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L/C_D$

검색결과 4,708건 처리시간 0.049초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FH185 on the Reduction of Adipocyte Size and Gut Microbial Changes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 Park, Sun-Young;Cho, Seong-A;Lee, Myung-Ki;Lim, Sang-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1-178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FH185 on the reduction of adipocyte size and gut microbial changes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The strain was found to have a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70.09±2.04% and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18.63±0.98%) at a concentration of 100 µg/m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rain supplementation on gut microbial changes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male C57BL/6J mice were fed on four different diets (i.e., A, normal diet (ND); B, high-fat diet (HFD); C, HFD with ABT-3 (109 CFU/day); and D, HFD with L. plantarum FH185 (109 CFU/day)) for 6 w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ecal pyrosequencing, the ratio of Firmicutes to Bacteroidetes in groups C and D was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s at the phylum level. At the family level, Lactobacillaceae in groups C and D was observed to dominate, while Lachnospiraceae in groups A and B was observed to dominate. At the genus level, Lactobacillus in groups C and D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in groups A and B.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ain supplementation on the reduction of adipocyte size, the left and right epididymal fat pads were quickly isolated after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adipocyte sizes were measured. In groups A, C and D, the percentage of 2,000 m2 of adipocyte was higher than in the other size of adipocyte, while the percentage of over 5,000 m2 of adipocyte was highest in group B. The mean adipocyte size of group D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group A, but smaller than that of group B.

양액재배 시 selenium의 첨가가 basil의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um on Storability of Basil (Ocimum basilicum) in Hydroponics)

  • 김민순;박권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87-91
    • /
    • 2001
  • 본 연구는 수경재배 바실의 MA 저장시 적정 저장 온도를 선정하고 기능성 배가를 위해 양액 내 첨가한 Se이 바실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바실은 European Vegetable R & D Center에서 개발한 허브 배양액 1배액을 사용하여 담액 순환식으로 재배하였으며, Se을 sodium selenate($Na_2SeO_4$)의 형태로 수확 3주 전 2, 4, 6, $8mg{\cdot}L^{-1}$의 농도로 양액 내 첨가하였다. 바실의 MA 저장 시 $5^{\circ}C$에서는 저온장해가 발생하여 전해질 용출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Se 처리에 의해 저장기간을 무처리구에 비해 3일간 연장시킬 수 있었다. $10^{\circ}C$ 저장 시 $5^{\circ}C$보다 생체중 감소율이 적었으며, 비타민 C 함량도 더 높았다. Se 처리는 작물 내 비타민 C 함량을 증가시키고 전해질 용출량은 감소시켰다. 작물 내 Se 함량은 Se 처리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 전 $2mg{\cdot}L^{-1}$ 처리구에서는 $67{\mu}g{\cdot}g^{-1}DM$, $8mg{\cdot}L^{-1}$ 처리구에서는 $423{\mu}g{\cdot}g^{-1}DM$을 함유하였다. 이상에서 바실의 MA 저장 시 저온장해를 줄이고 여러 가지 내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0^{\circ}C$ 저장 온도가 적합하다. 또 보다 안전하게 Se 함유 바실을 섭취하기 위한 적정 Se 처리농도는 $Na_2SeO_4\;2mg{\cdot}L^{-1}$ 이하가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복수 개의 광파장에 대한 상대적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 (Prediction of the Glucose Concentration Based on Its Optical Absorbance at Multiple Discrete Wavelengths)

