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limit$ dextri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III) -시판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III) -Commercial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96
    • /
    • 1997
  • 시판 식혜에는 설탕과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및 여러 사이즈의 말토올리고당, 한계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한계덱스트린은 0.09%, 밥알은 0.2%를 나타냈다. 1H-NMR 분석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결합 및 $\alpha$-1,6-결합이 15:1의 비율을 나타냈다. Pullulanase 처리로, 말토오스에서 글루코오스 10잔기 이상의 말토올리고당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여러 아미라아제 처리 결과, 전통식혜보다 가수분해율이 훨씬 높았다. $\alpha$-글루코시다아제와 타액 $\alpha$-아밀라아제를 공동 작용시킨 경우는 62% 가수분해되었다. 그러나, 밥알의 가수분해율이 매우 낮았다. 그래서 전통 식혜에 비해 한계덱스트린의 비피두스 인자로서의 효과는 적고, 밥알의 식이섬유 작용은 커졌다.

  • PDF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 -4보 찹쌀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 -4. Glutinous Rice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0-185
    • /
    • 1997
  • 찹쌀 20%, 엿기름 4%를 가하여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제조한 식혜는 말통스 10.1%, 한계덱스트린 7.3%, 말토트링스 1.3%, 글루코오스 0.18%, 밥알 1.75%를 나타냈다. 알코올 침전, Biogel P-2의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식혜의 한계덱스트린을 정제하여 1H-NMR 분석한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글루코시드 결합과 $\alpha$-1,6-글루코시드 결합이 5:1로 이루어졌고, pullulanase 처리한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헥사오스까지의 분포를 나타내어 멥쌀식혜에서 얻은 한계덱스트린가 구조가 같은 결과이다. 밥알의 당함량은 26.4%, 단백질 함량은 41.6%를 나타냈다. 참쌀식혜의 한계덱스트린과 밥알에 30unit/ml의 $\alpha$-아밀라아제, 글\ulcorner아밀라아제, $\alpha$-글루코시다아제, $\beta$-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킨 결과 글루코아밀라아제 외에는 일부밖에 가수분해하지 at하였다. 인체의 효소인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루코시다아제를 함께 작용시킨 결과 한계덱스트린의 가수분해율은 18%, 밥알의 가수분해율은 26%를 나타냈다.

  • PDF

열수 불용성 쌀 전분의 구조적 성질 (Structure and Properties of Hot-Water Insoluble Rice Starch)

  • 강길진;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31-634
    • /
    • 1995
  • 계통이 다른 쌀 전분(일반계 3품종, 통일계 3품종)에서 열수 불용성 전분을 분리하고 그 전분의 구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열수 불용성 전분의 아빌로오스 함량은 $2.7{\sim}6.1%$였다. 열수 불용성 전분의 사슬 분포는 ${\overline{DP}}\;55$ 이상의 부분이 $31.9{\sim}38.7%$, ${\overline{DP}}\;40{\sim}55$ 부분이 $12.3{\sim}18.0%$ 그리고 ${\overline{DP}}\;10{\sim}20$ 부분이 $48.5{\sim}50.4%$로서 각 품종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beta}$-한계 덱스트린의 분자 크기도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쌀의 열수 불용성 아밀로펙틴 분자 구조는 쌀 아밀로펙틴의 것과는 서로 달랐다. 이러한 결과는 쌀 전번의 열수 불용화는 각 품종에 따라 그 특성을 보이고, 아밀로펙틴의 분자 구조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Transglycosylation Reaction of 4-α-Glucanotransferase (MalQ) and Its Role in Glycogen Breakdown in Escherichia coli

  • Nguyen, Dang Hai Dang;Park, Sung-Hoon;Tran, Phuong Lan;Kim, Jung-Wan;Le, Quang Tri;Boos, Winfried;Park, Jong-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357-366
    • /
    • 2019
  • We first confirmed the involvement of MalQ (4-${\alpha}$-glucanotransferase) in Escherichia coli glycogen breakdown by both in vitro and in vivo assays. In vivo tests of the knock-out mutant, ${\Delta}malQ$, showed that glycogen slowly decreased after the stationary phase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indicating the involvement of MalQ in glycogen degradation. In vitro assays incubated glycogen-mimic substrate, branched cyclodextrin (maltotetraosyl-${\beta}$-CD: G4-${\beta}$-CD) and glycogen phosphorylase (GlgP)-limit dextrin with a set of variable combinations of E. coli enzymes, including GlgX (debranching enzyme), MalP (maltodextrin phosphorylase), GlgP and MalQ. In the absence of GlgP, the reaction of MalP, GlgX and MalQ on substrates produced glucose-1-P (glc-1-P) 3-fold faster than without MalQ. The results revealed that MalQ led to disproportionate G4 released from GlgP-limit dextrin to another acceptor, G4, which is phosphorylated by MalP. In contrast, in the absence of MalP, the reaction of GlgX, GlgP and MalQ resulted in a 1.6-fold increased production of glc-1-P than without MalQ.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4-branch chains of GlgP-limit dextrin are released by GlgX hydrolysis, and then MalQ transfers the resultant G4 either to another branch chain or another G4 that can immediately be phosphorylated into glc-1-P by GlgP. Thus, we propose a model of two possible MalQ-involved pathways in glycogen degradation. The operon structure of MalP-defecting enterobacteria strongly supports the involvement of MalQ and GlgP as alternative pathways in glycogen degradation.

