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60}$

검색결과 13,880건 처리시간 0.04초

효소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의 최적 가수분해 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the Enzymatic Hydrolysis of Isolated Sesame Meal Protein)

  • 이선호;조영제;김성;안봉전;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48-253
    • /
    • 1995
  •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개선을 위한 가수분해 조건을 검토한 결과 분리된 참깨박단백질에 대한 각 효소의 최적작용조건은 papain의 경우 pH 6.0, $60^{\circ}C$,효소 대 기질의 비는 기질량에 대해 3%, 기질농도 1.5%에서 최적이었으며, pepsin은 pH 2.0, $50{\sim}60^{\circ}C$, 효소의 농도는 기질량에 대해 3%, 기질농도 1%에서 최적이었다. 그리고 trypsin은 pH 9.0, $60^{\circ}C$, 효소의 농도는 기질량에 대해 1%, 기질의 농도 1%에서 가장 높은 효소작용을 보였다.

  • PDF

알칼리 처리된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에 미치는 몇몇 첨가제의 효과 (The effects of some additives on Methane Fermentation of Paper Mill Sludge treated with Alkali)

  • 최종우;이규승;박승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4-142
    • /
    • 1995
  • 제지슬러지의 메탄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온($35^{\circ}C$)과 고온($60^{\circ}C$) 메탄발효를 실시하였으며, 발효 촉진제로 기질(ethyl acetate), $F_{430}$의 구성성분(nickel), 생육인자 및 환원제(sulfur) 등의 화합물을 첨가한 후 메탄 생성 효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1. 제지슬러지를 단순히 $60^{\circ}C$로 가열해 주어도 섬유소가 분해됨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으며, pH를 교정하기 위한 NaOH처리로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온($35^{\circ}C$)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5일), nickel sulfate(10일), nickel acetate(15일) 순 이었다. 3. 중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0.62%), ethyl acetate(0.21%), nickel acetate(2.14%), nickel sulfate(3.02%), nickel trioxide(3.34%)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5.4배까지 증가하였으며, nickel화합물에서는 acetate< sulfate< trioxide의 순으로 메탄발효를 촉진하였다. 4. 고온 메탄발효 가스중 40%의 메탄함량을 나타낸 처리구는 nickel trioxide(3일), 혼합(5일), sodium sulfide(6일), 대조구(10일)의 순이었다. 5. 고온에서의 메탄생성 효율은 대조구(9.6%), ethyl acetate(4.8%), sodium sulfide(16.5%), nickel trioxide(19.8%), 혼합(31.9%) 처리구순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최고 3.32배의 보다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으며, 중온 보다는 약 10배의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6. 중온과 고온 메탄발효후 pH는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발효조는 7.0($60^{\circ}C$, 혼합처리구)이었으나, 진행되지 못한 발효조($35^{\circ}C$, ethyl acetate)에서는 5.4로 나타났다. 7. 메탄발효폐액의 특성은 메탄발효가 잘 진행된 폐액의 COD 값이 컸으며, 전질소 함량은 낮았고, pH는 중성을 유지하였다.

  • PDF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치사온도 결정 (Determination of Heat Killing Temperatur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김기용;강경민;성병렬;김맹중;임용우;김원호;박근제;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1-24
    • /
    • 2004
  •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치사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Vernal" 품종을 시험재료로 하여 종자를 Petri dish에서 발아시켜 작은 화분에 10 개체씩 이식, 생장실에서 4주간 재배하였다. 45, 50 및 $55^{\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는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거의 식물체 손상이 없었다. 6$0^{\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는 잎이 약간 시든 듯한 현상이 있었으나 식물체의 손상은 거의 없는 상태였으며, $65^{\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60^{\circ}C$에서 처리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심한 손상은 받지 않았다. $70^{\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 알팔파는 일부에서 잎만 조금 마른 현상이 나타났으나, 치사온도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80^{\circ}C$에서 처리한 결과에서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60분 처리에서 거의 죽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7일에는 50분 처리에서 모두 죽었으며, 45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알팔파의 치사온도는 $80^{\circ}C$에서 50분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것으로 결정되었다.

