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2+}$ flux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42초

CaO-SiO2-Al2O3-MgO계 용접 플럭스계의 점성에 미치는 MgO의 영향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MgO on the Viscous Behavior of CaO-SiO2-Al2O3-MgO Welding Flux System)

  • 김혁;정은진;전영덕;민동준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4-120
    • /
    • 2009
  • The viscosities of $CaO-SiO_2-Al_2O_3-MgO$ flux were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of $CaO/SiO_2=1.0-1.3$ and 5-20 wt%MgO. Submerged arc welding flux with $5wt%Al_2O_3$ content had the lowest critical temperature and widest solid-liquid coexisting region at about 5 wt%MgO. It indicateds that both critical temperature and viscosity depend on the kind of primary phase of molten flux. Viscous behavior of the molten flux at 1773 K was analyzed in the view of silicate structure changed by FT-IR spectroscopy. Based on the critical temperature and the behavior of viscosity at a fixed temperature, it could be proposed that the contents of MgO and $Al_2O_3$ in SAW flux show a pronounced effect on preventing contamination in maintaining the liquid phase flux after welding process.

CaCO3를 flux로 사용시 ash와 ash의 용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CO3 Addition as a Flux on the Melting of Ash and Slag)

  • 이재구;김재호;이효진;박태준;김상돈;김종진
    • 에너지공학
    • /
    • 제4권3호
    • /
    • pp.372-378
    • /
    • 1995
  • 분류층 석탄가스 반응온도에서 slag의 배출 조건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CaCO3를 flux로 사용한 용융특성을 파악하였다. 첨가에 의한 용융온도는 flux 주입량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가하였다. 최저 용융온도의 범위는 ash중 CaO 농도기준 30-40%의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Base/Acid ratio에 따라 최소 용융온도는 ash중 무기물간의 eutetic effect가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고온에서의 slag 조성은 ash의 조성과 비교시 알카리 산화물의 휘발화와 SO2의 감소를 보여주고 있으며, salg중 환원성 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 산화물의 환원에 의해 SiO2 조성은 증가하였다. CaCO3를 혼합한 시료를 질소분위기하에서 조제하여 점도를 측정한 결과, low silica ash의 경우 낮은 점도치를 보여주나, 250 poise 이하의 범위에서 고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high silica ash에서는 CaCO3 투입에 의해 slag 점도는 감소하였는데, slag 분석 결과 CaO가 산소 제공물질(oxide doner)로 작용하여 silicate의 응집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화은을 첨가한 초전도체의 자기 속박효과 (Magnetic Pinning Effect of High Tc Superconductor)

  • 이상헌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5권4호
    • /
    • pp.209-212
    • /
    • 2006
  • The electromagnetic effect observed in a BiSrCaCuO superconductor was studied.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a $Ag_2O$ doped BiSrCaCuO superconductor and an undoped superconductor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the pinning effect. It was confirmed experimentally that a large amount of magnetic flux was trapped in the $Ag_2O$ doped BiSrCaCuO than that in the undoped one, indicating that the pinning centers of magnetic flux are related closely to the occurrence mechanism of magnetic phenomena. It was considered that by adding $Ag_2O$, the area where normal conduction takes place increases and the magnetic flux penetrating through the sample increases. It also was considered that $Ag_2O$ acts to increase pinning centers of magnetic flux.

저품위 금합금의 PbO와 CaO를 이용한 건식 정련 공정 (Pyrometallurgy Process for a Low Graded Gold Alloy with PbO and CaO)

