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_0$ change

검색결과 937건 처리시간 0.043초

육종용약침의 항암작용(抗癌作用) 및 면역효과(免疫效果)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Study on the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of Aqua-acupuncture with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 이은용;이병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251-286
    • /
    • 2000
  • To study the effects of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of aqua-acupuncture with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we used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taken by water-alcohol method) put into Chung-wan(CV12) and Chok-Samni(S36) of BALB/c or C57BL/6 which are corresponding to human body. We observed the cytotoxicity, th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MMP-9 gene, the ability to control cancer cell proliferation, change of body weight, surviving number, MST, ILS, changes in amount of WBC, RBC, PLT, total protein, creatinine, glucose and LDH, weight of spleen, number of pulmonary colony, histological analysis on tissue metastasis of lung and liver, splenic cell proliferati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 the number of $CD4^+$, $CD8^+$, $CD19^+$ and NK cell, and concluded like thi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cytotoxicity about B16-F10 cell line of $2^0$, $2^{-1}$, $2^{-2}$, $2^{-5}$ diluent groups in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The cytotoxicity about HT1080 cell line of $2^0$, $2^{-1}$, $2^{-2}$, $2^{-3}$, $2^{-5}$, $2^{-8}$ diluent groups in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The effect on expression of MMP-9 gene was decreased in all the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 The effect on the control-ability on the cancer cell proliferation showed cytotooicity significantly in $2^0$, $2^{-1}$, $2^{-2}$, $2^{-3}$, $2^{-4}$, $2^{-5}$ diluent groups. 5. S-180 cancer cell line transplants in BALB/c mice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in weight increase in all the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surviving number increased in almost sample groups, except one group put into Chok-Samni(S36) with 20%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group that showed same number of the control group. 6. S-180 cancer cell line transplants in BALB/c mice showed high MST and ILS significantly in almost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one group put into Chok-Samni(S36) with 20%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group showed low MST and ILS than control group. 7. The sample group injected in vein with B16-F10 cancer cell line in C57BL/6 mice showed increased IL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n anti-metastasis test. 8. The sample group injected in vein with B16-F10 cancer cell line in C57BL/6 mic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number of WBC and glucose,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mount of LDH,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owever, there's no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number of RBC, PLT, total protein and creatinine. 9.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relation in spleen weight of the sample group. 10. In pulmonary colony, sample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1. Histological analysis of sample group inhivited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in both of lung and liver. 12. In immune system, all the sample groups showed having more relevancy to the effect on splenic cell proliferation than normal group. 13. The effect on cytokine gene expression of all the sample groups were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14. In flow cytometry there's no significant relation in number of $CD8^+$, $CD19^+$ cell, however, the number of $CD4^+$ cell and NK cell in sample groups were increased than in control group.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aqua-acupuncture of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has effects of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 PDF

낮은 C/N비 하수의 외부 탄소원 주입에 따른 생물학적 질소제거에서 미생물 군집 구조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Population Community Structure by an Addition of External Carbon Source in BNR Process for Low C/N Ratio Sewage Treatment)

  • 윤조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831-838
    • /
    • 2008
  • 본 연구는 호기조에 유동상 접촉여재를 충전한 실험실 규모의 A$_2$O 공법을 이용하여 낮은 C/N비(COD$_{Cr}$/T-N = 1.24) 하수처리시에 외부 탄소원 주입량 여부에 따른 탈질 및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특성을 검토하였다. 미생물 군집구조 특성 분석은 퀴논분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C/N비가 낮은 유입하수의 미생물 군집특성은 유비퀴논(UQ) 동족체 비율이 UQ-8 > UQ-10 > UQ-9 > 기타의 순으로 감소하고 메나퀴논(MK) 동족체는 UQ 동족체에 비해 존재비(f)가 적고 단순하였다. MK/UQ비는 0.41 이하, 비유사도(D)는 0.26 이하이었다. 외부탄소원 미주입 경우, 각 공정에서의 미생물 군집 특성은 혐기조에서는 퀴논종이 3종으로 MK-8이 우점이고 DQ와 EQ값이 작았다. 무산소조에서는 UQ/MK비가 2.3으로 호기성 미생물의 존재비가 높았다. 호기조에서는 부유성인 경우 우점퀴논이 UQ-7이며, 접촉여재 부착성인 경우 우점 퀴논이 UQ-8이었다. 외부탄소원을 주입한 경우, 미생물 군집 구조특성은 미주입시보다 혐기조에서 MK-8 비가 감소하고 UQ-8비, 퀴논종수, DQ값과 EQ값는 증가하였다. 외부탄소원 주입시 탈질향상은 주로 무산소조에서 일어났으며 UQ/MK비가 2.3에서 1.4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주로 UQ-8의 감소와 MK-7 및 MK-8의 증가에 의한 요인으로 미생물군집구조가 Pseudomonas sp.에서 Bacillus 및 Micrococcus sp. 같은 종의 구조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호기조에서 부유성인 경우 우점퀴논이 UQ-7에서 UQ-8으로, 부착성인 경우 UQ-8에서 UQ-10으로 변하였는데 이는 부유성에서 Nitrosomonas가 부착성에서 Nitrobactor의 존재비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QLF(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를 이용한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물의 인접면 우식 재광화 효과에 관한 연구 (REMINERALIZATION EFFECT OF INTERPROXIMAL CARIES ADJACENT TO GLASS IONOMER RESTORATIONS: IN VITRO STUDY USING QLF)

