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Mannosidas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aurocholic Acid on Liver Lysosomal $\alpha$-D- and $\beta$D-Mannosidase Activities in Rats with Extrahepatic Cholestasis

  • Park, So-Kyung;Kim, You-Hee;Kwak, Chun-Si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98
    • /
    • 2004
  • The effects of intravenously administered of high concentration of taurocholic acid (TCA) on $\alpha$-D- and $\beta$-D-mannosidase activities in rat liver lysosomes were studied. These liver lysosomal enzymes, and serum lysosomal $\alpha$-D- and $\beta$-D-mannosidase isozymes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experimental rats with common bile duct ligation (CBDL). The liver lysosomal $\beta$-D-mannosidase activity as well as the serum lysosomal $\alpha$-D- and $\beta$-D-mannosidase isozymes activit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BDL plus TCA injec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uch as CBDL alone group. However, the liver lysosomal $\alpha$-D-mannosidase ac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BDL plus TCA injected group.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CA repress the biosynthesis of the lysosomal $\alpha$-D-mannosidase and induce the biosynthesis of the lysosomal $\beta$-D-mannosidase in the liver. And that the elevated serum lysosomal $\alpha$-D- and $\beta$-D-mannosidase isozymes activities are most likely due to increased hepatocyte membrane permeability caused by TCA mediated liver cell necrosis.

  • PDF

Effects of Extrahepatic Cholestasis on Liver and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ies in Ethanol Intoxicated Rats

  • Bae, Si-Woo;Kwak, Chun-Sik;Yoon, Chong-Gu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42
    • /
    • 2004
  • Liver and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ethanol intoxicated rats with extrahepatic cholestasis induced by common bile duct ligation (CBD) to manifest the biochemical background of alcohol drinking hazard under the hepatobiliary disease. Liver $\beta$-D-mannosidase activity and its Vmax value in CBD ligated rats with chronic ethanol intoxic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in CBD ligation alone. However, the difference of Km value on above hepatic enzyme was not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On the other hand,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y in CBD ligated rats with chronic ethanol intoxication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in CBD ligation al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synthesis of the hepatic $\beta$-D-mannosidase decreases and the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y increases in cholestasis combined with chronic ehtanol intoxication, reflecting damage of aggravated hapatocytic membrane. Accordingly, the resulting data supported the fact that alcoholic drinks were enzymologically harmful to the hepatobiliary disease.

  • PDF

미꾸라지로부터 $\beta$-Mannosidase를 생산하는 Chryseobacterium meningosepticum의 분리 (Isolation of Chryseobacterium meningosepticum Producing $\beta$-Mannosidase from a Mudfish)

  • 김현숙;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1-374
    • /
    • 2004
  • A bacterium producing the $\beta$-mannosidase was isolated from intestine of fresh fish. The isolate YB-29 has been identified as Chryseomeningosepticum on the basis on its 16S rRNA sequence, morphology and biochemical proper The $\beta$-mannosdiase activity was detected in both the culture filtrate and the cell extract of C. meningosepticum YB-29. The $\beta$-mannosidase of culture filtrate showed the maximum activity for hydrolysis of para-nitrophenyl-$\beta$-D-mannopyranoside at pH 5.0-6.0 and 55-$60^{\circ}C$. The enzyme was able to hydrolyze the oligomeric substrates such as mannobiose and mannotriose with higher activity for mannotriose than mannobiose.

Sporolactobacillus sp. M201 균주에 의한 $\beta$-Mannanase와 $\beta$-Mannosidase의 생산 (Production of $\beta$-Mannanase and $\beta$-Mannosidase from Sporolactobacillus sp. M201.)