  • 김기도;손근식;임성수;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16-42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복수 개의 측정 광파장 대역에서의 글루코스 수용액의 상대적인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예측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각 측정 파장에서의 상대적인 흡광도는 기준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기준하여 얻어진다. 선정된 기준 파장(1310 nm)과 네 개의 측정 파장(1064, 1550, 1685, 1798 nm) 대역에서는 글루코스에 대한 흡광도가 서로 반대의 부호를 갖도록 하였으며, 이 특성은 측정 정확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최종적인 글루코스 수용액의 예측 농도는 각 측정 파장에서 얻어진 예측 값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5 mm의 광경로와 $0{\sim}1000mg/dL$ 농도 범위에서 실제로 측정된 글루코스의 흡광도를 살펴보면, 기준 파장 1310 nm에서는 $-1.42{\times}10^{-6}\;AU$/(mg/dL), 측정 파장 1685 nm에서는 $+8.12{\times}10^{-6}\;AU$/(mg/dL)로 최대였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글루코스 용액의 농도를 예측할 경우 얻어진 표준예측오차(SEP: standard error of prediction)는 ${\sim}28\;mg/dL$였다. 또한, 온도와 지방층이 글루코스 농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26{\sim}40^{\circ}C$ 온도 범위에서 측정된 흡수량 변화율은 기준 파장 1310 nm에서 $-9.1{\times}10^{-5}\;AU/^{\circ}C$였고, 측정 파장 1550 nm에서 $-2.08{\times}10^{-2}\;AU/^{\circ}C$였다. 그리고 글루코스 수용액에 존재하는 지방층 두께에 따른 흡수량 변화율은 1685 nm 파장 대역에서 +1.093 AU/mm로 측정되었다.

Status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Levels in Smokers with Breast Cancer from Western Nepal

  • Nagamma, T.;Baxi, Jalaj;Singh, P.P.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467-9470
    • /
    • 2014
  • Background: Research indicates tha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smoking plays a role in breast cancer. In view of these reports, we aimed to study th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oxidative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from the western region of Nepal.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a control group of 42 females (non-smoking healthy women) and a test group sudivided into Group I consisting of 46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smokers and Group II consisting of 42 non-smoking breast cancer patients. Detailed history of the patients was collected with the help of pre-test proforma. Plasma levels of malondialdehyde (MDA), total antioxidant activity (TAA) which represents total dietary antioxidants, vitamin C and ${\alpha}$- tocopherol were estimated by standard method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version 16. Results: The plasma MDA, TAA, vitamin C and ${\alpha}$- tocopherol were $1{\pm}1.4nmol/ml$, $918{\pm}207{\mu}mol/L$, $1{\pm}0.24mg/dL$ and $0.94{\pm}0.31mg/dL$ in controls, $5{\pm}1.2nmol/ml$, $458{\pm}166{\mu}mol/L$, $0.64{\pm}0.32mg/dL$ and $0.5{\pm}0.3mg/dL$ in Group-I and $2.56{\pm}1.2nmol/ml$, $663{\pm}178{\mu}mol/L$, $0.78{\pm}0.2mg/dL$ and $0.77{\pm}0.2mg/dL$ in Group- II, respectively. Vitamin C, ${\alpha}$- tocopherol and TAA (p=0.001)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reas MDA (p=0.001) was significantly raised in Group-I when compared to controls and Group-II. Conclusions: We observed a significant rise in oxidative stress and low levels of antioxidants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smoking habit. It is well known that free radicals facilitate the progression of breast cancer, possibly increasing the risk of progression to the next stage.

총채벌레 천적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Natural Enemies of Thrips, Orius strigicollis (Poppius) and O. laevigatus (Fieber) (Hemiptera: Anthocoridae))

  • 김정환;김황용;변영웅;김용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1-428
    • /
    • 2008
  • 국내종인 으뜸애꽃노린재와 유럽종인 미끌애꽃노린재의 알, 약충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수명, 포식량 및 포장밀도에서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15{\sim}30^{\circ}C$에서 알 부화율은 각각 $46.7{\sim}88.2%$$65.0{\sim}89.9%$였고, 알기간은 각각 $3.1{\sim}14.9$일과 $3.1{\sim}13.5$일이었다. 두 종의 약충 발육기간은 각각 $9.4{\sim}42.8$일과 $9.3{\sim}42.0$일이었고, 약충기간 생존율은 각각 $2.4{\sim}96.5%$$4.3{\sim}80.6%$였다. 두 종의 산란수는 15,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28.1, 107.9, 123.6, 127.3, 18.1개와 101.8, 218.6, 224.5, 219.5, 15.7개였고, 성충수명은 각각 63.4, 40.1, 22.1, 18.3, 11.0일과 70.6, 66.4, 32.6, 34.5, 7.3일로 으뜸애꽃노린재에 비해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수가 많고 성충수명은 길었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온도와 일장에 의한 산란수는 $18^{\circ}C$, 16L:8D에서 각각 105.8개와 109.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1.0개와 63.0개였다. $25^{\circ}C$, 16L:8D에서 각각 142.4개와 191.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31.8개와 198.8개로 으뜸애꽃노린재는 $18^{\circ}C$, 10L:14D에서에 거의 모든 개체가 휴면하지만 미끌에꽃노린재는 휴면하지 않는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꽃노랑총채벌레 2령 하루 포식량은 각각 14.3마리와 10.9마리이다.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서 으뜸애꽃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에는 꽃당 1.8마리로 증가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3월 중순부터 증가하여 6월 상순에는 꽃당 6.6마리로 증가하는 과밀도 현상을 보였다.