  • 이혁상;현홍근;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4-249
    • /
    • 2011
  •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초기 우식 치질에 재광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세 가지 종류의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IX $GP^{TM}$, $Vitremer^{TM}$, $F2000^{TM}$)를 실험군으로, 복합 레진(Filtek $Z250^{TM}$)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3개월간 인접면 우식증에 대한 재광화 효과를 시편의 파괴 없이 1개월 간격으로 QLF로 시편의 상을 얻고, 이렇게 얻은 상의 무기질 소실량(${\Delta}Q$)을 측정하여 ${\Delta}Q$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시편의 재광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인접면 수복물은 인공 우식 병소가 있는 치아 시편과 수복재료(세 가지 글라스 아이오노머 및 복합 레진)를 접촉시켜 재현하였고, 이것을 인공 타액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pH 7.0, $37^{\circ}C$를 유지하였다. 치아 시편들은 실험 시작 후 30, 60, 90일 뒤에 꺼내어 QLF로 촬영하였다. 얻어진 영상을 QLF를 이용하여 시편 각각의 무기질 소실량(${\Delta}Q$)을 측정하였고, ${\Delta}Q$의 변화량(${\Delta}{\Delta}Q$), 즉 무기질 소실 변화량을 계산하여 얻어진 값을 ANOVA로 분석하고, Dunnett C multiple comparison test로 사후 검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병소의 무기질 소실량(${\Delta}Q$)이 증가하였다. 2. 무기질 소실량(${\Delta}Q$)의 변화량인 무기실 소실 변화량(${\Delta}{\Delta}Q$)은, 1 개월 후에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복합레진에 비해 유의하게 컸으며(p<0.05), 글라스 아이오노머 중에서는 Fuji IX $GP^{TM}$$Vitremer^{TM}$, $F2000^{TM}$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p<0.05). 2 개월 후에는 Fuji IX $GP^{TM}$가 나머지 군에 비해 ${\Delta}{\Delta}Q$가 유의하게 컸으며(p<0.05), 3 개월 후에는 모든 군간에 ${\Delta}{\Delta}Q$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세 가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에서 무기실 소실 변화량(${\Delta}{\Delta}Q$), 즉 재광화 정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4. 대조군인 복합 레진 군에서도 무기실 소실 변화량(${\Delta}{\Delta}Q$)은 증가하였다.

몽골 훕스굴 호수 수층에서 유기물질 분해세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Bacterial Decomposers in Lake Khuvsgul, Mongolia)

