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_2$ 직접흡수법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초

환경시료중의 방사성탄소 측정을 위한 $CO_2$ 직접흡수법의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CO_2$ Direct Absorp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arbon-14 in Environmental Samples)

  • 조수영;우형주;천상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37-242
    • /
    • 1998
  • 생체나 공기 등 일반 환경시료의 방사성탄소 측정을 위한 액체섬광측정기술의 최적화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일반 환경시료의 경우 $CO_2$ 직접흡수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산화탄소 흡수제 Carbosorb $E^{TM}$와 섬광용액 Permafluor $V^{TM}$기 혼합비율을 1:1로 결정하였다. 이 20 ml 혼합용액에 포화 흡수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평균 2.35 g 이며, 포집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40 분이었다 백그라운드 계수율은 1.88±0.06 cpm 이었으며, NIST 옥살산표준시료 측정결과 계측효율은 58.8±1.4 % 이었다. 이산화탄소 흡수량에 따른 계측효율을 보정하기 위하여 소광보정곡선을 구하였다. 자연준위 시료의 경우 4시간 계측시 비방사능 측정에 따른 전반적인 오차는 95 % 신뢰도상 약 7 %이었다. 이 측정방법에 대하여 2주 동안 시료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계측효율과 백그라운드 계수율의 안정성을 의심할 만한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이산화탄소 직접흡수법을 이용한 자연수의 방사성탄소동위원소분석 (Radiocarbon Analysis of water Using Direct $CO_2$ Absorption Method)

  • 고용권;배대석;김천수;김성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2호
    • /
    • pp.15-22
    • /
    • 2001
  • 방사성동위원소인 $^{14}C$(반감기 5,730년)는 삼중수소와 함께 수리지질학에서 지하수의 체류시간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14}C$ 분석을 위한 전처리 기술의 부재로 인하여 오랜 체류시간을 지닌 국내 지하수 및 수문체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뜻하였다. 그동안 $^{14}C$은 주로 벤젠합성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지만, 실험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요구되어 지하수연구에 제한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 이산화탄소의 직접흡수법을 이용한 $^{14}C$분석법이 개발되었으며, 국내 지하수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는 $^{14}C$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분석과정 및 결과의 신뢰성을 위하여 국제인정기관(CSIRO, 호주)과의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앞으로 $^{14}C$ 분석은 국내 심부지하수의 유동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uAlGeSe_4$$CuAlGeSe_4;Co^{2+}$ 결정의 광학적 특성 (Optical Properties of Undoped and Co-doped $CuAlGeSe_4;Co^{2+}$ Crystals)

  • 신동운;오석균;김미양;현승철;김화택;김용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27-233
    • /
    • 1994
  • CuAlGeSe4 및 CuAlGeSe4 ; Co2+ 결정을 고순도의 성분원소로부터 합성하고 서냉법으로 결정을 성장시켰다. 이들결정은 chalcopyrite 결정구조를 갖고 있으며 직접전이형 energy gap 구조를 갖고 286K에서 energy gap은 CuAlGeSe4 결정의 경우는 2.394eV이며 CuAlGeSe4 ; Co2+ 결정의 경우는 2.302 eV로 주어졌다. CuAlGeSe4 : Co2+ 결정에서 cobalt에 의한 불순물 광흡수 peak들은 12243, 7002, 3890 cm-1에서 나타났으며 이 peak들은 CuAlGeSe4 : Co2+ 결정의 Td symmetry site에 위치한 Co2+ ion의 energy 준위사이의 전자전이에 의한 optical absorption임을 규명했다.

  • PDF

2-Hydroxy-3-methoxy Benzaldehyde Thiosemicarbazone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그램 코발트(II)의 직접 및 유도 분광광도법에 의한 정량 (Direct and Derivativ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obalt (II) in Microgram Quantities with 2-Hydroxy-3-methoxy Benzaldehyde Thiosemicarbazone)

