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ptake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35초

Effects of ATP and ADP on iron uptake in rat heart mitochondria

  • Kim, Mi-Sun;Song, Eun-S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4호
    • /
    • pp.245-252
    • /
    • 2010
  • Iron uptake in mitochondria and fractionated mitochondria compartments was studied to understand iron transport in heart mitochondria. The inner membrane is most active in iron uptake. Mitochondrial uptake was dependent on iron concentration and the amount of mitochondria. Iron transpor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pH in the range of 6.0 to 8.0. Iron transport reached a maximum after 30 min of incubation at $37^{\circ}C$. Iron uptake was inhibited by 1 mM ATP and stimulated by 1 mM ADP. The oxidative phosphorylation inhibitor oligomycin inhibited iron uptake, but rotenone and antimycin A did not. The divalent ions $Mg^{2+}$, $Cu^{2+}$, $Mn^{2+}$, and $Zn^{2+}$ suppressed iron uptake at $10\;{\mu}M$ and stimulated it at 1 mM. The divalent ion $Ca^{2+}$ stimulated iron uptake at $10\;{\mu}M$ and suppressed it at 1 mM, competing with iron. The uptake of calcium was stimulated by 10 to $1000\;{\mu}M$ ATP, while iron uptake was stimulated reciprocally by 10 to $1000\;{\mu}M$ ADP, suggesting that these ions have movements similar to those of ATP and ADP.

Antherobacter sp.에 의한 납 제거 (Removal of Lead by Anherobacter sp.)

  • 안갑환;서근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7-61
    • /
    • 1998
  • 중금속 폐수를 처리하는 활성슬러지로 부터 Arthrobactor sp.를 부터 분리하여 생체흡착 실험에 사용하였다. Aythrobactor sp.의 납 흡착량은 초기농도 500 mg/L에서 146.9 mg Pb/g dry biomass로 Sacchuomyces ceieuslae와 Sacchuomyces uvuum보다 약 4배 더 많은 흡착량을 보여주었다. pH가 1.8, 3.0 및 4.0으로 골아 질수록 납의 홉착량은 증가하였고, biomass의 양이 많아질수록 단위 미생물당 납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Biomass에 0.1M KOH, $CaCl_2$및 NaOH로 4시간 동안 전 처리하여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KOH로 전 처리된 biomass의 납 흡착량은 1.26배 증가하였으나 NaOH로 처리한 것은 납의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Polyacrylamide에 고정화된 biomass를 반응기에 충진한 연속실험에서, 유속 2.12 $m^3/m^2/$day 에서 15시간 동안 납 제거효율이 99%이상 되었다.

  • PDF

Minimal Amount of Insulin Can Reverse Diabetic Heart Function: Sarcoplasmic Reticulum $Ca^{2+}$ Transport and Phospholamban Protein Expression

  • Kim, Hae-Won;Cho, Yong-Sun;Lee, Yun-Song;Lee, Eun-Hee;Lee, Hee-R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2호
    • /
    • pp.175-182
    • /
    • 1999
  • In the present study, the underlying mechanisms for diabetic functional derangement and insulin effect on diabetic cardiomyopathy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sarcoplasmic reticulum (SR) $Ca^{2+}-ATPase$ and phospholamban at the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levels. The maximal $Ca^{2+}$ uptake and the affinity of $Ca^{2+}-ATPase$ for $Ca^{2+}$ were decrease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cardiac SR, however, even minimal amount of insulin could reverse both parameters. Levels of both mRNA and protein of phospholamba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rat hearts, whereas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SR $Ca^{2+}-ATP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ase of phospholamban, insulin treatment reverses these parameters to normal levels. Minimal amount of insulin could reverse the protein levels; however, it could not reverse the mRNA level of SR $Ca^{2+}-ATPase$ at all. Thus, the decreased SR $Ca^{2+}$ uptake appear to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decreased SR $Ca^{2+}-ATPase$ level, which is further impaired due to the inhibition by the increased level of phospholamba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sulin is involved in the control of intracellular $Ca^{2+}$ in the cardiomyocyte through multiple target proteins via multiple mechanisms for the decrease in the mRNA for both SR $Ca^{2+}-ATPase$ and phospholamban which are unknown and needs further study.