  • 송정호;송오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08-6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저품위인 35wt% 금합금에 대해 80.0wt% 이상의 Au를 얻기 위한 건식 정련 공정을 제안하였다. Au35wt%-Ag5wt%-Cu60wt%의 조성을 가진 금합금에 대해 PbO/(PbO+CaO)의 혼합비를 각각 0~1로 변화시키고 플럭스/금합금의 무게비는 1/2로 하여 $1200^{\circ}C$-5시간의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때 공정 전, 후 시료의 조성 변화는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로 확인하고, 공정이 완료된 후 분리된 플럭스 금속 원소 성분은 time of 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rty(ToF-SIMS)로 확인하였다. EDS분석 결과 플럭스의 비율이 1(PbO 단일)인 경우 Au의 함량이 35.0wt%에서 86.7wt%로 가장 크게 향상되었고, 다른 플럭스 조성의 경우도 84wt% 이상으로 정련이 가능하였다. 또한 2/3 혼합비의 플럭스에서 Ag가 플럭스부로 빠져나가는 손실이 가장 적었다. 플럭스부의 ToF-SIMS 분석 결과 플럭스의 비율이 1, 0 일 때 $Au^+$의 특성 피크의 강도가 각각 349, 37로 측정되었다. Au의 손실을 고려하였을 때 CaO 단일 플럭스의 사용이 더 유리할 수 있었으나, 이 정도의 신호강도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혼합플럭스를 이용한 건식 열처리를 통해 효과적인 금의 정련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습식제련의 전처리 공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iPbSrCaCuO 초전도 벌크의 Magnetic Suspension (Magnetic Suspension Effect of BiPbSrCaCuO Superconducting Bulk)

  • 이상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45-551
    • /
    • 2004
  • Magnetic suspension effect has been studied by using superconductor of BiPbSrCaCuO ceramics containing Ag$_2$O. Magnetic flux measurements of a toroidal magnet revealed a concave shaped field distribution with a null field along the axis of the torus at the point where the field reversed. The suspension effect was observed only for the Ag$_2$O doped and field cooled sample which is attributed to the enhanced flux pinning due to the field cooled condition. It has been cleared that Ag$_2$O acts as pinning cente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to the magnetic suspension effect. Magnetic repulsive force which affects a superconductor located in magnetic flux from toroidal magnet has been investigated.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magnetic suspension effect aris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nning effect and the diamagnetic effect.

Flux가 첨가된 고용융 석탄슬래그에서의 결정체 형성 예측 (The prediction of crystalline formation in high-ash fusion temperature coal slags mixed CaO flux)

  • 김유나;주현주;오명숙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8-851
    • /
    • 2009
  • 석탄슬래그는 회분의 조성에 따라 고온에서 매우 상이한 슬래그 거동을 보여준다. 국내 가스화 대상탄으로 검토된 탄 중, 산성 산화물의 함량이 높아 고용융점을 갖는 7종의 석탄 회분을 가스화 조건인 고온, 환원분위기에서 점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4종의 탄에 대해서는 높은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염기성 산화물인 CaO를 3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점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flux의 혼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정체 형성을 FactSage 평형계산 프로그램과 CaO-SiO2-Al2O3 3성분계 상평형도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CaO가 첨가된 시료 모두에서 낮은 CaO 첨가비에서는 원래의 시료보다 낮은 점도를 보였으나, CaO첨가비가 20% 이상일 때는 anorthite이 형성되어 $T_{cv}$를 갖는 결정슬래그로 점도 거동이 변화하면서 실제조업 가능한 온도를 증가시켰다. 점도 측정 후 냉각된 시료의 SEM/EDX 분석을 통해 형성된 결정체를 관찰한 결과, FactSage와 상평형도에서 예측된 결정체와 유사하게 나타나 CaO-SiO2-Al2O3 3성분계 상평형도가 결정체 예측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Bi,Pb)$_2Sr_2Ca_2CuO_{10}$ 초전도체에l서 flux-pinning center로서 Bi$_{0.5}Pb_3Sr_2Ca_2CuO_{\delta}$ 및 (Ca,Sr)$_2$(BiPb)O$_4$ 상의도입 기구 (The mechanism of Bi$_{0.5}Pb_3Sr_2Ca_2CuO_{\delta}$ and (Ca,Sr)$_2$(BiPb)O$_4$ phase as a flux-pinning center in (Bi,Pb)$_2Sr_2Ca_2CuO_{10}$ superconductor)

  • 정준기;김철진;이상희;유재무;김해두;고재웅
    • 한국초전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전도학회 1999년도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Vol.IX
    • /
    • pp.300-304
    • /
    • 1999
  • To tap the feasibility of exploiting the 2$^{nd}$ phases as flux-pinning centers in the (Bi,Pb)$_2Sr_2Ca_2CuO_{10}$ superconductor, the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recipitates have been controlled by changing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oxygen partial pressure Po$_2$ and annealing condition. Various annealing heat treatments were also conducted on the as-received 61 filament Bi-2223 tapes with Bi$_{1.8}Pb_{0.4}Sr_2Ca_{2.2}Cu_3O_8$ starting composition and annealed specimen were analyzed with XRD, SEM, EDS and TEM.. The grain size of (Ca,Sr)$_2$(BiPb)O$_4$ or Bi$_{0.5}Pb_3Sr_2Ca_2CuO_{\delta}$ was controllable by optimizing the heat treatment condition and critical current density (J$_c$) showed dependence on the size of the 2$^{nd}$ phases.