  • Kumar, A.Praveen;Reddy, P.Raveendra;Reddy, V.Krishna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31-338
    • /
    • 2007
  • 분석 시약으로 2-hydroxy-3-methoxy benzaldehyde thiosemicarbazone (HMBATSC)를 사용하여 코발트 (II) 정량을 위하여 빠르고 간단하고 민감한 분광광도법을 개발하였다. 액상에서 금속이온이 pH 6.0에서 HMBATSC와 갈색의 착물을 형성하였다. 이 착물은 375 nm와 390 nm에서 두 개의 최대 흡수 피크를 보였다. 375 nm에서 많은 흡 수를 보였고, 반면 390 nm에서는 분명한 흡수를 보이지 않았다. Beer's 법칙에서 Co(II)는 0.059-2.357 μg ml-1 범위를 보였다. 이 방법의 몰 흡수와 Sandall's 민감도는 각각 2.74×104 l mol-1 cm-1와 0.0024 μg cm-2 였다. 여러 가지 다른 이온들에 간섭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화학양론적으로 착체는 1:2 [Co(II)- HMBATSC] 이 였다. 이차 유도 분광광도 법에 의한 Co(II)의 정량방법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alloy steels, 비타민 B12와 생물학 시료에 있는 Co(II)의 정량에 적용하였다.

액체 엔진 플룸 복사 열전달 예측을 위한 파장별 회체가스 중합법의 좁은밴드 적용 (Spectral Weighted-Sum-of-Gray-Gases Modeling of Narrow Band for Prediction of Radiative Heat Transfer Induced from Liquid Engine Plume)

  • 고주용;김인선
    • 항공우주기술
    • /
    • 제8권1호
    • /
    • pp.17-25
    • /
    • 2009
  • 복사전달식에서 흡수 계수의 정확한 계산은 액체 엔진 저부의 단열재 설계의 입력 값으로 사용되는 플룸의 복사 열전달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가스 흡수 계수를 직접 모델링 할 수 있는 WNB 모델을 중요 인자의 선정을 위주로 설명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적 정확한 기준 값을 제공하는 SNB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인자들은 총 방사율, 좁은밴드 복사강도 및 총 복사강도이며, 결과적으로 방사율의 경우 주어진 조건에서 3.1% 이내, 총 복사 강도역시 5%이내의 계산결과를 보여 이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액체 엔진의 연소가스들의 성분비를 예측하고 이 조건에 대한 가스모델링 인자를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PDF

CIGS 박막 반응메카니즘 및 생성공정의 이해

  • 김우경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24
    • /
    • 2010
  • Chalcopyrite $Cu(In,Ga)Se_2$ (CIGS) 화합물 반도체는 고효율 박막태양전지의 광 흡수층으로 사용되는 물질 중 가장 우수한 효율 (19.9%, NREL 2008)을 보유하고 있다. CIGS는 직접천이형 에너지밴드갭 (direct bandgap)을 가지고 있고, 광흡수계수가 $1{\times}10^5\;cm^{-1}$로서 반도체 중 서 가장 흡수율이 높은 재료에 속하여 두께 $1{\sim}2\;{\mu}m$의 박막으로도 고효율의 태양전지 제조가 가능하고, 또한 장기적으로 전기광학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현재 고효율 CIGS 셀생성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CIGS 흡수층 성장공정은 "co-evaporation(동시증발법)"과 2-step 공정이라 불리는 "sputter-selenization(스퍼터-셀렌화)" 방법이다. 동시증발법은 개별원소 Cu, In, Ga, Se 들을 고진공 분위기에서 고온 ($550{\sim}600^{\circ}C$)기판위에 증착하는 방법으로 소면적에서 가장 좋은 효율(~20%)을 보이는 공정이다. 하지만, 고온, 고진공 공정조건과 대면적 증착시 온도 및 조성 불균일 등의 문제점 등으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스퍼터-셀렌화 공정은 1단계에서 스퍼터링 방식으로 CuGaIn 전구체를 증착하고, 2단계에서 고온($550{\sim}600^{\circ}C$)하에 $H_2Se$ 혹은 Se vapor와 반응시켜 CIGS를 생성한다. 일본의 Showa Shell와 Honda Soltec 등에 의해 이미 상업화 되었듯이, 저비용 대면적으로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공정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2단계에서 사용되는 $H_2Se$ 및 Se vapor의 유독성, 기상 Se과 금속전구체 간의 느린 셀렌화 반응속도, 셀렌화반응 후 생성된 CIGS 박막 두께방향으로의 Ga 불균일분포, 생성된 CIGS/Mo 계면 접착력 저하등의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야만 상업화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Tutorial에서는 CIGS 물질의 열역학 상평형과 반응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하고, 다양한 생성 공정들을 소개할 것이다.

