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pha}_{16}$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29초

Antioxidant Activities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Terminalia chebula in B16/F10 Melanoma Cells

  • Lee, Hyun-Sun;Cho, Hye-Jin;Lee, Kwang-Won;Park, Sung-Sun;Seo, Ho-Chan;Suh, H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3호
    • /
    • pp.213-220
    • /
    • 2010
  •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erminalia chebula as a whitening agent, we measur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cdot$, ABTS${\cdot}^+$ assays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and depigmenting activity using B16F10 melanoma cells.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was monitored by $H_2DCFDA$ fluorescence labeling, and melanin contents in B16F10 melanoma cells by 960 $J/m^2$ dose of UVA-induced oxidative stress. Th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T. chebula extract (TCE) were measured in terms of $EC_{50}$ values using DPPH$\cdot$, ABTS${\cdot}^+$ assays and FRAP value were 280.0 ${\mu}g/mL$, 42.2 ${\mu}g/mL$ and 113.1 ${\mu}mol$ $FeSO_4{\cdot}7H_2O/g$, respectively. We found that ROS and melanin concentrations were reduced by TCE treatments of 25 ${\mu}g/mL$ under UVA-induced oxidative stress.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i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induced melanoma cells both decreased dose-dependently in the treatment groups. TCE similarly re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stimulated by $\alpha$-MSH as compared to arbutin as a positive control. T. chebula may prove to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hyperpigmentation and an effective component in skin whitening and.or lightening cosmetics.

작약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Tyrosinase 저해 및 Melanin 생성 억제활성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Paeoniae Radix)

  • 임도연;이경인
    • 생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3-328
    • /
    • 2011
  • We investigated antioxidative activit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of Paeoniae Radix and its fraction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extract was 73.45 mg/g, and conten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514.50 mg/g as the highest content of fractions.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SC_{50}$ values of the ethyl acetate was 3.86 ${\mu}g/ml$ as a result of greater activity in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Moreov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er activity than arbutin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cytotoxicity measurement by MTT assay, the extract and fractions were exhibited cell viabilities of 76.96~157.26% against Raw 264.7 and B16F10 cell in concentration of 10~100 ${\mu}g/ml$. In nontoxic concentration range,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stimulated B16F10 cell. As a resul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Paeoniae Radix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materials for skin-whitening agents.

On The Reflection And Coreflection

  • Park, Bae-H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22-26
    • /
    • 1978
  • ($\alpha$$_{x}$, $\alpha$X)와 ($\alpha$$_{Y}$ , $\alpha$Y)를 T$_2$ 공간 X와 Y의 Alexandroff base Compactification이라 할 때 $\alpha$fㆍ$\alpha$$_{x}$=$\alpha$$_{Y}$ f를 만족하는 open이고 연속인 함수 $\alpha$f:$\alpha$X$\longrightarrow$$\alpha$Y가 존재하는 연속함수 f:X$\longrightarrow$Y는 유일한 $\alpha$-extension $\alpha$f를 가지며 Category ABC를 T$_2$ 공간과 위와 같은 연속함수 f들의 Category라고 할 때 open이고 연속인 함수와 Compact space들의 Category는 Category ABC의 epireflective subcategory임을 밝혔다.

  • PDF

진범(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추출물의 항노화 및 항당뇨 효과 (Anti-aging and Anti-diabetes Effects of 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Extracts)

  • 김정환;이수연;권오준;박주훈;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6-621
    • /
    • 2013
  • 진범은 열독을 제거하고 발한을 유도하여 몸의 수분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져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증 활성과 장기의 면연체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진범 추출물의 항노화와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진범을 추출하고 그 추출물이 가지는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PF 및 TBARs와 같은 항산화 활성과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진범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mu}g/ml$, $50{\mu}g/ml$ 처리군부터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99.8{\pm}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베타카로텐리놀레이트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물 추출물에서 1.27 PF, 1.33 PF값을,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40 PF, 1.49 PF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0.16{\pm}0.03{\mu}M$로 가장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와 에탄올 추출물의 100~$1,000{\mu}g/ml$ 처리군에서 90% 이상의 ${\alpha}$-amylase 저해 활성과 60% 이상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진범의 생리활성을 이용하여 항노화 화장품 원료와 항산화 및 항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원 511호와 일품쌀의 항산화성분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n Suweon-511 and Ilpum Rice)