  • PDF

筋小胞體 切片에 미치는 Caffeine의 작용에 관한 연구 (On the Possible Interaction of Caffeine with the Fragmented Sarcoplasmic Reticulum of Rabbit Skeletal Muscle)

  • Ha, Doo-Bong;Kim, Han-D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61-170
    • /
    • 1976
  • 筋小胞體의 Ca能動輸送은 caffeine에 의하여 阻害되므로 筋小胞體 切片에 대한 caffeine의 작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ffeine은 근소포체 표면에 結合하지 않거나 결합하여도 그 결합은 극히 약한 결합으로 생각된다. caffeine은 筋小胞體 표면의 遊離 SH基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caffeine에 의하여 근소포체 단백질의 표면변화가 일어나서 그 결과 Ca에 대한 輸送能이 低下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갈색해조류에 의한 카드뮴의 흡착 및 탈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Cadmium Biosorption and Desorption by Brown Marine Algae)

  • 이학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49-254
    • /
    • 1999
  • The biosorption and desorption of Cd were carried out using brown marine algae, known as the good biosorbent of heavy metals. The content of alginate bound to light metals could be changed by the physical and the chemical pretreatment of Sargassum fluitans biomass. The Cd uptake was independent of the alginate content. In case of protonated biomass, Cd uptake was the lowest because the alginic acid of biomass was dissolved to cadmium solution during the biosorption. The maximum Cd uptake of Sargassum biomass was ranged from 79 mg/g to 139 mg/g. In case of raw biomass, the higher the alginate content of biomass, the higher was the Cd uptake. 100% of Cd and light metals sorbed in the biomass were eluted at 0.1N HCI(pH 1.1). However, the elution efficiency in $CaCl_2$ and $Ca{(NO_3)}_2$solution was varied by the concentration, the solid to liquid ratio and the pH of calcium solution.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between Cd and protons in the desorption solution at pH ranged from 1.6 to 2.9 was observed on the constant stoichometric coefficient(1.3).

  • PDF

잔나비걸상버섯 원형질체(原形質體)에 의(依)한 만가닥버섯 염색체(染色體)의 섭입(攝入) (Uptake of Isolated Lyophyllum ulmarium Chromosomes by Ganoderma applanatum Protoplasts)

  • 유영복;유창현;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7-252
    • /
    • 1988
  • 야생형(野生型)인 만가닥버섯(Lyophyllum ulmarium ASI 8007)의 원형질체(原形質體)로부터 분리(分離)한 염색체(染色體)를 영양요구주(營養要求株)인 잔나비걸상버섯(Ganoderma applanatum ASI 7-18; cys met)의 원형질체내(原形質體內)에 $PEG+CaCl_2$로 섭입(攝入)하였다. 형질전환주(形質轉煥株)는 microtransgenome과 macrotransgenome type으로 전자(前者)는 느리고 불안정성(不安定性)인 균사생장(菌絲生長), 후자(後者)는 아주 빠른 안정성(安定性)인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있으며, 균사(菌絲)가 양친(兩親)보다 굵었으며 GCM+benomyl에서 균총분리(菌叢分離)가 일어났다. 이들을 전기영동으로 esterase 동위효소(同位酵素) 패턴을 조사한 결과 양친에 비하여 위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심근 수축에 있어서 Calcium 이온의 기원에 관한 약리학적 연구 (The 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Origin of Calcium ion in Myocardial Contraction)

  • 고창만;김경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7-73
    • /
    • 1994
  • Na-Ca 교환은 calcium 이온을, 세포 내외의 Na 이온 농도차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동력의 방향에 따라, 세포내로(역방향 Na-Ca 교환), 혹은 세포밖으로(정방향 Na-Ca 교환)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Na-Ca 교환은 심근 수축 운동의 조절 기전의 하나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세포내의 Na 이온 농도는 항상 세포외의 농도보다 낮으므로, 역방향 Na-Ca 교환의 존재와 아울러 이의 심근 수축에 있어서의 역할 가능성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회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흰쥐의 좌심방을 이용하여, 역방향 Na-Ca 교환의 존재 여부와 그 역할의 존재 가능성을 추구하여 보고자 하였다. 흰쥐의 좌심방은 전기장 자극(0.5msec, supramaximal voltage)으로 수축을 유발하고, 자극 빈도를 안정시 4Hz에서 0.4, 1, 8Hz로 변동시킬때 그 수축 장력에서 특징적인 역 사다리 효과(negative staircase effect)가 나타내었으나, 이때 $^{45}Ca$ 섭취는 저빈도로 갈수록, 또한 고빈도로 갈수록 증가되는 이원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자극 빈도를 4Hz 에서 0.4Hz로 변동시에는 수축 장력이 특징적인 삼단계 변환, 즉 급격히 증가하는 첫단계에 이어 급격하게 감소하는 이단계와 안정되어지는 삼단계로 나타났다. $^{45}Ca$ 섭취도 장력 변동과 같은 양상으로 처음 30초 동안에 현저하게 증가한 후 감소되었다. Na-Ca 억제 약물인 benzamil은 $10^{-5}M$에서부터 $3{\times}10^{-4}M$까지 용량에 비례하여 특히 초기의 장력증가를 봉쇄하였다. Bay K-8644$(3{\times}10^{-5}M)$ 처치는 자극 빈도 감소에 따른 수축력 증가를 현저하게 항진시켰으며, benzamil처치는 이때에도 억압을 나타내었다. Verapamil $3{\times}10^{-5}M$ 전처치시에는 4Hz 자극시의 수축 운동은 완전히 소실시켰으나, 0.4 혹은 1 Hz로 바꿈에 따라 수축 운동이 재현되었다. 이때 $^{45}Ca$ 섭취는 verapamil을 전처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현저하게 항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의 좌심방에서 자극 빈도 감소후에는, 먼저 역방향 Na-Ca 교환에 의해 calcium이온이 세포내로 유입되어 수축운동의 항진이 유발되고, 이어 Na-Ca 교환이 정방향으로 변환되어 calcium이온을 세포밖으로 유출시킴에 따라 수축 운동이 감소된다고 생각한다.