Radish $\beta$-amylase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eta$-Amylase of Radish)

  • 우원식
    • 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22
    • /
    • 1962
  • Purified preparation of .betha.-amylase is obtained from radish root by the means of fractional precipitation with ammonium sulfate. Purified preparation saccharifies the starch, .betha.-maltose being formed. Dextrinization in the true sense does not take place. Hydrolysis ceases when approximately 50% of the theoretical yield of maltose is obtained and there remains a substance (to be .betha.-limit dextrin) which gives a blue-violet with iodine, no glucose being formed. Stability of preparation is optimal at pH 4-9 and more completely inactivated at 65.deg. in fifteen minutes. .betha.-Amylase of radish exhibits optimal activity at and near pH 5.0, which varied depending upon the buffer. Calcium and chloride ions do not effect the activities of enzyme. The results of experiments with oxidizing, alkylating and mercaptide-forming reagents which have been reported to be specific for sulfhydryl groups confirm that free sulfhydryl groups are essential to the activity of .betha.-amylase from radish.

  • PDF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Chindo Black Rice Starch)

  • 박종훈;오금순;강길진;김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41-246
    • /
    • 2000
  •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고 신선찰벼와 비교 검토하였다.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의 전분-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은 각각 523 nm, 521 nm였고, 고유점도는 각각 183 ml/g, 178 ml/g였으며, ${\beta}-amylolysis$ limit(%)는 각각 62.8%, 60.3%였다. 진도산 검정쌀은 요오드 반응과 Sepharose CL-2B의 용출패턴 결과로 찹쌀임을 알 수 있었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40{\sim}50$(획분 II), 중합도 $15{\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획분 II에 대한 획분 III의 비율(A/B 사슬비)는 진도산 검정쌀이 3.02, 신선찰벼가 2.82로 나타났다. 또한, 초장쇄 부분이 획분 I은 진도산 검정쌀이 신선찰벼의 아밀로펙틴 보다 많았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 베타-한계 덱스트린 분자량 분포는 신선찰벼와 비슷하였다.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30{\sim}45$(획분 II), 중합도 $10{\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진도산 검정쌀 전분은 polymodal 구조를 갖는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선찰벼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였다.

  • PDF

쌀보리와 겉보리 전분의 분자구조적 성질 (Structural Properties of Naked and Covered Barley Starches)

  • 최준복;이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0-85
    • /
    • 1989
  • 겉보리와 쌀보리의 전분 및 이들의 구성성분인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분자 구조적 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쌀보리의 전분 및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beta}-amylosis\;limit(%)$는 각각 56.3, 87 및 52% 이었고, 겉보리 58.6, 77.7 및 57.6%이었다. 쌀보리 아밀로펙틴의 outer chain length${\overline{OCL})$과 inner chain length ${\overline{ICL}}$을 각각 15.8 및 7.8 이었고 겉보리는 각각 17.0 및 7.8이었고, 두 chain 길이의 비는 각각 약 2.1:1 및 2.0:1이었다. 두 시료 전분 모두 pullulanase 로 debranching 한 후의 Sephadex G-75에 의한 용출곡선의 양상은 ${\overline{dp}}55$ 이상의 아밀로오스 성분을 나타내는 분획과 아밀로펙틴 성분으로 볼 수 있는 ${\overline{dp}}35-45$${\overline{dp}}10-20$의 bimodal 분포를 갖는 분획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 debranching과 동시에 ${\beta}-amylase$로 처리한 경우는 가수분해 되지 않는 ${\overline{dp}}55$ 이상의 분획성분이 $0.3{\sim}1.5%$ 존재하였다. 아울러 ${\beta}-amylase$로만 가수분해한 경우도 시료차이 없이 ${\overline{dp}}\;55$ 이상의 ${\beta}-limit\;dextrin$ 성분과 ${\overline{dp}}\;10$ 이하의 과당성분으로 분획되는 비슷한 분획양상을 보였으나 분획성분의 분자량 분포사이에는 현저한 시료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쌀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 (Relationship between Molecular Structure of Rice Amylopectin and Texture of Cooked Rice)

  • 강길진;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5-111
    • /
    • 1995
  • 밥의 식미가 다른 일반계와 통일계 쌀을 대상으로 아밀로펙틴과 그 베타-한계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특성을 조사하고 밥의 텍스쳐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쌀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는,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분포로 보아, $\overline{DP}$ 12.4의 A 사슬, $\overline{DP}$ 20.6의 짧은 B 사슬, $\overline{DP}$ 26.3의 중간 B 사슬, $\overline{DP}$ 45의 긴 B 사슬과 $\overline{DP}$ 55 이상의 초장쇄로 이루어진 polymodal이었다. 아밀로펙틴의 초장쇄는 긴 직쇄를 가진 사슬로서 아밀로펙틴의 평균 사슬길이,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정의 상관을 보이나 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성질은 일반계와 통일계 쌀 시료간 차이를 보였다. 아밀로펙틴의 A 사슬에 대한 B 사슬의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약간 높았으나 초장쇄의 분포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더 낮았다.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와의 관계에서,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사슬길이 그러고 초장쇄는 밥의 경도와 정의 상관을, 부착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밥의 식감은 아밀로펙틴의 긴 사슬이 적고 짧은 사슬이 많이 분포할 수록, 밥의 경도가 낮고 부착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가 밥의 텍스쳐와 밀접한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