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glucan$ content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62초

수확 전 염화칼슘 및 알카리환원수 처리가 느타리버섯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Treatment of $CaCl_2$ and Alkaline-Reduced Water on the Quality of Oyster Mushroom during Storage)

  • 최윤수;이경민;서건식;김민경;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55-360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foc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eharvest treatment of alkaine-reduced water (ARW) and $CaCl_2$ on the storage of oyster mushroom. ARW was prepared through electrolysis of water with $CaCl_2$ (0.1%) as salts and $CaCl_2$ (0.1%) was dissolved in deionized water. Mushrooms were harvested after two sprays of each solutions and quality factors including firmness and browning was determined during storage. The severity of browning was more greater when stored 20 days. Unlike $CaCl_2$, ARW containing 139 ug/L calcium was positive on maintaining freshness in terms of delay of firmness loss and respiration drop, keeping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such as trehalose, and inhibiting the occurrence of browning. Browning, however, seem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al stage of mushroom at harvest. Eve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e level of ${\beta}$-glucan was low in ARW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Further research including application and preparation methods of ARW is required to clarify the potential of ARW on keeping freshness of oyster mushroom through inhibiting tissue browning.

송이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를 혼합 배양한 한방추출물의 발효에 의한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 이형범;김혜자;정명수;조화은;최윤희;임규상;이기남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Oriental medicines and cereal medium and mycelia of Trich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to develop new material for pharmaceutical products and medicinal food, Methods : To evaluat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OCM extracts, we examined antioxidant activity(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ic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beta}$-glucan contents, nitric oxide production and cytotoxicity by MTT assay. Results :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fermented OCM(UF) and non-fermented OCM(UM) extracts were more than 40% UM and UF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25.67%, 23.43%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 of non-fermented extract (UME) was 12.57%, while that of fermented extract(UFE) was 7.05%. SOD like activity showed UM 85.35%, UF 76.18%, UME 58.42%, UFE 72.21%. UME, and UFE 31.43%, ${\beta}$-glucan contents of UME and UFE were more than 40%. NO productions of UME, and UFE showed a LPS dose dependent tendency. Cytotoxicity on Raw 264.7 cell showed more than 90% viability. Inhibitory effect of UFE on HT1080 cell growth was higher than UM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ushroom mycelium and OCM have physiological activities which can be used in pharmaceutical products and medicinal food.

  • PDF

상황버섯 수집균주로 기능성 우수균주 선발 및 적합 곡물배지 개발 (Selection of good bioactive strains from collected Phellinus sp. and development of suitable grain media)

  • 김정한;백일선;신복음;권희민;이용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07-112
    • /
    • 2019
  •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수집균주 8종 가운데 균사생장과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장수상황과 GMPL48007을 선발하였다. 장수상황은 폴리페놀 함량(20.5mg/g)과 환원력이 1.307로 우수하였고, GMPL48007 균주는 DPPH 라디컬 소거능이 89.4%로 우수하였다. 곡물재료별 추출수율은 통밀배지에서 장수와 GMPL이 각각 6.2%, 8.2%로 우수하였고, 베타글루칸 함량은 GMPL48007 균주를 통밀배지에서 배양시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Cultured Mycelia of Schizophyllum commune)

  • 이준우;김용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95
    • /
    • 2009
  • 자연에서 채집한 치마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Schizophyllum commune 균을 배양하여 얻은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추출한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액체배양 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다당류는 방법에 따라 $0.19{\sim}1.63%$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들 다당류의 총 당은 $48.9{\sim}72.0%$이고, 단백질은 $15.3{\sim}32.0%$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한 SC-EP 다당류의 구성 당은 glucose가 69.6%로 주를 이루고, fructose가 26.1%, 소량의 xylose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hetero 다당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산성 아미노산인 aspartic acid, glycine 및 glutamic acid 등은 각각 12.5%, 18.1% 및 15.2%, 중성아미노산인 alanine은 9.9%, 당과 단백질의 O${\beta}-glycosidic$ 결합에 관여하고 있는 threonine과 serine의 경우는 2.9% 및 2.7%로 나타났다. IR 분석결과 이들은 ${\alpha}$${\beta}$-glucan이 혼재된 다당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외여과장치로 제조한 다당류(SC-UP)의 0.5% 용액의 점도는 20 rpm 시 70 cps로 나타났다. 이상의 치마버섯 액체배양 균사체를 열수추출하여 에탄올 침전시켜 얻은 다당류는 당과 단백질이 결합된 단백다당류의 결합 형태를 이루고, 당은 2가지 이상의 당이 혼재하고 있으며, 아미노산은 산성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당류의 결합 양식은 ${\alpha}$${\beta}$-glucan이 혼재하고 있으며, 강한 점성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보리잎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Leaves from Different Varieties)

