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검색결과 3,181건 처리시간 0.024초

Test strip과 chlorophyll meter를 이용한 토마토의 신속한 영양진단 (Rapid Nutrient Diagnosis of Tomato by Test Strips and a Chlorophyll Meter)

  • 김권래;정한울;김계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140-143
    • /
    • 2003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시된 여러 가지 간이 식물영양 진단 방법들 중 test strip과 chlorophyll meter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실제 이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양액의 N, P, K수준을 달리하여 토마토를 재배하면서 생육시기별로 specific color difference sensor value (SCDSV), 엽병 즙액 중 $NO_3,\;PO_4,\;K$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양액중 N, P, K의 농도 변화에 따른 엽병 즙액 중 $NO_3,\;PO_4,\;K$ 함량 변화가 엽 중 total-N, E, K함량의 변화보다 더 민감하였다. Test strip을 이용하여 측정한 토마토 엽병 즙액 중 $NO_3,\;PO_4,\;K$ 함량은 엽 내 total-N, E, K의 농도와 고도의 일차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 여러 연구를 통해 확립된 토마토의 엽 중 total-N, E, K의 적정 함량을 희귀식에 대입하여 구한 즙액의 적정 $NO_3,\;PO_4,\;K$의 함량은 각각 3.4-5.9, 0.3-0.5, 3.6-6.5 g/l였다.. Chlorophyll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SCDSV는 엽 중 total-N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기존에 연구된 토마토의 엽 중 total-N 함량을 희귀식에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 적정 SCDSV는 36.0-40.0이었다. 본 연구 결과 test strip과 chlorophyll meter는 토마토의 신속한 영양 진단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 특징과 엽록소 함량 비교 (Comparisons i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Foliages with Variegated Leaves)

  • 박인숙;신용길;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47-45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하여 이용 및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반입의 형태 및 색, 면적비, 그리고 잎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주요 관엽식물 중에서 국내 시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반입식물 6개과, 18속, 54종 또는 품종을 선정하여 재료로 사용하였다. 반입의 형태는 계단, 복륜, 복륜붕괴, 모래복륜, 절반, 비단, 별, 엽맥, 장작, 장작복륜, 중심, 초심, 잎, 불규칙, 그물, 수박, 참외무늬 등 20종류였다. 반입의 색깔은 암록, 적, 암적, 적백, 적황, 백, 은, 은백, 황백, 황색 등이었다. 반입 면적비는 5.8%에서 100%까지 종에 따라 다양하였는데, 초심의 반입 면적비율이 98.6%로 가장 높았고, 계단무늬도 60.8%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복륜, 별, 장작무늬 등은 33.6-36.4%로 비율이 낮았고, 절반 및 엽맥 무늬도 43% 정도로 낮았다. 반입의 엽록소 함량은 일반식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엽록소 a와 b의 비율은 일반식물에 비해 b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특히 Stromanthe sanguinea 'Triostar', Dracaena fragrans 'Massangeana Compacta'의 복륜붕괴 무늬종, D. reflexa 'Song of India' 및 Tradescantia spathacea의 엽록소 b함량이 a보다 많았다.

대청호에서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엽록소 농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Fluctua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Size Fractionation of Phytoplankton in Daechung Reservoir)

  • 문종전;이상욱;황순진;오인혜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277-284
    • /
    • 2001
  • 여러 지역의 호소환경에서 picoplankton이 중요한 일차 생산자로 보고되고 있는데 대청호에서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9월부터 1999년 9월까지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엽록소 농도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200\;{\mu}m$이하의 식물플랑크톤은 대전취수탑에서 $0.7{\sim}36.9\;{\mu}g/l$, 만입부에서 $0.5{\sim}23.5\;{\mu}g/l$회남대교에서 $1.9{\sim}20.1\;{\mu}g/l$ 대청댐에서 $0.5{\sim}17.4\;{\mu}g/l$이었는데, 조사지점 4곳에서 모두 9월에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는 서서히 감소되어 $4{\sim}6$월에 최소값을 보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절에 따른 엽록소 농도의 크기별 조성비율을 보면, 연중 microplankton과 nanoplankton 조성비율은 큰 변이를 보였는데, 회남 대교를 제외한 조사지역 3곳에서 $6{\sim}10$월에는 microplankton의 비율이 높았으나 3월에는 조성비율이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사지역 4곳 모두에서 picoplankton은 연중 $2.0{\sim}24.3%$로 거의 일정하였다.