  • PDF

치주인대세포(齒周靭帶細胞)의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이성(特異性)에 대(對)한 연구(硏究)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 조성욱;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3-283
    • /
    • 1992
  •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periodontal ligament cells (PDL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 cells (GFB cells), alkaline phosphatase, a marker enzyme for osteoblast, was used to measure the activities and $^{45}CaCl_2$ isotope was used to find out cellular and release of $^{45}Ca$, a requisite for bone formation,. PDL cells and GFB cells from 1 to 5 passages were also measured i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By the use of above methods, followings were concluded that the PDL cells and the GFB cells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PDL cells showed large amount of calcium uptake and large amount of calcium release in initial stage, they seem to possess characteristics which are similar to osteoblast-like cells. 1. The PDL cells, in contrast to the gingival fibroblast, showed exceedingly high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hich was highest at the second passage, decreasing thereon. But gingival fibroblasts cells showed no distinct differences i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 the passage were elapsed. 2. For both PDL cells and GF cells, the $^{45}Ca$ uptake was greatest at 2 hours period. The PDL cells showed higher measuring than GFB cells through out the whole time period. 3. Whereas the GFB cells showed slow increase of $^{45}Ca$ release as time relapsed, the PDL cells showed rapid increase of $^{45}Ca$ release.

  • PDF

Aspergillus niger를 고정화한 Alginate Bead에 의한 납 흡착 (Lead Biosorption by Alginate Beads Immobilizing Aspergillus niger)

  • 방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85-190
    • /
    • 2001
  • 알긴산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고정화에 널리 사용되는 biopolymer이다. 본 연구는 구연산 생산균인 Aspergillus niger를 calcium alginate로 고정화한 beads로 납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A. niger beads는 $CaCl_2$를 사용하여 주사기로 제조하였으며 이 beads를 납제거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A. niger를 구연산 생성배지에서 1일에서 7일까지 배양한 후 제조한 beads로 납흡착량을 측정한 결과는 3일간 배양된 곰팡이 beads에서 가장 높았다. 발아되지 않은 beads와 3일간 배양된 beads로 시간에 따른 납흡착량을 정량한 결과 30분까지는 그 흡착량이 동일하게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발아되지 않은 beads는 더 이상 흡착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3일간 배양된 곰팡이 beads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계속 흡착하여 1시간 후에는 480 ppm까지 흡착하였다. 납흡착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6과 $35^{\circ}C$로 나타났다. 납용액 50 ml (500 ppm)이 든 250 ml 삼각플라스크에 beads $50{\sim}100$개가 최적이었으며 그 이상에서는 납흡착율이 감소하였다. 중금속에 대한 흡착율은 납> 구리> 카드뮴 순이었으며 0.1 M $CaCl_2$, 0.1 M NaOH 및 0.1 M KOH의 전처리의 효과는 없었으며 0.1 HCI로 곰팡이 bead의 납탈착하여 beads를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 PDF

음식물찌꺼기 퇴비의 시용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변화 밑 작물체내 염류의 흡수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Uptake of Salts by the Plant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Food Waste Compost)

  • 이상석;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2호
    • /
    • pp.59-67
    • /
    • 1998
  • 이 연구는 대규모의 pilot plant에서 생산된 음식물찌꺼기 퇴비의 시용에 따른 작물(열무, 상추)에 의한 염류의 흡수와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찌꺼기 퇴비(FWC)는 전기전도도(EC)가 높고 Na, K, Ca 그리고 Mg와 같은 많은 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FWC가 토양에 시용될 경우 토양의 염류집적과 작물의 생육저해 가능성을 검증하지 않으면 안된다. FWC를 건물중으로 1/5,000a pot에 0, 20, 40, 80 그리고 160Mg/ha의 비율로 시용한 후 60일 동안 작물을 재배하여 토양의 pH와 EC, 작물에 의한 염류의 흡수를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열무와 상추를 재배한 후 토양의 pH는 증가하였으며, EC는 감소하였다. 2. Na와 K의 흡수량은 FWC의 시용에 의해 약간 증가하였다. Ca의 흡수량에 있어서, 열무와 상추는 각각 감소, 증가하였다. 열무에서 Mg의 흡수량은 40Mg/ha 시용했을 때 가장 높았으며, 상추에서는 FWC의 시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