  • 석호문;김성수;홍희도;이영택;김정곤;김경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31-434
    • /
    • 1995
  • 파종시기, 재배지역 및 재배기간을 동일하게 하여 생육시킨 올보리, 수원 298호, 수원 311흐, 밀양 60호 보리 품종에 대해 출수 약 2주전에 보리잎을 채취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보리잎의 영양성분은 건물량으로 조단백 $25{\sim}29%$, 조지방 $9.3{\sim}9.9%$, 회분 $9.3{\sim}11.2%$, ${\beta}$-glucan $1.3{\sim}l.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함량은 올보리 951mg%, 수원 311호 885mg%, 밀양 60호 866mg%, 수원 298호 826mg% 이었고 무기질 함량은 K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품종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올보리 328mg%, 수원 298호 266mg%, 수원 311호 278mg%, 밀양 60호 269mg% 이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품종간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품종에서 glucose의 함량이 $5.70{\sim}8.35%$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이 fructose, sucrose, raffinose의 순이었으며 올리고 당으로서는 $GF_2$인 1-kestose가 $0.26{\sim}0.39%$ 정도 존재 한 반면 $GF_3$인 1-nystose는 $0.03{\sim}0.04%$ 정도로 그 함량이 대단히 낮았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품종간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 아미노산 마다 일정치 않았다.

  • PDF

할맥과 압맥의 칠반 및 호화특성 (Cooking and Pasting Properties of Split and Pressed Barley)

  • 이미자;이나영;김양길;김정곤;현종내;최재성;김기종;김형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30-837
    • /
    • 2009
  • 국내 시판 할맥과 압맥제품의 성분 및 취반특성을 알아보고자 보리쌀 24제품(할맥 9개, 압맥 15개)을 수집하여 단백질, $\beta$-glucan, 아밀로오스 함량, 백도, 취반 및 호화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일본산 가공 보리쌀 7제품(할맥 3개, 압맥 4개)도 구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산 할맥과 압맥제품들의 단백질, $\beta$-glucan, 아밀로오스 함량은 비슷하였으며, 일본산 제품들의 경우에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 제품의 경우 일본 제품에 비하여 단백질함량이 높고 백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으며 국내산과 일본산 모두 백도는 압맥이 할맥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단백질과 백도는 부의 상관관계(r=-0.5112, p<0.0l)를 나타내었다. 국내산 할맥제품의 흡습성은 342~436, 퍼짐성은 할맥제품이 449~608%로 높고 용출고형물은 낮아 압맥제품보다 좋은 취반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찰성보리쌀을 가공한 제품이 더 좋은 취반특성을 나타내었다. 일본산 제품의 경우에도 할맥의 퍼짐성이 431~518%로 압맥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할맥과 압맥 제품의 호화개시온도는 압맥과 할맥제품에서 비슷하였으며 찰성보리쌀을 가공한 할맥 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하여 낮은 호화개시온돈 높은 강하점도와 낮은 치반점도를 나타내었다. 일본 제품은 국내산 제품보다 낮은 호화개시온도와 높은 치반점도를 나타내었다.

홍삼 부산물이 스트레스에 대한 산란계 생체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Red Ginseng Marc on Vital Reaction in Laying Hens under Stress Task)