  • PDF

인공 피음처리에 따른 전나무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Shading Effect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bies holophylla)

  • 우수영;이동섭;권오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7-102
    • /
    • 1999
  •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광도에 따른 생장량과 엽록소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전나무 1-1묘목을 이용하여 광도를 피음막으로 자연광 상태(1800 $\mu$㏖ m$^{-2}$ s$^{-1}$),자연광의 75%광도, 자연광의 50%광도, 자연광의 25%광도의 4가지로 조절하였다. 이들 묘목을 각각 상주대학교 묘포장에 30 cm$\times$30 cm 간격으로 100개체씩 반복하여 식재하여 수고, 근원경 생장, 물질 생산량 및 엽록소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100%자연광을 받은 전나무가 수고, 근원경 생장, 건물질 생산량 모두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다. 전나무1-1묘목은 오히려 광도가 낮아지면 생장이 저해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엽록소 함량(a, b,총 엽록소함량)은 광도가 낮은 실험구에서 가장 좋지 않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광도가 낮아지면 엽록소함량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나무 묘목의 피음효과에 대한 생장반응은 오랜 기간을 두고 관찰해야 하며 엽록소함량, 묘목의 생장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광합성에 대한 연구도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하계정체기에 있어서 수개호소의 생태학적 비교연구 (Ecological Comparison of Several Lakes in Summer Stagnation Period)

  • 엄규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3_4호
    • /
    • pp.17-34
    • /
    • 1973
  • The physico-chemical factors,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nd the primary production of the lakes Hwajinpo, Yongrangho, Chunchonho, Uiamho, Soyangho and Changjamot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make ecological comparison among these lakes during summer stagnation period of August to September of 1973.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akes, the lake types have been discussed. Thermocline is observed at 3-4m zone in the lake Changjamot and 4-5m zone in the lake Yongrangho. In the case of lake Hwajinpo and impoundments, the distinct thermal stratification is not observed at the summer stagnation period. As to vertical distribution of dissolved oxygen, a positive heterograde curve is obtained in the lakes Hwajinpo and Yongrangho. In the lake Changjamot the typical clinograde curve and the oxygen depletion in hypolimnion are observed. In the case of impoundments, however, the orthograde curve is observed in the lakes Chunchonho and Uiamho. While in the lake Soyangho, any stratification of the disssolved oxygen is not found. In the brackish lakes, such as lakes Hwajinpo and Yongragho, the salinity of hypolimnion is found to be much higher than that of epilimnion. In the lake Hwajinpo, the salinity of hypolimnion is exhibited 32.7$\textperthousand$, which is nearly the same as sea water. The distribu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and phosphates is found to be high in the lake Changjmot. The silicate is also found in high concentration in the lake Chunchonho, and the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the brackish lakes is generally low. As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level, the lake Changjamot shows a stratum type and the brackish lakes L-type stratification. In the impoundments, lakes Chunchonho and Uiamho appear to be homogeneous type.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level in the lake Changjamot is examined from January to September 1973.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during the period of circulation from January to April is homogeneous type and is stratum type thereafter. The maximum chlorophyll level is 277.4mg/$m^2$ on June 23 and the pattern of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level is comparable to the type of eutrophy.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level is studied in the brackish lakes, Hwajinpo and Yongrangho. The pattern of distribution is found to be an irregular type. On the basis of measurements of primary production by means of the carbon-14 method and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level, it is concluded that the interior part of the lake Hwajinpo and Changjamot are eutrophic and the exterior part of the lake Hwajinpo, lake Yongrangho and the impoundments, lake Uiambo and Soyangho are mesotrophic.

