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reve{o}d\breve{o}k$(Codonopsis lanceolat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breve{o}d\breve{o}k$(Codonopsis lanceolata))

  • 맹영선;박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1-316
    • /
    • 1991
  • 본 실험에서는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검토하고자 수소공여능과 과산화물가 및 TBA가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추출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가열추출한 경우에는 추출물의 수율이 높고 갈변반응물질이 생성되어 함께 추출되었다. 수소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ginseng reflux extract(GSRE) $d\bar{o}d\bar{o}k$ reflux extract(CDRE) $d\bar{o}d\bar{o}k$ reflux extract(WDRE) $d\bar{o}d\bar{o}k$ cold extract(CDCE) $d\bar{o}d\bar{o}k$ cold extract(WDCE)의 순으로 산더덕 상온추출물의 수소공여능이 가장 켰으며, 가열추출한 경우 수소공여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는 대두 유기질의 경우 BHA

  • PDF

산채류의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 조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8
    • /
    • 2000
  • 경기, 강원, 전라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지역민들의 산채 대한 인지도, 식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채에 대한 인상은 ${\ulcorner}$자연식품이다${\lrcorner}$라는 응답을 한 경우가 42.6%로 가장 높아서 자연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산채의 떫은 맛을 우려내는 방법은 ${\ulcorner}$특별히 하지 않는다${\lrcorner}$가 62.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채의 입수 방법은 재래시장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고 있었으며, 도시보다 농촌이, 60세이상의 연령층에서는 들에서 직접 채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4) 산채의 식용빈도는 총 응답자의 28.7%가 가끔 먹는다라고 답하였으며, 도시보다 농촌의 경우 자주 먹는다는 응답율이 높았고 노인 동거가족과 40세 이상 연령층(31%)에서 자주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잘 알고 있는 산채의 이름은 평균적으로 더덕, 도라지, 고사리, 쑥, 달래를 95%이상 잘 알고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두릅 고들빼기는 각각 88.6% 85.1%이상 알고 있었다. 자주 먹는 산채는 고사리, 도라지, 달래, 더덕, 쑥, 고들빼기의 순이었으며 전라 경상지역에서는 도라지 다음으로 자주 먹는 산채를 쑥으로 응답하였다. 6) 밥에 넣어 먹는 산채는 총 25종류였으며 그 중 쑥의 이용율이 41.9%로 가장 높았다. 쑥은 떡으로 77.8%, 튀김이나 전으로 50.1%, 술담그는데 4.6%가 이용되고 있었다. 국 찌개, 생채의 조리에는 달래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나물이나 볶음에 이용되는 산채의 종류는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사리가 볶음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김치에는 돌나물과 고들빼기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술과 장아찌용으로는 더덕이 각각 40%, 46%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도라지는 가장 다양한 조리법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7) 산채의 저장법으로 데쳐서 말려서 저장하는 산채는 43종이었으며 그 중 고사리가 32.3%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으며 참취, 고비, 참나물, 쑥, 곰취도 데쳐서 건조하여 저장하고 있었다. 그외 고들빼기, 도라지, 씀바귀, 고사리 등은 소금물에 담가 저장하고 있었으며, 냉동저장도 다수가 응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