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cadinen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오갈피나무의 정유성분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임순성;이연실;이설림;김종기;조선행;신국현;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8
    • /
    • 2008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stems, and roots of Acanthopanax sessiliforus growing wild in Mt. Deok-Yu was determined by GC and GC-MS spectrometric analysis with the aid of NBS, Wiley Library and RI indice searches. The major constituents identified were ${\delta}-3-carene$ (7.24%), limonene (8.10%), ${\beta}-thujene$ (17.85%), trans-bicyclic hydrocarbon (13.35%) and ${\delta}-cadinene$ (4.28%) in the leaves from one year-grown plants, tricyclene (7.21%), ${\beta}-myrcene$ (7.62%), limonene (10.23%), ${\beta}-thujene$ (15.61%) and dihydroedulan I (6.12%) in the leaves from three years-grown plants, ${\delta}-3-carene$ (4.96%), limonene (5.93%), ${\beta}-phellandrene$ (17.31%) and naphthalene (7.79%) in the stems from one year-grown plants, ${\alpha}-pinene$ (5.21%), limonene (5.12%) and ${\beta}-phellandrene$ (9.82%) in the stems from three years-grown plants, ${\alpha}-pinene$ (12.73%), ${\beta}-pinene$ (11.16%), ${\delta}-3-carene$ (6.16%) and ${\gamma}-cadinene$ (23.39%) in the roots from one year-grown plants, and ${\alpha}-pinene$ (17.25%), ${\beta}-pinene$ (9.35%), ${\delta}-3-carene$ (7.26%) and ${\gamma}-cadinene$ (17.95%) in the roots from three years-grown plants.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용매추출에 의한 휘발성 성분 (Solvent Extracted Volatile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1-355
    • /
    • 2007
  • 감귤 부위별 및 감귤 주스 가공 후 폐기되는 착즙박을 배지로 하여 재배된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사체의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감귤 분말에서 휘발성 물질은 29종류이었는데, ${\delta}-elemene$, ${\beta}-elemene$, ${\beta}-caryophyllene$, caryophyllene, ${\gamm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감귤류의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었으나 8-hydroxy-linalool, ${\beta}-selinene$, tetradecanoic acid 및 pentadecanal은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 변화한 것이었다. 이외에도 tangeretin, nobiletin, 및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버섯 균사체 분말에서 검출된 휘발성 성분들은 18종이었으며, ${\bet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버섯이나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균사체 배지로 사용한 착즙박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caryophyllene, hexadecanoic acid, decanoic acid 및 tetradecanoic acid는 기 보고된 버섯이나 균사체의 성분들이었으며, Limonene-1,2-epoxide, ethyllinoleate,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cyclohexyl ester 및 ($3{\beta}$,24S)-stigmast-5-en-3-ol (${\gamma}-sitosterol$)은 감귤이나 버섯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성분들이 검출되었다.

생강과 생강나무의 향기성분조성 비교 (Volatile Aromatic Components of Ginger(Zingiber officinalis Roscoe) Rhizomes and Japanese Spice Bush(Lindera obtusiloba BL))

  • 문형인;이재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13
    • /
    • 1997
  • 생강나무의 향기성분 조성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C상에서 생강나무는 꽃, 잎, 줄기 각각 60, 80, 83개의 peak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성분군은 생강나무의 경우는 꽃의 경우는 sabinene, $eta$-myrcene, 1-limonene, cir-3-hexanal, ${\gamma}$-terpinene,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1-borneol, $\delta$-guaiene, ledene, $\delta$-ca-dinene, elemol, 9-octadecanal, 1-(1,5diNe-4-hexenyl ) -4-mebenzene, $\alpha$-chamigrene, ${\gamma}$-selinene, $\beta$-endesmol, 1-phellandrene, 3-Me-6-(1-Me, ethyl ) -2-cyclohexen-1-one, epiglobulol의 성분이, 잎의 경우는 phellandrene, $\alpha$-terpinolene,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cis-3-hexanal, ${\gamma}$-terpinene,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1-borneol, $\delta$-guaiene, ledene, $\delta$-cadinene, olemol, 9-octadecanal, ${\gamma}$-selinene, o-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beta$-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alpha$-terpinene, ledene, 1-borneol, ${\gamma}$-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gamma}$-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delta$-guaiene, $\delta$-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beta$-endesmol, $\alpha$-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 PDF

솔잎(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용매분획별 향기성분의 조성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Pinus densiflora Sieb and Zucc according to extracting solvents and steam distillation method)