  • PDF

대형상업건물의 열병합발전 부하조사 (A Survey on the Co-Generation Load for Large Commercial Buildings)

  • 한승호;권순우;정상원;정재혁
    • 에너지공학
    • /
    • 제7권2호
    • /
    • pp.223-230
    • /
    • 1998
  • 서울특별시 소재 대형 상업건물중 50개 에너지 다소비업체를 선정하여 에너지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건물은 병원, 호텔, 백화점/사무실 등 3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시설현황, 에너지사용량, 부하분포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여름철 냉방전력 사용량이 열부하 피크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열병합발전-흡수식 냉동기 방식으로 대체할 경우 전기부하 분포가 연간 비교적 일정하게 변환시킬 수 있어 열부하추종운전방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단일건물의 경우 연간열부하분포가 경제적 규모에 미달하여 단독으로 열병합발전 설비를 도입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어 다수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공동 열병합발전 방식이 보다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추진하기에는 전기사업법, 액화천연가스 요금체계 등과 같은 법제도의 정비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흑연로 원자흡수분광법에 의한 혈중 납분석시 매트릭스 변형제의 역할 (The role of matrix modifier for the determination of Lead (Pb) in blood by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유광식;권진기
    • 분석과학
    • /
    • 제5권4호
    • /
    • pp.349-358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흑연로 원자흡수분광법을 이용하여 혈액을 1% Triton X-100을 5배 희석시킨 다음 납 함량을 직접 측정하였다. 혈액내 방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매트릭스 변형제를 사용하여 최적의 분석 조건을 조사하였다. 매트릭스 변형제로서 1% $(NH_4)_2HPO_4$와 0.1% $PdCl_2$를 같이 사용하고 700도에서 회화시켰을 때에, 일본 비교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혈중 납 함량에 대한 정도관리용 표준시료(우혈)의 공인값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이 실험에서 얻은 표준편차는 $31{\mu}gPb/l$에서 $624{\mu}gPb/l$ 범위에서는 1% $(NH_4)_2HPO_4$ 및 1% $(NH_4)_2HPO_4$와 0.1% $PdCl_2$를 매트릭스 변형제로서 사용했을 경우 각각 2.2~6.3%, 3.1~9.1%였다.

  • PDF

도시 낙엽성 조경수종의 탄소저장 및 흡수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Deciduous Tree Species for Urban Landscape)

  • 조현길;안태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60-168
    • /
    • 2012
  • 본 연구는 직접수확법을 통해 도시 낙엽성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감 계량화에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도시조경수로 흔히 식재되는 단풍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및 은행나무이었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한 수목을 구입하여,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산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4개 수종별 생장에 따른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4~0.99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단목의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은 모두 직경생장과 더불어 증가하였고, 직경급간 그 차이도 대개 직경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동일 직경에서는 느티나무가 가장 높은 경향이었고, 다음으로 왕벚나무, 은행나무 등의 순이었다. 유도한 회귀식을 적용하면,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단목은 약 54kg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연간 7kg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는 정부나 지자체의 도시녹지 사업과 관련하여 조경수목의 탄소저감을 평가하는 공공기반기술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Nitroso-2-naphthol 침전제를 사용한 연속흐름 선농축법에 의한 코발트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Cobalt with Continuous Flow Preconcentration Using 1-Nitroso-2-naphthol as an Organic Precipitant)

  • 임갑수;박용남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44-650
    • /
    • 1999
  • 본연구에서 유기 침전제를 사용하여 수용액중의 코발트를 on-line으로 연속 침전시켜 선농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침전제로 1-nitroso-2-naphthol을 사용하여 라인내에서 직접 침전시킨 뒤 MlBK(Methyl lsobutyl Ketone)로 용해시켜 불꽃 원자흡수 분광기로 보내어 분석하였다. 최적조건을 구하고 농축배율을 연구한 결과 대개 0.5 ppm의 코발트 시료 1.0 mL를 사용하였을 때 13배의 농축율을 얻었으며 시료 처리 속도는 시간당 I0개 정도 이었다. 부피를 10.0 mL로 증가시키면 시료의 처리속도는 늦어지지만 농축비를 68배로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정확성을 알기 위해 합성된 준 표준 생체시료를 분석한 결과 4%의 상대 표준편차를 가지고 예상치에 근접하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