Methyl Linoleate 산화중 중합체 형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Formation of Polymer in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 김인환;김철진;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6-450
    • /
    • 1996
  • Methyl linoleate의 중합체 형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산소를 주입하인서 $60^{\circ}C,\;90^{\circ}C,\;120^{\circ}C,\;150^{\circ}C$)에서 산화시켰다. 각 온도에서 시간에 따른 과산화물가의 변화 곡선을 기초로하여 각 온도에서 4가지의 산화 시간을 선정하였다. 중합체 함량 및 중합체 결합 특성은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각 온도에서 만화 시간에 따른 총 산화물 함량과 중함체 함량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든 온도에서 생성된 중합체는 이중체로 확인되었으며, $60^{\circ}C$$90^{\circ}C$에서는 C-O-O-C 결합상태인 이중체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120^{\circ}C$$150^{\circ}C$에서는 C-O-O-C결합형태를 갖는 이중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120^{\circ}C$$150^{\circ}C$에서 생성된 이중체는 C-O-C/C-C결합 형태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C-O-O-C결합 형태의 이중체는 $60^{\circ}C$보다는 $9^{\circ}C$에서 보다 쉽게 파괴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생사 품위향상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견층 Sericin과 용체 단백질의 용해거동에 관한 연구(III) (A Study on Basic Investig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Raw-Silk A Study on the Dissolving Behavior of Sericin in the Cocoon Shell and Pupa Protein (Bombyx mori L.) (Part III))

  • 임영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1-170
    • /
    • 1975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intruded in the sericin of cocoon shell and pupa by treatment of buffer solution (pH 1 to pH 13) 20 ml per 1 gram for 30 and 60 minutes at 30$^{\circ}C$, 60$^{\circ}C$ and 100${\pm}$2$^{\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quantity of total crude protein obtained from cocoon shell and pupa by treatment during 30 minutes at 30$^{\circ}C$ was dissolved as the largest quantity of 11.874 mg/g at pH 1 and l5.93mg/g at pH 13, but dissolved the smallest quantity 1.75g/g at pH 5 as known. and tile quantity of crude protein treated for 60 minutes is 13.437mg/g at pH 1 and 22.50mg/g at pH 13. Also, the smallest quantity is 2. 813mg/g at pH 5 as known. 2. By the treatment during 30 minutes at 60$^{\circ}C$, the dissolved largest quantity was 13.12mg/g at pH 1 and 21.875 mg/g at pH 13, but the smallest quantity is 2.375mg/g at pH 5 as known After treatment for 60 minutes at 60$^{\circ}C$, the dissolved largest quantity was 17.500 mg/g at pH 1 and 31.56mg/g at pH 13, bu the smallest quantity is 3.849 mg/g at pH 5. 3. The dissolved crude protein from the cocoon shell and pupa by treatment for 30 minutes at 100${\pm}$2$^{\circ}C$ was the largest quantity of 147.000mg/g at pH 1 and 398. 125mg/g at pH 13, but the smallest quantity is 75.00mg/g at pH 5 as known. After treatment for 60 minutes at 100${\pm}$2$^{\circ}C$, the largest quantity was 253.76 mg/g at pH 1 and 460.625mg/g at pH 13, but the smallest quantity is 139.375mg/g at pH 5 as known. 4. The dissolved crude protein from the cocoon shell and pupa was not different in quantity by treatment at 30$^{\circ}C$ or 60$^{\circ}C$. But dissolved crude protein was large quantity from cocoon shell more than pupa, as known. 5. The treatment of cocoon shell and pupa during 60 minutes at 100${\pm}$20$^{\circ}C$ was increased to the dissolved largest quantity of crude protein of 19.20% at pH 1 and 22. 18% at pH 13 from the cocoon shell and 6. 12% at pH, an d 23.87% at pH 13 from the pupa. But dissolved crude protein was increased to the larger quantity from pupa more than cocoon shell.

  • PDF

건조 방법에 따른 천마의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 of Gastrodiae Rhizoma by the Drying Conditions)

  • 이부용;양영민;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17
    • /
    • 2002
  • Conducing polymer 센서가 부착된 전자코를 이용하여 생천마와 동결 건조 천마, $40^{\circ}C$$60^{\circ}C$ 열풍건조 천마의 향기패턴을 측정하고, 관능 평가와 연관시켜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맛과 냄새의 관능적 특성 모두 생천마를 동결건조, $40^{\circ}C$, $60^{\circ}C$로 열풍건조 할수록 모든 관능적 특성들의 강도가 낮아졌다. 즉 생천마가 맛과 냄새에 대한 모든 관능적 특성의 강도가 가장 높았고, $60^{\circ}C$ 열풍 건조 천마에서 가장 낮았다. 천마의 향기에 대한 전자코의 감응도(intensity)는 $60^{\circ}C$ 열풍 건조 천마가 가장 높았고, 생천마에서 가장 낮았다. 32개 센서의 표준화된 감응도에 대해서 주성분 분석을 실시했을 때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의 고유값은 각각 28.93%, 21.96%를 나타내었고, 건조 방법이 각기 다른 시료 사이의 품질특성값은 모두 2미만의 값을 나타내어 건조 방법에 따른 시료사이의 향기 패턴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응도 변화가 $1.740{\sim}2.310$로 상대적으로 큰 10개의 민감한 센서만을 선택하여 주성분분석한 결과 제1주성분의 고유값은 79.39%로 높아졌고, 생천마와 $60^{\circ}C$ 열풍건조 천마 사이의 품질특성값도 2.366으로 나타나 건조방법에 따른 천마의 향기패턴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과피 압착액을 기질로 한 SCP 생산 (SCP Production from Mandarin Orange Peel Press Liquor)

