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aminolevulina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4초

녹두자엽에서 엽록소 및 단백질함량과 $\delta$-Aminolevulinate Dehydratase활성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 (Effects of Polyamines on Chlorophyll and Protein content, and $\delta$-Aminolevulinate Dehydratase Activity in Greening Mung Bean Cotyledons)

  • Jung-Hee H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55-270
    • /
    • 1993
  • 녹두 유식물의 자엽에서 엽록소 및 단백질 함량과 $\delta$-aminolevulinate dehydratase(ALAD)활성의 변화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olyamine은 녹화과정에서 자엽내의 엽록소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효과는 KCl에 의해서 상승되었다. 자엽내의 단백질 함량의 변화 또한 엽록소 함량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ALAD활성은 암하에서보다 광선하에서 억제되었으나, 18시간 암처리후의 광조사는 ALAD활성을 증가시켰다. Putre-scine처리에 의한 ALAD활성은 암하에서 촉진효과가 낮았으나 광선하에는 그 활성이 증가되었다. KCl은 암하에서 ALAD활성을 촉진시켰으나 광선하에서는 그 효과가 감소되었다. 또한 polyamine과 KCl의 복합처리에서는 촉진효과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에서 녹두자엽에서의 색소체발달은 polyamine과 광선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polya- mine은 색소체발달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hodocyclus gelatinosus KUP-74의 휴지균체를 이용한 ${\delta}-Aminolevulinate$의 생산 (Production of ${\delta}-Aminolevulinate$ by Using the Resting Cells of Rhodocyclus gelatinosus KUP-74)

  • 이소희;안영철;임왕진;황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27-432
    • /
    • 1994
  • 광합성세균인 Rhodocyclus gelatinosus KUP-74의 휴지균체에 의한 균체외 ${\delta}-aminolevulinate$(ALA) 생산 효율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균체외 ALA의 최대 생산치를 위하여 1 ml ALA 생산계는 1.05 mg의 휴지균체로 6시간의 배양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이 조건에서 ALA 생산의 유도물질인 levulinate나 L-glutamate 등은 균체외 ALA 생산에 있어서 비교적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ALA 생산계의 부피와 이에 적합한 균체밀도가 효과적인 ALA 생산을 위하여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휴지균체의 안정한 ALA 생산유지를 위한 수명은 휴지균체를 고정화 시키므로써 크게 연장되었다.

  • PDF

Rhodocyclus gelatinosus KUP-74의 고정화균체로부터 ${\delta}-Aminolevulinate$의 연속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delta}-Aminolevulinate$ from Immobilized Cells of Rhodocyclus gelatinosus KUP-74)

  • 이소희;김현호;윤순규;임왕진;황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1호
    • /
    • pp.1-6
    • /
    • 1995
  • Rhodocyclus gelatinosus KUP-74의 고농도 휴지균체로부터 ${\delta}-aminolevulinate$(ALA)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균체외 ALA양은 20 mg cells/ml의 균체농도까지는 농도 증가에 따른 rectangular hyperbola의 증가양식을 보였으나, 그 이상의 균체농도는 ALA 생산에 전혀 증가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20 mg cells/ml의 반응계에서, 균체외 ALA의 효과적 생산을 위한 첨가물질의 최저농도는 levulinate 4 mM과 L-glutamate 5 mM로 나타났으며, 배양 3시간후 ALA 양의 최대치를 보였다. 한편, Ca-alginate를 이용한 포괄법으로 고정화시킨 균체로부터 효과적으로 ALA를 생산하기 위한 첨가물질의 최적농도는 levulinate 6 mM과 L-glutamate 10 mM로 나타났으며, 배양 6시간째에 균체외 ALA 양의 최대치를 보였다. 또한, 이 조건 하에서 고정화균체와 고농도의 휴지균체에 의한 ALA의 연속생산성을 검토한 결과, 이들 균체에 의한 50% ALA 생산성은 각각 185시간과 100시간에서 나타났으며, 생산된 균체외 ALA의 회수를 위해서는 균체를 고정화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 PDF

δ-Aminolevulinic acid (ALA) 유도체들의 미토콘드리아 탈분극 유도에 의한 인간 섬유아세포의 세포분열 억제 (Inhibition of Proliferation of Human Fibroblast by δ-Aminolevulinic Acid (ALA) Derivatives through the Induction of Mitochondria Membrane Depolarization)

  • 전용우;한두경;이진아;조수연;장덕진
    • KSBB Journal
    • /
    • 제30권6호
    • /
    • pp.313-318
    • /
    • 2015
  • ${\delta}$-Aminolevulinic acid (ALA) is an endogenous metabolite formed in the mitochondria from succinyl-CoA and glycine, and plays a key role in the living body as an intermediate of the compound in the porphyrin biosynthesis pathway. ALA has been commonly used in photodynamic therapy for several years, because ALA is of interest as a biodegradable mediator, a growth regulator, and an effective agent used in dermatology. Here, we determined which ALA derivatives were the most effective for the inhibition of the cell proliferation and growth of human fibroblast.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treatment of ALA derivatives including ALA, ALAP (ALA phosphate salt), MAL (Methyl 5-aminolevulinate hydrochloride salt), PBGL (phophobilinogen lactam) and PBGH (phophobilinogen-HCl) could attenuate cell proliferation of human fibroblast cells. Among them, PBGH was the most effective derivative. In addition, PBGH treatment could induce mitochondrial membrane depolarization, leading to cell death of human fibrobla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tochondrial membrane depolarization induced by ALA and PBGH treatment might be responsible f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death. Taken together, our results propose the possibility that PBGH can be used as one of the effective drugs in human skin disease, psori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