  • 정유정;정다운;김주영;조영근;임정한;이홍금;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9-125
    • /
    • 2009
  • 동토지대 거대 담수호에 서식하는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생태학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몽골 북부의 동토지대 경계에 위치한 스굴 호수에서, 전체 세균군집의 구조와 유기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 군집의 구조를 수심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환경인자 분석결과, 수심 5~10 m 사이에서 thermocline과 chemocline이 관찰되었다.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로 전체 세균군집의 구조를 수심별로 비교한 결과 0~5 m 사이에서 군집구조의 변화가 컸고, 10 m 이상에서는 Acidovorax facilis를 위주로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였다. $10^{\circ}C$에서 고분자 유기물 분해 활성도(protease, cellulase, amylase, lipase)가 높은 균주들을 탐색하여 23개 균주를 선별하였다. 표층수로부터 Acidovorax defluvii와 Sphingobacterium faecium이 분리되었는데 cellulase 활성이 높았다. 수심2 m, 5 m 및 10 m 이상의 시료에서 분리된 세균군집은 각각, Flavobacterium succinicans, Mycoplana bullata, A. facilis가 우점하였다. F. succinicans는 높은 protease 활성을 보였고, 수심 5 m의 M. bullata는 protease와 cellulase 활성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약한 활성을 보였다. 수심10 m의 A. facilis 균주들은 cellulase 또는 lipase를 서로 배타적으로 발현하였다. 온도별 성장속도를 분석한 결과 표층(0~5m) 세균들은 기회성 호냉성 세균이었고, 심층($\geq$10m)에서 분리된 균주들은 $10^{\circ}C$ 이하에서 성장률이 낮았다. 심층의 저온 빈영양 상태 때문에 심층 세균들간의 경쟁에서 빠른 저온 성장이 요구되지 않고, 상층의 경우 육상 또는 식물 플랑크톤으로부터 영양물질이 공급되므로 저온에서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는 세균들이 상층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스굴 호수수층에서 관찰된 세균군집의 종 분포와 물질분해 작용의 성층화는, 한냉대 빈영양 담수 호수에서 분해자 군집들의 생태학적 기능이 0~10 m 수심의 표층에 집중됨을 시사하였다.

자가미백술 단독사용시 임상적 효능 및 유지력 평가 (The evaluation of clinical efficacy and longevity of home bleaching without combined application of In-office bleaching)

  • 신병규;양성은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87-394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15% 과산화 요소 (carbamide peroxide)를 포함한 Opalescence F를 이용한 자가 미백술 (home bleaching)을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후 12주까지 임상적 미백효과와 구강 환경에서 임상적 미백 효과의 유지 정도를 비색 측정기(Colorimeter)와 비타 색 기준 (Vita shade guide)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8명의 336개의 전치를 대상으로 실험군은 하루 2시간씩 4주간 자가 미백술을 시행하고 대조군은 미백을 시행하지 않았다. 미백 전, 미백 직후 (4주후), 8주, 12주에 색을 측정하여 변화를 기록하였다. 결과: 4주의 미백술 시행 후 치아의 색 변화량 (${\Delta}E^*$)은 실험군에서 비색 측정기는 $7.04{\pm}2.85$, 비타 색 기준은 $7.58{\pm}2.28$로 모두 뚜렷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p < 0.05), 8주와 12주후의 색 변화량 (${\Delta}E^*$)은 미백과는 상반되는 방향으로 비색 측정기의 경우에는 8주에 $2.71{\pm}1.84$, 12주에 $2.19{\pm}2.59$로 나타났으며 비타 색 기준의 경우는 8주에 $0.41{\pm}1.21$, 12주에 $1.05{\pm}1.36$으로 나타나, 비록 미백전과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지만 (p < 0.05) 미백직후와 비교 시 서서히 색이 복원 (shade recover)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색의 복원은 미백치료 종료 후 초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변화를 보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가 줄어들며 안정되는 양상을 보였고 CIE $Lab^*$ 값은 미백 시행 기간동안 밝기 ($L^*$값)는 증가하였고 적-녹 축 (red-green축, $a^*$값)은 감소하여 녹색계통으로 변화되며, 황-청 축 (yellow-blue축, $b^*$값)도 감소하여 청색계통으로 변화하였고 미백 시행을 종료한 후에는 미백 시행 이전방향으로 색 복원이 발생하였다. 비색 측정기는 비타 색 기준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육안에 의존하는 비타 색 기준은 큰 변화는 더 크게, 작은 변화는 더 작은 색 변화량을 보였다. 결론: 자가 미백술 단독 사용시 색복원은 관찰되지만 12주후에도 미백전과 비교시 통계학 상으로 유의성있게 그 효과가 유지되므로 (p < 0.05) 임상적 효능이나 유지력은 인정되며 이를 통해 자가미백술 단독 사용으로도 그 의미는 있다고 생각된다.