  • 강신권;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56-562
    • /
    • 1989
  • The bioconversion of mandarin orange peel press liquor to single cell protein (SCP) by two yeast strains, F-60, and C-7, which were isolated from mandarin orange peel was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that of using Candida utilis IFO 0598. Experiments were directed toward the high yield of biomass and high protein in cultures of the strains mentioned above. Candida utilis IFO 0598, F-60 and C-7 strains were cultivated at 3$0^{\circ}C$, pH 5.2 for 3 days in shaking flasks. The effects of some nutrients on cell growth were studied. Cell mass and protein content per cell mass were increased by addition of urea 1%, KH$_2$PO$_4$ 0.1% and MgSO$_4$ㆍ7$H_2O$ 0.05%, When the F-60 strain cultur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cell mass, growth yield and protein content were 41.2g/l, 53.9%, 59.7%, respectively. Cell mass was also increased up to 15% by modifying the fermentation condition on the bench type 20l jar fermentor. Crude fat content (10.3%) of dried C-7 cell was higher than those of C. utilis and F-60, 4.9% and 5.6% respectively. Total protein content of the F-60 strain was 59.7% per dry weight. And we compared their amino acid compositions with that of FAO provisional pattern. In the case of the F-60 strains, amino acid contents such as lysine, leucine and isoleucin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methionine, cystine and tryptophan.

  • PDF

버즈풋 트레포일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치사온도 결정 (Determination of Heat Killing Temperature of Birdsfoot trefoil and Italian ryegrass)

  • 김기용;최영진;임용우;성병렬;이상진;양주성;한범수;김종범;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6
    • /
    • 2004
  • 버즈풋 트레포일(Lotus corniculatus L.)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trum L.) 의 치사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 "Au Dewey"와 국내 육성품종인 "화산 101호" 품종을시험재료조 하여 종자를 Petri dish에서 발아시켜 작은 화분에 10 개체씩 이식, 생장실에서 4주간 재배하였다. 45, 50 및$ 55^{\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는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거의 식물체손상이 없었다. $60^{\circ}C/60$분 처리에서는 잎이 약간 시든 듯한 현상이 있었으며, $65^{\circ}C/60$분 처리에서도 식물체의 심한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70^{\circ}C/60$분 처리에서 BFT의 일부에서 잎이 조금 마른 현상이 나타났고, IRG는 줄기 이외의 잎 부분이 거의 마른 상태가 되었지만 치사 온도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80^{\circ}C$에서 처리한 BFT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60분 처리에서 잎이 심하게 시든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6일에는 60분 처리에서 모두 죽었으며, 55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80^{\circ}C$에서 처리한 IRC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20분 이상 처리에서 거의 죽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7일에는 20분 이상의 처리에서 모두 죽었으며, 15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심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버즈풋 트레포일의 치사온도는 $80^{\circ}C/60$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치사온도는 $80^{\circ}C/20$분으로 결정되었다. 다른 연구에서 형질전환 버즈풋 트레포일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만들 경우, 형질전환체의 고온 내성을 간단하게 검정하는 방법으로 이상의 치사온도 결과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몇 가지 목본식물의 담수 재배 시 용기 내 관수량이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Quantity in Pot on Growth of Some Wood Plant by Water Flooding Culture)

  • 송천영;문자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19
  • 용기 내에 담수 재배 시 관수량 정도가 분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송(Pinus thunbergii Parl), 장수매(Chaenomeles japonica Lindl. ex Spach), 목서(Osmanthus fragrans Lour.) 등 3종에 대하여 관수량을 20, 40, 60, 80 및 100%를 처리하였다. 식물의 생존율은 해송과 장수매가 관수량 40%와 60%에서 100%이었고, 목서는 관수량 40%와 60%에서 90.0%와 93.3%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에서 해송과 장수매는 90% 이하를 보였으며, 목서는 60% 이하로 낮았다. 초장 증가율은 해송에서 관수량 60%와 40%일때 50% 이상이었고, 장수매와 목서는 90%이상으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에서는 해송, 장수매, 목서에서 각각 38.2%, 65.4%, 66.7%로 나타났다. 엽수 증가율은 관수량 60%와 40%에서 해송은 80%이상이였고, 장수매와 목서는 70%이상으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는 모두 60%이하로 낮았다. 이와 같이 모든 식물에서 용기 내 관수량이 40% 또는 60%일 때 식물의 생존율은 90% 이상이었고 초장, 초폭, 엽수 및 생체중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수량 100%는 생존율과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