  • 우관식;정응기;서세정;양창인;정헌상;김기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23-1230
    • /
    • 2008
  • 2006년 새롭게 육성된 계통명 수원 511호 품종에 대한 이 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수원 511호에서 318.17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222.16 $\mu$g/g)보다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수원 511호에서 167.21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 (100.89 $\mu$g/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alpha$- 및 $\gamma$-tocopherol 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4 및 1.17 mg/100 g을 나타낸 반면 일품은 각각 0.06 및 0.80 mg/100 g으로 수원 511호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tocopherol 함량 또한 수원 511호 가 1.31 mg/100 g으로 일품(0.86 mg/100 g)에 비해 높았다. $\alpha$-, $\gamma$- 및 $\delta$-tocotrienol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0, 0.43 및 0.02 mg/100 g을 나타냈으며, 일품은 각각 0.09, 0.43 및 0.03 mg/100 g으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 및 일품쌀의 $\gamma$-oryzanol 함량을 측정 한 결과 각각 76.58 및 7.77 $\mu$g/g으로 수원 511호가 약 10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력은 수원 511호와 일품쌀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은 각각 16.00 및 9.73mg AA eq/g으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은 5 mg/mL의 농도에서 수원 511호 및 일품쌀 모두 0.18을 나타내었고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0.61 및 0.58을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의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각각 42.00, 21.59, 23.27 및 17.13%로 나타났으며, 일품은 30.10, 22.37, 25.18 및 18.08%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새롭게 육성된 수원 511호 쌀은 일품쌀에 비해 항산화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활성 또한 약간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항산화 활성과 미백활성 측정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 박수아;박준;박찬일;지영종;황윤찬;김용현;전소하;이혜미;하지훈;김경진;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7-4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HaCaT 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과 B16F1 melanoma 세포에서의 미백활성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각각 50 및 $25{\mu}g/ml$의 농도 이하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UVB $800mJ/cm^2$를 HaCaT 세포에 조사하였을 때,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였다. 10 mM의 $H_2O_2$$4{\mu}M$의 rose bengal을 HaCaT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25{\sim}50{\mu}g/ml$) 및 아글리콘 분획($6.25{\sim}25{\mu}g/ml$)은 우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B16F1 melanoma 세포에서의 미백활성을 측정한 결과,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 보다 더 우수한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ROS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세포보호제 및 천연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르키며, ${\alpha}$-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로부터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새로운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써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hemopreventive Actions of Blond and Red-Fleshed Sweet Orange Juice on the Loucy Leukemia Cell Line

  • Dourado, Grace KZS;Stanilka, Joy M;Percival, Susan S;Cesar, Thais B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491-6499
    • /
    • 2015
  • Background: Red-fleshed sweet orange juice (ROJ) comes from a new variety of citrus cultivated in Brazil that contains high levels of ${\beta}$-carotene and lycopene, and similar amounts of hesperidin (HSP) and nutrients, equivalently to blond orange juice (BOJ). Such bioactive compounds are associated with chemopreventive actions in several cancer cell 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ytotoxicity, cell cycle, apoptosis, and cytokine secretion after BOJ, ROJ, and HSP treatment of a novel T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ell line, Loucy. Materials and Methods: Loucy cells were incubated for 24-h with BOJ, ROJ, and HSP, and the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rypan blue. Cell cycling and apoptosis were assessed by propidium iodide (PI) and annexin V-FITC/PI flow cytometry, respectively. Secretion of cytokines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10, IL-17A, $IFN{\gamma}$, $TNF{\alpha}$, $TGF{\beta}$, $MIP{\alpha}$, and $MIP{\beta}$ was determined by ELISA array. Results: BOJ and ROJ treatments promoted Loucy cell cytotoxicity. Additionally, BOJ induced cell cycle arrest in the G0/G1 phase, and decreased the cell accumulation in the G2/M. ROJ decreased only the G0/G1 fraction, while HSP did not change the cell cycle. BOJ led to apoptosis in a different fashion of ROJ, while the first treatment induced apoptosis by increase of late apoptosis and primary necrotic fractions, the second increased early and late apoptosis, and primary necrotic fraction compared to positive controls. HSP had no effect on apoptosis. IL-6 and IL-10 were abrogated by all treatments. Conclusions: Taking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potential chemopreventive effects of BOJ and ROJ on Loucy cells.

Inhibitory Effect of Ginsenoside-Rp1, a Novel Ginsenoside Derivative, on the Functional Activation of Macrophage-like Cells

  • Park, Tae-Yoon;Cho, Jae-Yo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4호
    • /
    • pp.370-376
    • /
    • 2008
  • Ginsenoside Rp1 (G-Rp1) is a ginseng saponin derivative with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gulatory activity of G-Rp1 on the functional activation of macrophages. G-Rp1 remarkably inhibited TNF-$\alpha$ production, LPS-induced cell cytotoxicity, NO production, ROS generation, and phagocytic uptake from lipopolysacchride (LPS)-activated RAW264.7 cells. According to structural feature study using several G-Rp1 analogs, two carbohydrates (glucose-glucose) at R1 position were observedto be highly effective, compared to other structural derivatives. Although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G-Rp1 on macrophage functions were not remarkable, several points that G-Rp1 was known to be safe, and that this compound was orally effective, suggest that G-Rp1 may be beneficial in treating macrophage-mediated immunological diseases.