  • PDF

임분내 광환경의 차이에 따른 주요 참나무 수종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Oak Tree Seedlings under Different Light Environment in Forest)

  • 권기원;최정호;송호경;강병식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20-28
    • /
    • 2003
  • 참나무류 주요 수종을 대상으로 다양한 광선 조건에 식재된 실생묘의 활착 및 상대생장량과 광선에 대하여 민감하게 작용하는 엽록소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수리나무 1-1묘, 1-0묘, 신갈나무 1-0묘, 졸참나무 1-0묘, 굴찬나무 1-0묘를 상수리나무 임분내에 상층임분 밀도를 자연광의 81%, 34%, 21% 등 3가지로 조절하였다. 조사대상 수종의 묘목을 20m x l0m 크기의 시험구에 100본씩 식재하여 활착율, 상대생장량,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였다. 상수리나무 1-1묘가 평균 73%로 다른 수i종에 비해 높은 활착율을 보였고, 상수리나무 1-0묘가 66%, 신갈나무와 졸참나무가 각각 56%, 45%였으며, 굴참나무는 41%로 이식후 활착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연광의 81% 실험구에서 대부분의 주요 참나무류 수고, 근원경 생장이 가장 좋은 경향을 보여 주고 있었으며 자연광의 21% 실험구에서는 오히려 광도가 낮아지면서 생장이 상대적으로 저해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엽록소 함령(a, b, 총엽록소 함향)은 광도가 낮아지면서 엽록소 함량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주요 참나무류 수종의 피음 효과에 대한 생장반응은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엽록소 함량과 생장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주요(主要) 성분(成分)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광질(光質) (Red, Blue)의 영향(影響) (Effect of Light Quality (Red, Blue) on the Major Components of Hot Pepper Fruit)

  • 김광수;노승문;박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2-165
    • /
    • 1979
  • 신미종(辛味種) 고추인 가락금장 2호를 공시(共試) 품종(品種)으로 하여 추숙(追熟) 시(時)에 red 광(光)을 처리(處理)하여 white 광(光)에 대(對)한 적변(赤變) 효과와 주요(主要) 성분(成分)에 미치는 광질(光質)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추숙용(追熟用) 녹숙(綠熟) 고추는 개화(開花) $30{\sim}35$일(日) 정도의 것을 사용(使用)하였고, 이때 실험(實驗)은 $25^{\circ}C$ 항온(恒溫)에서 행(行)하였으며, 약(約) $40\;{\mu}watt/cm^2{\cdot}sec$에너지 수준의 광(光) 처리(處理)를 1일(日) 12시간(時間) 하였다. 광(光) 처리(處理)에 의(依)한 chlorophyll의 감소(減少) 현상(現狀)은 blue 광하(光下)에서 뚜렷하였고, red 광구(光區)는 white 광구(光區)와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chlorophyll a와 b도 blue 광(光)에 의한 total chlorophyll의 감소(減少) 현상(現狀)과 동일(同一)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otal carotenoid는 blue 광(光) 처리구(處理區)에서 생성(生成)이 촉진되었고 (약(約) 31%), 착색도(着色度)(color score)와 chlorophyll의 영향(影響)과는 달리 대조구(對照區)인 white 광구(光區)에 비(比)하여 red 광(光) 처리구(處理區)에서 함량(含量)이 적었다. 그러나 ${\beta}-carotene$은 red 광(光)의 효과는 없었고, blue 광구(光區)에서 0.71 mg%-f.w.로 white 구(區)의 0.56 mg%-f.w.에 비(比)하여 많았다. 따라서 추숙(追熟) 시(時) 착색(着色) 효과는 blue 광하(光下)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신미(辛味) 성분(成分)(capsaicin) 역시 red 광(光)의 효과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고 다만 blue 광하(光下)에서 다소 많았다.

  • PDF

Test Strip과 Chlorophyll Meter를 이용한 오이의 신속한 영양진단 (Rapid Nutrient Diagnosis of Cucumber by Test Strip and Chlorophyll Meter)