  • 강성구;강성훈;최옥자;김영환;김용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3-408
    • /
    • 1996
  • 솔잎의 향기성분을 용매분획과 수증기증류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잎을 hexane, ethyl acetate 및 ethanol로 연속적으로 추출하였을 때, 29종의 향기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주요 성분은 hydrocarbon이었다. hexane 추출에 의한 솔잎의 주요 향기성분은 ${\alpha}$-pinene, ${\beta}$-thujene, trans-caryophyllene, ${\beta}$-cubebe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솔잎을 hexane으로 추출한 잔사에 ethyl acetate를 가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을 경우 추출된 향기성분은 ${\alpha}$-cubebene, 3,6,9,12,15-petaoxanonadecan-1-ol, camphene, 순으로 높았고, 솔잎을 hexane 및 ethyl cetate로 추출한 잔사에 ethanol을 가하여 분석한 경우는 ${\beta}$-D4-tetrahydropyran, ${\gamma}$-cadinene, 3-ethyl-1,4-hexadiene, ${\alpha}$-cubebene등이 주성분이었다. 솔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44종의 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hydrocarbon류가 주성분이었다. ${\beta}$-cubebene, trans-caryophyllene, 2-hexenal, T-muurolol, ${\delta}$-cadinene 순이었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방법으로 추출 하였을 때 용매분획 추출시 보다 더 많은 성분이 검색되었고, 용매분획에 따라 추출되는 향기성분의 함량과 조성은 차이가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도 향 기성분의 조성비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황칠수액 분비 우수개체 선발 및 방향성 정유성분 조사 (Selection of the high yield capacity of Hwangchil lacquer and identification of aromatic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 안준철;김민영;김옥태;김광수;김성호;김세현;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6-131
    • /
    • 2002
  • 황칠수액 분비량을 개체 및 서식지별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차이가 있다면 이를 토대로 서식환경 및 우수개체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황칠수액 분비량을 기준으로 우수개체를 선발하고 선발 개체군을 중심으로 주요 방향성 정유성분의 동정 및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황칠나무 수액은 서식지별, 수령 및 개체별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분비량을 기준으로 우수개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개체에서의 주요 정유성분에서${\beta}-elemene,\;germacrene-D,\;{\beta}-selinene,\;{\alpha}-selinene,\;{\gamma}-cardinene,\;{\delta}-cadinene$ 등이 었으며, 그 중에서도 germacrene D가 주요 구성성분임이 확인되었다. 선발개체의 주요 정유성분의 구성비율은 서식지별 및 각 개체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가시오갈피나무의 정유성분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 임순성;이정민;박희승;조선행;신국현;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33
    • /
    • 2007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stems, and roo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growing wild in Mt. Deok-Yu was determined by GC and GC/MS spectrometric analysis with the aid of NBS, Wiley Library and RI indice searches. The major constituents identified were ${\delta}-elemene\;(23.14%),\;{\beta}-elemene\;(5.59%),\;{\gamma}-cadinene\;(5.43%),\;and\;{\alpha}-bergamotene\;(28.54%)$ in the leaves, ${\alpha}-pinene\;(11.50%),\;{\delta}-elemene\;(17.62%),\;{\alpha}-bergamotene\;(27.21%)$, and bicycloheptane derivative (6.38%) in the stems, and ${\alpha}-pinene\;(21.90%)$, and (+)-aromadendrene (3.77%) in the roots.

전통 황칠 도료 개발에 관한 연구 (II) - 황칠나무 수피 추출물 및 삼출액의 화학적 조성과 도료용 오일특성 - (Studies on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olden Varnish (Hwangchil)(II) - Chemical Composition and Coatings-oil Characteristics of the Exudates and Bark-extractives of Hwangchil-namu(Dendrogapax morbifera Lev.) -)