호열성 Geobacillus thermosacchalytycus가 생산하는 \alpha-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분리정제와 당전이 반응 특성 (Purification of \alpha-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Excreted from Themophilic Geobacillus thermosac-chalytycus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glycosylation Reaction of Glucosides.)

  • 이미숙;신현동;김태권;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36
    • /
    • 2004
  • 토양으로부터 CGTase를 생산하는 새로운 호열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형태 및 생리적 특성과 16S ribosomal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eobacillus thermosacchalytycus 로 동정하였다. 호열성 G. thermosacchalytycus가 분비하는 CGTase를 한외여과, 소수성 Phenyl Sephadex CL-4B 클로마토그래피 , 그리고 gel filtration의 순서로 분리 정제하여 정제도 28.2배, 정제수율 12.2%, 그리고 specific activity가 4952.5 units/mg인 CGTase를 얻을 수 있었다. 정제된 CGTase의 분자량은 69,000 dalton이었고, terminal amino sequence는 Asn-Leu-Asn-Lys-Val-Asn-Phe-Thr-Ser-Asp-Val-Val-Tyr-Gln-Ile이었다.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pH 6와$ 50^{\circ}C$였고, pH 6-8과 $60^{\circ}C$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중성 pH의 내열성 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내열성 CCTase의 cyclization과 coupling 반응의 특정을 검토한 결과 G. thermosacchalytycus가 생산하는 내열성 효소는 $\alpha$-type CGTase이었고, cyclization 반응보다는 coupling반응에 적합한 당전이성이 높은 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당전이 반응에서 기질 특이성을 검토한 결과 당공여체로는 가용성 전분 그리고 당수용체로는 배당체인 stevioside에 대해 높은 기질 특이성을 보였다. 당전이 반응은 당수용체와 당공여체가 효소와 무작위로 결합하여 진행되는 random ternary complex mechanism으로 반응이 수행되었다.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III. 한우에서 번식장애 처치 및 $\textrm{PGF}_{2a}$의 난소실질내 투여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velopment of Breeding Technique to Increase Hanwoo (Bos taurus coreanae) III. Hormonal Treatment of Reproductive Disorders and Effect of Intraovarian $\textrm{PGF}_{2a}$ Administration in Hanwoo)

  • 손창호;오병철;임원호;백종환;오명환;이강남;정근기;강성근;김대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6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을 위해 발정이 재귀되지않은 무발정 한우의 번식장애 치료효과와 공태기를 감축하기 위한 난소실질내 PGF/sub 2$\alpha$처치효과를 알아보았다. 1. 번식장애의 감별진단 결과는 검사두수 43두중 둔성발정 또는 발정발견의 잘못이 18두 (41.9%)로 가장 많았고, 난소기능정지 14두 (32.6%), 난포낭종 4두(9.3%), 영구황체 3두 (7.0%), 자궁내막염 2두 (4.7%), 자궁축농증과 황체낭종은 각각 1두(2.3%)로 나타났다. 2. 둔성발정 또는 발정발견의 잘못 18두를 PGF/sub 2$\alpha$/ 25 mg으로치료하여 18두가 발정이 발현되었고 이중 16두 임신되었다. 3. 난소기능정지의 경우는 GnRH 200$\mu\textrm{g}$으로 치료하여 10두중 8두가 발정이 발현되어 이중 7두가 임신이 되었으며, 난포낭종도 역시 CnRH 200$\mu\textrm{g}$으로 치료하여 4두중 3두가 발정이 발현되어서 인공수정후 임신이 되었다. 4. 영구황체 3두와 황체낭종 1두는 각각 PGF/sub 2$\alpha$/ 25 mg으로 치료하여 3두 모두 발정이 발현되어 수정후 임신이 되었다. 5. 자궁내막염 2두는 PGF/sub 2$\alpha$/25mg과 항생제 요법을 병행한 결과 2두 모두 발정이 발현되어서 인공수정후 임신이 되었다. 6.공태기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분만 후 20일이 경과한 소에 대해 14일 간격으로 PGF/sub 2$\alpha$/의 난소실질내 투여시 공여동물 23두중 17두에서 임신이 확인되어 74%의 수태율을 보였다. 또한 11일 간격으로 PGF/sub 2$\alpha$/ 를 투여한 군에서는 17두중 16두가 임신되어 94%의 높은 수태율을 보여 공태기를 더 단축할 수 있는 우수한 처리법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