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 influx at Synaptosom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3초

Glutamate와 NMDA에 의한 Synaptosome에서의 칼슘 유입과 이들의 작용의 차이 (Glutamate-and NMDA-induced calcium influx at synaptosomes and the difference of their actions)

  • 이정수;심재건;신용규;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81
    • /
    • 1988
  • Glutamate와 aspartate는 단가 양이온과 칼슘에 대한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그러나 칼슘 유입이 voltage에 의존적인 칼슘 통로에 의하여 또는 흥분성 아미노산에 활성적인 통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더우기, 신경세포의 칼슘 유입에 미치는 흥분성 아미노산의 영향과 세포의 마그네슘에 대한 이들의 반응이 다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Synaptosome에서 포타슘에 의한 칼슘 흡수는 세포외 마그네슘에 의존적이었으나 10 mM 농도에서는 그 이하의 농도에서보다 오히려 감소하였다. 소듐이 주된 반응액에서 glutamate와 aspartate에 의한 칼슘 흡수는 마그네슘에 의하여 용량에 비의존적인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NMDA의 작용은 2 mM 이상의 마그네슘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포타슘과 glutamate에 의한 칼슘 흡수는 2,4-dinitrophenol, chorpromazine과 verapami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tetraethylammonium chloride의 영향은 받지 아니하였다. Tetrodotoxin은 효과적으로 glutamate의 작용을 억제하였으나 $K^+$의 작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NMDA의 작용은 2,4-dinitrophenol과 tetrodotoxin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verapamil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으며 tetraethylammonium chloride의 영향은 받지 아니하였다. 소듐이 주된 반응액에서 glutamate,, aspartate와 NMDA에 의한 synaptosome의 탈분극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들은 mitochondria에서 칼슘 유입에 따른 탈분극을 초래하였다. 한편, 흥분성 아미노산은 synaptosoine의 ATPase활성도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lutamate 또는 NMDA에 의한 synaptosome의 칼슘 흡수는 세포외 마그네슘에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내며 이들에 의한 칼슘 흡수는 포타슘을 제외한 소듐과 칼슘에 대한 세포막 투과성의 증가 그리고 이에 따른 탈분극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시사되있다.

  • PDF

Effect of t-butylhydroperoxide on $Na^+-dependent$ Glutamate Uptake in Rabbit Brain Synaptosome

  • Lee, Hyun-Je;Kim, Yong-Ke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4호
    • /
    • pp.367-376
    • /
    • 1997
  • The effect of an organic peroxide, t-butylhydroperoxide (t-BHP), on glutamate uptake was studied in synaptosomes prepared from cerebral cortex. t-BHP inhibited the $Na^+-dependent$ glutamate uptake with no change in the $Na^+-independent$ uptake. This effect of t-BHP was not altered by addition of $Ca^{2+}$ channel blockers (verapamil, diltiazem and nifedipine) or $PLA_2$ inhibitors (dibucaine, butacaine and quinacrine). However, the effect was prevented by iron chelators (deferoxamine and phenanthroline) and phenolic antioxidants (N,N'-diphenyl-phenylenediamine,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At low concentrations (<1.0 mM), t-BHP inhibited glutamate uptake without altering lipid peroxidation. Moreover, a large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by $ascorbate/Fe^{2+}$ was not accompanied by an inhibition of glutamate uptake. The impairment of glutamate uptake by t-BHP was not intimately related to the change in $Na^+-K+-ATPas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glutamate uptake by t-BHP is not totally mediated by peroxidation of membrane lipid, but is associated with direct interactions of glutamate transport proteins with t-BHP metabolites. The $Ca^{2+}$ influx through $Ca^{2+}$ channel or $PLA_2$ activation may not be involved in the t-BHP inhibition of glutamate transp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