  • 임기표;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7-13
    • /
    • 1998
  • In order to reconstruct the traditional technology of Korean golden varnish(Hwangchil) made from the exudates of D. morbifera, this study in the second step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oil properties of the exudates for coatings and bark extractives made from the trees of D. morbifera more than 20 years old grown in Wando and Jejudo island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eason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exudates appeared to be a phytoalexin because it exudated after several days in tapping only in summer season. 2. Both the exudates and bark-extracts with acetone contained 50~60% unsaponifiables and 30~50% saponifiables 3. A major component of essential oil in bark-extractives was ${\beta}$-cubebene and reached to 60~80%, while that of exudates included only 34% ${\beta}$-cubebene and some other compounds such as ${\beta}$-cadinene of 12%, aromadendrene of 9%, ${\beta}$-selinene of 9%, CAS030021-74-0 of 10%, etc. in GC-MS spectrometer. 4. A mjor component of fatty oil fraction in bark-extractives was linoleic acid and reached to more than 60%, while the exudates had mostly other components such as terpenes and phenolics instead of fatty acids accordint to GC-MS spectrometer. 5. Iodine value of samples after oil refining had 214mg/g in the exudates and more than than 150mg/g in bark-extractives, so the latter belonged to a drying oil.. 6. Therefore, the exudates from D. morbifera for traditional Korean golden varnish seems to have beeen used to a good varnish because it has some specific compounds different from its bark-extractives or general varnishes.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Acaricidal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Ligustrum japonicum against Acaridae and Pyroglyphid Mites

  • 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197-199
    • /
    • 2015
  • Th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Ligustrum japonicum leaves was determined by GC-MS analysis. The major constituents of L. japonicum leaf oil were germacrene D (40.50%), ${\alpha}$-pinene (13.63%), (-)-${\beta}$-elemene (6.42%), ${\beta}$-caryophyllene (5.73%), and $\delta$-cadinene (5.47%).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L. japonicum oil were evaluated against acaridae and pyroglyphid mites. In the fumigant bioassay, the $LD_{50}$ values of L. japonicum oil were 16.48, 12.38, and $15.63{\mu}g/cm^3$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In the contact bioassay, the $LD_{50}$ values of L. japonicum oil were 8.02, 5.02, and $7.67{\mu}g/cm^2$ against T. putrescentiae,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삼나무 건조 중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Terpenoids의 분석 (Analysis of Terpenoids as Volatile Compound Released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Cryptomeria japonica)

  • 이수연;곽기섭;김선홍;이전제;여환명;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242-250
    • /
    • 2010
  • 본 연구는 삼나무의 건조 중 발생하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중 terpenoids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thermal extractor를 이용하였다. 기존의 건조 조건을 고려하여 $27^{\circ}C$,$60^{\circ}C$, $80^{\circ}C$, $100^{\circ}C$, $120^{\circ}C$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온도 조건이 높아질수록 VOCs와 terpenoids의 방산량이 증가하였다. 방산된 VOCs 중 terpenoids 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의 온도에 대해 87.5%, 81.6%, 83.6%, 90.1%, 97.3%로 특히$100^{\circ}C$$120^{\circ}C$에서는 90%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성분은 ${\delta}$-cadinene이었으며 이 외에도 총 32종류의 다양한 terpenoids 성분이 검출되었다. 특히 방산된 성분들은 모두 탄소 15개로 이루어진 sesquiterpene 류에 속하는 성분으로서 삼나무를 이루는 주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방산 된 sesquiterpenes 화합물의 이용을 모색하고자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평가 해 보았다. 그 결과 공시 균주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Microsporum gypseum 에 대해 모두 활성을 나타냈다. 시료의 농도가 5000 ppm일 때에는 3 균주에 대해 모두 100%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1000 ppm일 때에는 95.2%, 98.7%, 97.3%의 활성을, 100 ppm일 때에는 90.5%, 43.6%, 85.9%의 활성을 각각 보였다.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에 의한 꿀풀과 약초의 향기성분과 그 특성 (Volatile Aroma Compound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Labiatae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 송영은;구창섭;문성필;류지성;김대향;최정식;최영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0-125
    • /
    • 2002
  • 본 연구는 향기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꿀풀과의 대표적인 5종류를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소량의 시료만으로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고상 미량 추출법(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과 동시증류추출법(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 SDE)으로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종류의 꿀풀과 약초의 향기성분 구성은 linanol, limonene, citral, trans-geraniol 등의 monoterpene alcohol, monoterpene aldehyde 및 ketone 과 trans-caryophyllene, ${\delta}-cadinene$ 등의 sesquiterpene 성분들이 주로 검출되었다. 분석결과 기존의 향기성분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동시증류추출법(SDE)과 주성분에서 대부분 유사하였으나 형개의 향기성분처럼 SPME법에서 많은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고 배초향, 박하의 성분처럼 SDE법에서 검출되지 않은 일부 성분도 SPME법에서 검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PME법은 낮은 온도에서 흡착만으로 성분의 포집이 이루어지므로 추출, 농축 등의 조작에 의한 SDE법보다 이차적인 변질이 적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SPME법은 열변성이 적고 소량으로 다수의 시료를 분석할 수 있어 향신약초의 품종육종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하고 신속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