$^{13}C$ 추적자를 사용한 시화호 상류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1차생산성 측정에 관한 연구 (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Size Fractionated Primary Productivity in Upper Stream of Lake Shihwa)

  • 이연정;김민섭;원은지;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39권1호통권115호
    • /
    • pp.93-99
    • /
    • 2006
  • 본 연구는 시화호 상류역의 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13}C$추적자를 이용한 현장 배양실험을 통해 각각의 1차생산성을 측정하였다. 연구정점에서 평균 엽록소 a의 농도는 약 14 ${\mu}g\;L^{-1}$로 부영양 해역의 분류기준인 10 ${\mu}g\;L^{-1}$ 보다 높은 값을 보이므로, 이 해역은 부영양화 상태라고 판단한 수 있다. 배양 후의 입자성유기탄소와 엽록소 a의 농도비는 30이하로 유기탄소의 주요 기원은 식물플랑크톤이었다. 표층에서는 총 1차생산량이 가장 크지만, 저층에서는 20 ${\mu}m$보다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1차생산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동물플랑크톤의 제거에 의한 결과로 추측된다. 이번 일구정점에서의 기초생산 속도는 93.9 mgC m^{-2}\;d^{-1}$로 1997년 배수갑문 개방 전에 측정된 평균값 (3,972 mgC m^{-2}\;d^{-1}$)의 1/40수준이었으나 1993년 물막이 공사 이전에 측정된 평균값 (3.48 mgC m^{-2}\;d^{-1}$)보다는 높았다. 20 ${\sim}$ 53 ${\mu}m$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이 1차생산에 51%의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화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들의 생장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화호에서 처음으로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1차생산성을 $^{13}C$추적자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방법은 방사성 동위원소인 $^{14}C$에 비해 안전하며, 분자준수의 생산 유기물 조성을 규명한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향후 수권 생태계 물질순환 및 에너지흐름에 관한 연구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19~59세 성인여성과 비교한 가상인체의 부위별 치수분석 (A Study on the Reality of Avatar Sizes Comparing with Body Sizes of Women Aged 19 to 59)

  • 강여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96-912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y of avatar size when it was automatically changed by different h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input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22 of 28 avatar parts created by the 3D Clo virtual fitting program, based on the h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of 2,247 woman samples from the $6^{th}$ Size Korea survey data. The 'waist back L'. and 'bishoulder L'. of the avatars were shorter than the bodies; however, the avatars' 'waist H'. and 'arm L'. were longer. Differences between the avatar and body increased in the taller groups. The body proportion of tall avatars was more distorted than small avatars. There were also some exaggerations in some circumferences. The 'bust C'. of the avatar was larger in the group with thin upper torsos; however, the 'hip C'. and 'upper arm C'. were larger in the group with thick upper torsos. The avatar torso silhouette of each somatotype was not representative of the real body silhouette as the 'hip C'. and 'bust C'. always increased together.