컴포머 충전과정에 따른 상아질 투과도의 변화 (DENTIN PERMEABILITY CHANC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OMPOMER RESTORATION)

  • 조혜진;이경하;이세준;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382-388
    • /
    • 2002
  • Compomer is composed of matrix and filler : matrix is made of the combination of resins and polycarboxylic molecules that are light-cured, and a filler is a glass component which is capable of ion-release. The resin content of compomers produces polymerization shrinkage which can adversely affect marginal adaptation. Pretreatment is a fundamental step which is treated with conditioner or primer in the use of these materials. Microleakage of restorative materials has been investigated mostly by dye penetration method. Dye penetration method was not quantitative and not measured repeatedly. Fluid filtration method, introduced and developed by Pashley's group, has been extensively used for 20 years for research purpose to understand the physiology of dentin, as well as the effects of various restorative treatments on dentin permeability. It permits quantitative, nondestructive measurment of microleakage in a longitudin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dentin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ompomer restoration. In this study. Cl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surface of thirty extracted human molars. The prepared cavities were etched by 37% phosphoric acid. The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was treated with following materials Group 1 : Prime & Bond NT/Dyract AP, Group2: Single Bond/F2000 compomer, Group 3 : Syntac Single Component/Compoglass. The bonding agent and compomer were applied for each group following manufacturers information. Dentin permeability of each group was measured at each process by fluid filtration method; Step 1 : preparation(smear layer). Step 2 : etching(smear layer removal), Step 3 : applying the bonding agent, Step 4 : filling the compomer. Dentin permeability was expressed by hydraulic conductance ($\mu\textrm{l}$ min$^{-1}$cm$H_2O$$^{-1}$).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One-way ANOVA and Sheffe's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ntin permeability differences between each process were significant except between step 1 and step 2(p<0.01). 2. Dentin permeability after removal of smear layer was highly increased(p<0.01). 3. In most case, decrease of dentin permeability was obtained by applying bonding agent(p<0.01). 4. Dentin permeability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ignificant(p>0.05). 5. None of compomers used in this study showed perfect seal at the interface.

비심장 수술 환자에서 수술 전후 심장사건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심근관류 SPECT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Myocardial SPECT for the Preoperative Cardiac Risk Evaluation in Noncardiac Surgery)

  • 임석태;이동수;강원준;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3-281
    • /
    • 1999
  • 목적: 우리는 비심장 수술 환자에서 수술전후의 심장사건의 위험도를 평가할 때 미국 순환기학회/미국 심장학회(이하ACC/AHA)에서 제시한 임상적 여러 지표에 더하여 심근관류 SPECT가 도움되는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에 비심장 수술을 시행한 118명(혈관수술 18, 비혈관수술 100)을 대상으로 수술 전에 휴식 T1-201/부하 Tc-99m MIBI 심근관류 SPECT를 시행하고 중한 심장사건과 경한 심장사건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지표, 운동능력, 수술 종류에 따라 분류한 것의 심장사건 예측률과 심근관류 SPECT 소견을 가역관류감소, 지속관류감소, 정상으로 나누었을 때 심장사건 예측률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지표들에 대해 심근관류 SPECT가 부가 효용이 있는지 다변량 로짓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심장사건은 전체 환자의 21%에서 발생하였으며 심근관류 SPECT에 가역적 심근관류 이상이 있는 경우에 심장사건의 발생빈도가 높았다. 임상적 분류와 수술 종류도 사건 발생을 예측할 수 있었으나 다변량 분석에 수술 종류(p=0.0018)와 심근관류 SPECT 소견(p=0.0001)이 유의한 예측지표이었다. 심근관류 SPECT 결과가 수술 종류에 따른 위험 예측을 더욱 계층화할 수 있었다. 결론: 비심장수술 환자에서 수술 종류에 더하여 심근관류 SPECT가 심장사건 발생을 예측하는 유용한 지표이었다.