  • PDF

산성강하물 조건하에서 활엽수림 생태계의 양료순환 양상 (Pattern of Nutrient Fluxes in Deciduous Forest Ecosystem Imparted by Acidic Deposition)

  • 장관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0-236
    • /
    • 2001
  • 본 연구는 일본 북해도 지방의 임해공업단지에 인접되어 있는 점소목지역 내 활엽수 천연림에서 주요 염기성 양이온에 대한 물질순환 수지를 파악하고자 강우(wet deposition), 임내우(throughfall), 수간류(stemflow) 그리고 토양침투수(soil leachate)에 대한 이온 flux를 정량화하였다. 조사 결과 강우는 평균 pH 4.3의 강한 산성우로 강우에 의한 $H^{+}$ flux는 034kmo1$_{c }$ $ha^{-1}$ /이었고, 임내우와 수간류에 의한 염기성 양이온($K{+ }$ , $Na^{+}$ , $Ca^{ 2+ }$, $Mg^{2+}$ )의 flux는 $1.6kmol_{c}$ ha$^{-1}$ 로 강우의 0.49 kmolc $ha^{-1+}$ /보다 3배 많았다. 수관충 용탈(canopy leaching)에 의한 염기성 양이온의 flux는 0.95kmo1c $ha^{H}$ 로 강우에 의한 $H^{+}$ flux보다 2.8배 높았으며, H$^{+}$는 수관층에서 치환성 양이온들에 의해서 거의 소비되었다. 토양층에서 이온배출 flux는 토양특성에 의존되었으며, 토양 중 Ca은 proton소비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생태계의 물질순환에 대한 수지에서 Na, Ca및 Mg은 생태계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양보다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는 양이 많아 생태계에 축적되고 있었으나, K의 경우는 부의 flux를 나타냈다.

  • PDF

Flux Loss and Neutron Diffraction Measurement Ag-sheathed Bi-2223 Tapes in terms of Flux Creep

  • Jang Mi-Hye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s on Electrophysics and Applications
    • /
    • 제5C권5호
    • /
    • pp.204-210
    • /
    • 2005
  • Alternating current (AC) losses of two Bi-2223 ([Bi, Pb]: Sr: Ca: Cu: O = 2:2:2:3) tapes [(Tape I, un-twist-pitch) and the other with a twist-pitch of 10 mm (Tape II)]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se samples, produced by the powder-in-(Ag) tube (PIT) method, are multi-filamentary. Also, it's produced by non-twist and different twist pitch (8, 10, 13, 30, 50 and 70 mm). The critical current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environment in liquid Nitrogen and in zero-field by 4-probe method. Susceptibility measurements were conducted while cooling in a magnetic field. Flux los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s a function of ramping rate, frequency and field direction. The AC flux loss increases as the twist-pitch of the tapes decreased, in agreement with the Norris Equation. Neutron-diffraction measurements have been carried out investigate the crystal structure, magnetic structures, and magnetic phase transitions in Bi-2223([Bi, Pb]:Sr:Ca:Cu:O)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Bi System Superconductor for Magnetic Levitation Car Maglev

  • Lee, Sang-He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102-105
    • /
    • 2007
  • Effects of $Ag_2O$ doping on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 the BiSrCaCuO superconductors.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the $Ag_2O$ doped and undoped BiSrCaCuO superconductor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the pinning centers to the magnetic effect. It was confirmed experimentally that a large amount of magnetic flux was trapped in the $Ag_2O$ doped sample than that in the undoped one, indicating that the pinning centers of magnetic flux are related closely to the occurrence of the magnetic effect. It is considered that the area where normal conduction takes place increases by adding $Ag_2O$ and the magnetic flux penetrating through the sample increa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g acts to increase the pinning centers of the magnetic flux, contribut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