마디접촉조건에 따른 나사철근의 기계식 이음 특성 (Mechanical Splicing Characteristic of the Threaded Bar according to the Contact Conditions of the Transverse Rib)

  • 김정민;최성욱;김병민
    • 소성∙가공
    • /
    • 제28권3호
    • /
    • pp.145-153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cal splicing characteristic of the threaded bar according to the contact conditions of the transverse rib. In order to consider the contact conditions of the rib, selection of the main variables including the gap of the core diameter ($l_c$), rib angle (${\theta}$), and the number of contacts ($C_N$) of transverse rib was done. So as to analyze the splicing characteristic of the D51 threaded bar, a finite element (FE) simulation of the tensile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designed D51 threaded bar and coupler. Through FE simulation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mechanical slicing characteristics varied based on the main design variables ($l_c$, ${\theta}$, and $C_N$). 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it was important to determine the $C_N$ in consideration of $l_c$. Additionally, the tensile test results of the D25 and D51 threaded bar combined with the couplers were similar to FE simulation results. Furthermore, to quantitatively evaluate FE simulation and test results, the calculation equation for the contacted projection area ratio (R) of the transverse rib was proposed. To secure a mechanical splicing joint of the threaded bar, it was established that the R calculated using the proposed equation had to be greater or equal to 40%.

등줄쥐(Apodemus agrarius)의 일중휴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ily Torpor in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 윤명희;한창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18-625
    • /
    • 2006
  • 등줄쥐에서 일중휴면이 어떤 요인에 의하여 유발되는지를 알기 위하여, 온도, 먹이 및 광주기를 조절하여 등줄쥐의 체온변화를 자동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등줄쥐 암컷에서는 21개체 중 8개체가 겨울철 및 봄철 실외환경, 저온실$(4^{\circ}C)$과 절식상태$(23^{\circ}C)$에서, 등줄쥐 수컷에서는 23개체 중 2개체가 겨울철 실외환경에서 휴면을 하는 점으로부터, 일중휴면은 일부 암 수 등줄쥐에서 저온이나 먹이결핍 등 갑작스런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에너지 절약대책으로 채택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그러나 수컷에서는 번식기에는 번식 기회를 줄이지 않기 위하여 휴면을 억제하지만 암컷에서는 번식기에도 휴면을 하는 점으로부터 암 수가 서로 다른 전략으로 집단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일중휴면은 오전 6시${\sim}$낮 12시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며, 휴면시의 체온의 하강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주위온도가 가장 낮은 오전 4시${\sim}$6시경에 시작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일중휴면이 열 손실의 억제를 위한 전략임을 시사하고 있다. 휴면시 최저체온은 $16.5^{\circ}C$이었다. 광주기의 영향은 없었으며, 일정온도 하에서 항상 암기$(24D,\;4^{\circ}C)$에 두거나, 절식$(23^{\circ}C)$ 하에 광주기를 변화시켜도(16L:8D 또는 8L:16D) 서로 유사한 시각에 일중휴면이 일어나고 있어, 일중휴면 시각이 광주기에 의해서 조절되지 않으며 활동일주기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Cephalosporin C의 생변환을 위한 Trigonopsis variabilis의 D-amino Acid Oxid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D-amino Acid Oxidise from Trigonopsis variabilis for Cephalosporin C Biotransformation)

  • 이진형;정태완
    • KSBB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264-270
    • /
    • 1995
  • Trigonopsis variabilis는 버l타락탐 항생제인 cephalosporin C (ceph C)를 ${\alpha}$-keto-adipyl-7 a aminocephalosporanic acid(AKA-7 ACA)로 생변 환하는 강력한 D-amino acid oxidase 효소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 D-AAO 효소의 유전자를 추출하기 위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사용하였다. PCR 단편을 콜로닝하기 위하여 Taq D DNA polymerase, Klenow, T4 DNA polymerase I, Alkaline phosphatase Calf Intestinal와 T4 kinase 의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4가지의 방법을 샤용한 결 과, blunt - end 의 PCR fragment 를 phosphory­l lation하고 blunt -end의 pUC18 plasmid를 dephos phorylation 한 후 ligation 한 것 이 가장 좋은 클로 닝 효율을 보였다. Ceph C에 대한 D-AAO 효소의 활성은 재조합 E. coli의 세포추출액과 permea bilized cells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