實驗的으로 求할 수 있었다. 著者들의 流動式은 實驗과 잘 一致하였다. Strain rate sensitivity 對 -In(strain rate) 곡선을 이론으로 구한 결과 유동단위수만큼의 peak가 ${\beta}_{gj}$(j=1 or 2) 값에 따라 분리되어 나타났고 초소성의 조건도 ${beta}_{gj}$값에 의하여 결정됨을 알았다. ${\beta}_{gj}값의 粒子크기 依存性을 구하였고 온도변화에 따른 ${\beta}_{gj}$값 변화로부터 각 流動單位의 활성화엔탈피, ${\Delta}H_{gj}^{\neq}$도 구하였다. 그 결과 ${\Delta}H_{gj}^{\neq}$는 재료성분원소들의 grain boundary 자체확산에 의한 활성화엔탈피와 같이 나타났고 또 이들은 粒子 크기 증가에 마라 증가함을 보였다

  • PDF

보리가루에서 분리한 ${\beta}-Glucan$의 생리적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eta}-Glucan$ Isolated from Barley)

  • 오희정;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89-695
    • /
    • 1996
  •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추출, 정제하여 그의 소화관내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실험을 수행하였다.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6.2%의 수율로 정제하였으며 그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총 식이섬유 81.6%, 수용성 식이섬유 72.9%, 불용성 식이섬유 8.7%, 수분 8.5%, 단백질 2.5%, 회분 7.4%였다. ${\beta}-Glucan$ 제품의 수분보유력은 1g의 건조물당 6g이었다. 투석막을 이용하여 ${\beta}-Glucan$ 제품의 glucose 흡수 지연효과를 살펴 본 결과 ${\beta}-Glucan$을 3% 첨가한 경우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glucose retardation index가 13.5%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감소하여 투석 2시간 후에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le acid 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 본 결과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bile acid retardation index는 ${\beta}-Glucan$이 1, 3, 5% 첨가된 경우 각각 3, 12, 18% 수준으로 같은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glucose 흡수 지연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 PDF

한국토양(韓國土壤)의 방사능(放射能)에 관(關)한 연구(硏究) (I) - 답토양(畓土壤)의 β 방사능(放射能) 및 40K 핵종동정법(核種同定法) - (Radioactivity in soils (I) -A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40K and measurement of beta activity in paddy soils)

  • 김태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5-66
    • /
    • 1971
  • 가. 토양(土壤)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여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 중(中)에서 $^{40}K$의 기여(奇與)를 $^{40}K$${\beta}$ 선(線) 포화(飽和) 방사능비율(放射能比率)을 사용(使用)하여 전(全) ${\beta}$ 선(線) 분석(分析)을 시도(試圖)한 결과(結果) 답토양(畓土壤)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은 $^{40}K$${\beta}$ 방사능(放射能)에 기곤(起困)함을 알았다. 따라서 답(畓) 토양(土壤)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한다는 것은 실(實)은 $^{40}$${\beta}$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는 것이다. 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으로 부터 $^{40}K$의 핵종(核種) 동정(同定)을 행(行)하는 순서(順序)는 임의시료량(任意試料量)의 방사능측정(放射能測定)와 $^{40}K$의 포화(飽和) 방사능(放射能) 비율(比率)로 계산(計算)한 계산치(計算値)((4)식(式)에서 $G(t){\cdot}A_{\infty}$ 또는 A/G(t))와 비교(比較)하여 일치(一致)되는지를 Chauvenet 기준(基準) 따라서 검정(檢定)한다. 만약에 일치(一致)하지 않을 경우에는 $^{40}K$ 외(外)의 다른 핵종(核種)의 기여(寄與)를 의미(意味)하며 (7)식(式)에 의(依)하여 $^{40}K$과 다른 핵종(核種)을 분별(分別)하여 각각의 방사능(放射能) 붕양율(崩壤率)을 구(求)할 수 있다. 다. 한국(韓國) 답(畓) 토양(土壤)의 $^{40}K$ ${\beta}$ 방사능(放射能)은 $17.5{\sim}44.6{\mu}{\mu}ci/gr$. soil 사이에 있으며 이를 다시 모암(母岩) 별(別)로 보면 석회암(石灰岩)>화강암(花崗岩)>편암(片岩)>편마암(片麻岩)>반암(斑岩)>현무암(玄武岩)>섬녹암(閃綠岩)의 순(順)이다.

  • PDF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에서의 다양한 요단백의 배설 (Urinary Excretion of Various Urinary Proteins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정다은;구자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0호
    • /
    • pp.977-982
    • /
    • 2003
  • 목 적 : 방광요관 역류증이나 역류성 신병증을 가진 요로감염 환아에서 다양한 요단백(${\beta}_2$ MG, microalbumin) 또는 효소(NAG)의 배설을 측정하여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나 역류성 신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 및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이들 지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요로감염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아 중 방광요관 역류와 신반흔이 없었던 환아는 I군(n=30), 방광요관 역류증만 있었던 환아는 II군(n=12), 신반흔 및 방광요관 역류증을 같이 가지고 있었던 환아는 III군(n=34)으로 분류하여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 ${\beta}_2$ MG, microalbumin, NAG를 측정하였다.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가 낮은군(reflux grade I, II, III)과 높은군(reflux grade IV, V)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서의 요중 ${\beta}_2$ MG, microalbumin, NAG 값을 비교하였다. 방광요관 역류를 가진 46명의 환아 중 16명에서 방광요관 역류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방광요관 역류증이 소실될 때까지 매년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검사, VCUG, DMSA renal scan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의 microalbumin과 NAG는 III군에서 I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microalbumin : $27.7{\pm}26.0mg/gCr$ vs $15.0{\pm}10.7mg/gCr$, P<0.05, NAG : $15.2{\pm}18.7U/gCr$ vs $3.4{\pm}2.2U/gCr$, P<0.05). ${\beta}_2$ MG는 각 군간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2)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에 따라서는 높은군(grade IV, V)에서의 NAG값이 낮은군(grade I, II, III) 보다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26.8{\pm}27.1U/gCr$ vs $7.6{\pm}3.8U/gCr$, P<0.05). 3)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요단백 및 효소의 수치 변화에 있어서는 microalbumin과 NAG가 방광요관 역류증이 완전히 소실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결 론 : 소아 요로감염 환아에서 역류성 신병증의 존재 여부 및 추적 관찰에서의 방광요관 역류의 소실여부를 예측하는데 microalbumin과 NAG의 측정이 유용하며, 특히 NAG는 방광요관 역류의 심한 정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