  • 김권래;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72-279
    • /
    • 2003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시된 여러 가지 간이 영양 진단 방법들 중 test strip과 chlorophyll meter를 이용하여 오이의 영양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양액에 공급하는 N, P, K 수준을 달리하여 오이를 재배하면서 생육시기별로 specific color difference sensor value (SCDSV), 엽병의 즙액 내 $NO_3$, $PO_4$, K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양액 중 N, P, K의 농도변화에 따른 엽병 중 $NO_3$, $PO_4$, K 함량 변화가 엽 내 total-N, P, K 함량의 변화보다 더 민감하였다. Test strip을 이용하여 구한 오이 엽병 즙액 내 $NO_3$, $PO_4$, K 함량은 엽 내 total-N, P, K의 농도와 고도의 일차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여러 연구를 통해 확립된 오이의 엽 내 total-N, P, K의 적정함량을 회귀식에 대입하여 즙액 $NO_3$, $PO_4$, K의 적정함량을 계산하였다. 오이 즙액의 적정 $NO_3$, $PO_4$, K 범위는 각각 5.4-9.1, 0.2-0.5, $3.1-4.8g\;L^{-1}$였다. Chlorophyll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SCDSV는 엽 내 total-N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기존에 연구된 오이의 엽 내 total-N 함량을 회귀식에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 적정 SCDSV는 39.5-49.0이었다. 본 연구 결과 test strip과 chlorophyll meter는 오이의 신속한 영양 진단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베이지안 추정을 이용한 팔당호 유역의 계절별 클로로필a 예측 및 오염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s of Seasonal Chlorophyll-a using Bayseian Regression in Paldang Watershed)

  • 김미아;신유나;김경현;허태영;유문규;이수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32-841
    • /
    • 2013
  • In recent years, eutrophication in the Paldang Lake has become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problems in Korea as it may threaten drinking water safety and human health.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henomena and predict the time and magnitude of algal blooms for applying adequate algal reduction measures. This study performed seasonal water quality assessment and chlorophyll-a prediction using Bayseian simple/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yseian regression analysis could be a useful tool to overcom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regression analysis. Also it can consider uncertainty in prediction by using posterior distribution. Generally, chlorophyll-a of a P2(Paldang Dam 2) site showed high concentration in spring and it was similar to that of P4(Paldang Dam 4) site. For the development of Bayseian model, we performed seasonal correlation. As a result, chlorophyll-a of a P2 site had a high correlation with P5(Paldang Dam 5) site in spring (r = 0.786, p<0.05) and with P4 in winter (r = 0.843, p<0.05). Based on the DIC (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value, critical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best fitting Bayesian linear regression model were selected as a $PO_4-P$ (P2), Chlorophyll-a (P5) in spring, $NH_3-N$ (P2), Chlorophyll-a (P4), $NH_3-N$ (P4) in summer, DTP (P2), outflow (P2), TP (P3), TP (P4) fall, COD (P2), Chl-a (P4) and COD (P4) in winter. The results of chlorophyll-a prediction showed relatively high $R^2$ and low RMSE values in summer and winter.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Harmful Algal Blooms in the South Sea of Korea

  • Kim, Dae-Hyun;Denny, Widhiyanuriyawan;Min, Seung-Hwan;Lee, Dong-In;Yoon, Hong-Jo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75-486
    • /
    • 2009
  • Harmful algal blooms (HAB) caused by the dominant speci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C. polykrikoides) appear in the South Sea of Korea and are particularly present in summer and fall season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weather conditions (air temperature, cloud cover, sunshine, precipitation and wind) influence on the initia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HAB.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HAB in the Yeosu area using environmental (oceanic and meteorological) and satellite data. Chlorophyll-a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using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 (SeaWiFS) images by an Ocean Chlorophyll 4 (OC4) algorithm, and HAB were estimated using the Red tide index Chlorophyll Algorithm (RCA). We also used the surface velocity of sequential satellite images applying the Maximum Cross Correlation method to detect chlorophyll-a mo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temperature during HAB occurrences in August 2002-2008 was $19.4-30.2^{\circ}C$.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mean of cell density of C. polykrikoides, the cell density of the HAB found at low (<300 cells/ml), medium (300-1000 cells/ml), and high (>1000 cells/ml) levels were 27.01%, 37.44%, and 35.55%, respectively. Meteorological data for 2002-2008 showed that the mean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wind speed and direction, and sunshine duration were $22.39^{\circ}C$, 6.54 mm/day, 3.98 m/s (southwesterly), and 1-11.7 h, resp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HAB events in the Yeosu area can be triggered and extended by heavy precipitation and massive movement of HAB from the East China Sea. Satellite images data from July to October 2002-2006 showed that the OC4 algorithm generally estimated high chlorophyll-a concentration ($2-20\;mg/m^3$) throughout the coastal area, whereas the RCA estimated concentrations at $2-10\;mg/m^3$. The surface velocity of chlorophyll-a movement from sequential satellite images revealed the same patterns in the direc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