  • PDF

심박변이도를 통한 폐경 전 한국인 비만 여성의 비만 관련 대사체 농도 예측을 위한 회귀분석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of Obesity-related Metabolites via Heart Rate Variability for Korean Premenopausal Obese Wom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김종연;양요찬;이운섭;김제인;맹태호;유덕주;심재우;조우영;송미연;이종수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5-162
    • /
    • 2014
  • Objectives Advanced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heretofore,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HRV depending on the state of obesity.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not quantified predictive power of HRV toward the obesity-related variables, which is rather more meaningful for clinicians who regularly treat obese patients. Hence, we designed a research to investigate whether HRV could predict serum levels of obesity-related metabolites. Methods Ninety obese premenopausal women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cruited. The HRV test, blood sampling, and measurement of physical traits wer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measurement data was carried out, putting obesity-related metabolites (insulin, glucose, triglyceride, hs-CRP, HDL, LDL, total cholesterol) as outcome variables and the others as predictors. To select appropriate predictive variables, the Akaike's Information Criterion (AIC) was applied. Normality and homoskedasticity of residuals for each model were tested to identify if there were any violations of the regression analysis's basic assumption. Logarithm transformation was used for the values of the concentration of metabolites and the HRV. Results The regression model including Total Power (TP) value and BMI ha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for serum insulin concentration (F(2, 88)=835.7, p<0.001, $R^2=0.95$).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ln (TP) was -0.1002. However, it was not sure if the HRV could predict concentrations of other metabolit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otal Power (TP) value of the HRV can predict the level of serum insulin. If the BMI could be assumed as being constant, when the TP value is multiplied by n, the predicted change of insulin could be drawn by multiplying $n^{-0.1002}$. The uncertainty of this model can be assumed as approximately 5%.

감마선 조사 처리에 의한 우유의 화학적${\cdot}$세균학적 및 항원성 변화 (Changes of Chemical, Bacteriological, and Allergenicity of Raw Milk by Gamma Irradiation)

  • 노영배;김승일;김현수;정석근;채현석;안종남;조철훈;이완규;함준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93-98
    • /
    • 2005
  • 본 연구는 항원성을 저감한 우유 및 유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도출을 위해 열처리와 감마선 조사 처리 시 우유의 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면역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열처리와 감마선 조사 처리 시 열처리 온도와 조사량이 높을수록 유리지방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UHT 처리시와 5 kGy 조사시 유리지방산 함량은 유사하였다. $10^3$ CFU/mL 수준의 원유를 저온, 고온, 초고온으로 열처리시와 1${sim}$10 kGy로 감마선 조사처리 시 모두 일반세균과 대장균 군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주일 지난 후에도 UHT 처리유와 5kGy 이상 조사 처리유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 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원유를 열처리시 arginine, asparate, iso-leucine, leucine, lysine, methionine이 감소된 반면 조사처리에 의해 aspartat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이 감소되어 열처리와 조사처리가 단백질의 일차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p<0.05)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유의 항원성은 감마선 조사처리시 5kGy 이상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5 kGy 정도의 감마선 조사처리로 UHT 처리시와 유사한 화학적, 미생물학적 효과와 우유의 항원성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Polymorphism of Ghrelin Gene in Twelve Chinese Indigenous Chicken Breeds and Its Relationship with Chicken Growth Traits

  • Li, C.C.;Li, K.;Li, J.;Mo, D.L.;Xu, R.F.;Chen, G.H.;Qiangba, Y.Z.;Ji, S.L.;Tang, X.H.;Fan, B.;Zhu, M.J.;Xiong, T.A.;Guan, X.;Liu, B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53-159
    • /
    • 2006
  • A 2,656 bp fragment of chicken ghrelin gene was cloned and SNPs were detected by PCR-RFLP and Allele Specific PCR (ASP) in 12 Chinese indigenous chicken breeds and a commercial chicken pop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23 base variations and an amino acid change ($Gln{\rightarrow}Arg$) in cloned chicken ghrelin gene. Three SNPs were confirmed in 13 populations and associations between this gene and growth traits of Tibetan chicken (TC) and Recessive White chicken (RW)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haplotype analysis revealed that 26 haplotype genotypes were composed of eight haplotypes. The results of $x^2$ tes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otypes or haplotype genotype frequencies in some of the breeds or sexes at 0.05 or 0.01 levels. The results of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otypes or haplotype genotypes on some growth traits of TC and RW chicken breeds at 0.05 or 0.01 levels. Multiple comparison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genotype CT at site 71 and some growth traits of two chicken breeds and between genotype AG at site 1,215 and body weight at 16 wk of two chicken breed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aplotype genotype CAA/CAG and body weight and shank girth at 16 wk of two chicken br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