  • 홍준기;봉미희;박준철;문홍길;이상철;이준헌;황성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3-70
    • /
    • 2012
  • 본 연구는 홍삼박을 산란계 사료에 첨가하여 고온 환경에서의 적응과 면역 개선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진 ${\beta}$-glucan 첨가 사료를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고온 스트레스 후의 생산성 변화, 혈액생화학 조성, LPS에 대한 면역 반응 및 혈액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52주령 ISA Brown 갈색계를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NC), 시판 면역제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PC, ${\beta}$-glucan 25 ppm), 홍삼 부산물 3% 첨가구(RGM; Red Gingeng Marc)로 구분한 후, 처리당 15수(3수${\times}$5반복)로 배치하여 총 11주간 사양 실험을 2하였다. 8주차에 불쾌지수(THI; temperature humidity index)를 76($27^{\circ}C$, 60%)에서 86($34^{\circ}C$, 60%)으로 상승시키고, 24시간 동안 유지한 후 3주간 회복 시간을 가졌으며, 사양 기간이 종료된 후 LPS(Excherichia coli; SIGMA) 접종을 하였다. 8주간의 일반 사양 실험에서 홍삼박은 산란율을 증대시켰으나(P<0.05), 고온 스트레스 자극 후 혈액 생화학 및 생산성 변화에서 홍삼박의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LPS 접종 시 전체적으로 IgM 농도가 감소되지만 홍삼박 첨가구의 경우 면역제제 첨가구와 동일하게 LPS 주입 후 IgM 농도를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또한 혈액 내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한 결과, 홍삼박 첨가구와 면역제제 첨가구 모두 무첨가구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종합해 보면, 홍삼박은 산란계에서 강한 고온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일반환경에서 산란율을 증대시켜 생산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beta}$-glucan을 함유한 면역제제와 유사 패턴으로 LPS 접종에 대해 IgM 농도를 높게 유지하고, 혈액 내 항산화 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삼박은 산란계 체내 면역 조절 및 항산화 효과를 가져 산란계 건강과 생산성 증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온 스트레스자극 실험 결과는 앞으로 고온 스트레스 관련 연구에서 고온 환경 설정(불쾌지수, 자극시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arassis crispa mixtur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이재준;손혜영;최영민;조재한;민정기;오희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1-368
    • /
    • 2016
  • 본 연구는 꽃송이버섯 원물과 꽃송이버섯 8% 첨가하여 유산균으로 발효한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수분,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버섯 원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꽃송이버섯원물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총 식이섬유소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가 각각 89.21%와 95.74%를 차지하였다. 꽃송이버섯 원물의 ${\beta}$-glucan 함량은 38.03%으로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beta}$-glucan 함량 5.4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꽃송이버섯 원물에는 유리당 중 glucose와 fructose만 함유하고 있으며,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은 sucrose만을 함유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꽃송이버섯 원물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flavonoid 함량은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이 꽃송이버섯 원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DDPH radical 소거능은 꽃송이버섯 원물과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DD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냈다(p<0.05).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산균 발효 꽃송이 버섯 혼합물이 꽃송이 버섯 원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비타민 C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꽃송이버섯 원물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항산화지수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첨가하지 않는 음성대조군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은 항산화 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천연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겉귀리 및 쌀귀리 분말의 입자크기별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ed and Naked Oat Flours according to Particle Sizes)

  • 이유진;김진숙;김경미;최송이;김기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93-1301
    • /
    • 2016
  • 국내에서 육종된 겉귀리(조한)와 쌀귀리(조양)를 40, 60, 80, 100 mesh로 분쇄하여 얻은 귀리 분말의 입자크기별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베타글루칸의 함량은 겉귀리의 경우 60 mesh(4.23%), 쌀귀리는 100 mesh(4.26%)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용성 베타글루칸은 총베타글루칸의 76.99~90.80%로 대부분 차지하였다. 총 전분은 겉귀리(63.64~69.82%)가 쌀귀리(52.45~63.71%)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입자가 작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아밀로오즈는 총전분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유리아미노산은 조성에 따라 감소 및 증가 패턴의 차이를 보였으나 겉귀리와 쌀귀리 모두 입도가 클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지방산은 입도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겉귀리에 비해 쌀귀리의 함량이 높고 불포화지방산(oleic acid, linoleate)이 약 90% 이상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호화특성인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점도는 겉귀리와 쌀귀리 모두 100 mesh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점도와 치반점도는 입자크기가 큰 귀리분말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호화개시온도는 귀리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전분 소화율의 경우 입자가 큰 귀리 분말의 RS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eGI는 겉귀리(76.57~85.53)가 쌀귀리(80.40~95.73)보다 전반적으로 낮았고 입자가 클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귀리의 종류 및 입자크기에 따른 특성이 최종 가공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용도 및 가공적성에 적합한 귀리 분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화가속화 조건에서 저장 기간에 따른 귀리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Storage Duration with Accelerated Age-Conditioning of Oats)

  • 손유림;이지혜;박형호;이병원;김현주;한상익;우관식;이병규;이상철;이유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49-157
    • /
    • 2018
  • 국내 육성 귀리인 대양, 조양, 조풍을 노화가속화 조건($45^{\circ}C$, RH < 20%)에서 63일간 저장하였을 때, 귀리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변화는 아래와 같다. 1. 단백질, 지방 함량은 세 품종 모두 저장 기간 동안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2. 항산화성분 중 아베난쓰라마이드는 저장 기간 동안 함량이 유지되었지만, 비타민 E는 63일의 저장 기간 동안 대양과 조양 품종에서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조양과 조풍은 저장 후 베타글루칸 함량과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점점 증가하였지만, 대양은 원곡의 함량을 유지하였다. 4.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대양은 저장기간 동안 큰폭의 변화없이 함량을 유지한 반면, 조양과 조풍은 42일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