  • 박원식;김화영;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2-237
    • /
    • 1998
  • ${eta}$-Mannan polymer 분해 효소를 다랑 생산하는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균의 형태적 내지는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Sporolactobacillus sp. M201로 동정하였다. Sporolactobacillus sp. M20l 분리균은 locust bean gum을 탄소원으로 사용, 배양했을 때 세포외 ${eta}$-mannanase그리고 세포내 ${eta}$-mannosidase와 ${alpha}$-galactosidase을 다량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효소 생산 최적 배지와 최적 배양 조건은 ${eta}$-mannanase 생산에는 2.0% locust bean gum, 0.5% peptone, 0.2% KH$_2$PO$_4$, 80 mg/l MgSO$_4$ 및 8 mg/l ZnSO$_4$ 배지 (pH 6.0)와 37$^{\circ}C$이었고 그리고 ${eta}$-mannosidase 생산은 질소원으로 peptone 대신 0.5% yeast extract를 첨가한 상기 배지(pH 5.0)와 3$0^{\circ}C$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았다. 이상의 각 효소의 최적 생산 조건에서 각각 30시간과 24시간 진탕배양 했을때 ${eta}$-mannanase(10.6 units/ml)와 ${eta}$-mannosidase(1.35 units/ml)의 최고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 PDF

Paenibacillus woosongensis의 만난분해 효소활성 (Mannanolytic Enzyme Activity of Paenibacillus woosongensis)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7-400
    • /
    • 2010
  • 만난의 분해활성을 갖는 Paenibacillus woosongensis의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mannanase, ${\beta}$-mannosidase와 ${\alpha}$-galactosidase 활성이 관찰되었다. 배양상등액 내의 locust bean gum를 분해하는 mannanase는 pH 5.5와 $60^{\circ}C$, para-nitrophenyl-${\beta}$-D-mannopyranoside를 분해하는 ${\beta}$-mannosidase는 pH 6.5, $50^{\circ}C$, para-nitrophenyl-${\alpha}$-D-galactopyranoside를 분해하는 ${\alpha}$-galactosidase는 pH 6.0-6.5와 $50^{\circ}C$에서 각각 최대활성을 보였다. 배양상등액의 만난 분해효소는 mannotriose, mannotetraose, mannopentaose, mannohexaose와 같은 만노올리고당을 분해할 뿐 아니라 mannobiose도 분해하였다. 또한 melibiose, raffinose, stachyose 등의 ${\alpha}$-1,6 결합형 galacto-oligosaccharides를 분해하여 galactose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P.woosongensis는 galactomannan을 완전히 분해하는데 필요한 3종류 효소를 모두 생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Exo-O-Glycosylhydrolases in Korea Ginseng Roots

  • Yelena V.Sundukova;Lee, Mi-Ja;Park, H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89-93
    • /
    • 2000
  • 6년생 고려인삼근(panax ginseng C.A. Meyer)중 수종의 exo-O-glycosylhydrolase 활성을 중심부와 주피부로 나누어 생육시기별로 조사하였다. $\alpha$-D-galactosidase, $\beta$-D-galactosidase, $\alpha$-L-man-nosidase , N-acetyl-$\beta$-D-giucosarninidase, $\alpha$-D-galactosidase, $\alpha$-L-arabinosidase와 $\beta$-D-fucosidase는 중심부와 주피부에서 모두 활성이 있으나 $\beta$-L-mannosidase, $\alpha$-D-xylosidase, $\beta$-D-xylosidase, $\alpha$-D-rhamnosidase와 $\beta$-D-glucosidase의 효소활성은 검색되지 않았다. $\beta$-D-galactosidase의 활성은 연중 높게 유지되었고 $\alpha$-L-mannosidase의 활성도 높은 경향이었다. 인삼근중 탄수화물 대사효소의 활성은 생육시기와 환경조건 및 부위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β-Xylosidase and β-mannosidase in combination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altered microbial profiles in weanling pigs fed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 Liu, Shaoshuai;Ma, Chang;Liu, Ling;Ning, Dong;Liu, Yajing;Dong, B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734-1744
    • /
    • 2019
  • Objective: In this study, two glycosidases (XMosidases), ${\beta}$-xylosidase and ${\beta}$-mannosidase, were investigated on their in vitro hydrolysis activities of feed and on the improvement of growth performance in vivo in weanling pigs. Methods: Enzyme activities of XMosidases in vitro were evaluated in test tubes and simulation of gastric and small intestinal digestion,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NSPase. In vivo study was performed in 108 weaned piglets in a 28-d treatment. Pigs were allott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with six replicate pens in each treatment. The three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i) Control (basal diet); ii) CE (basal diets+CE); iii) CE-Xmosidases (basal diets+ CE+${\beta}$-xylosidase at 800 U/kg and ${\beta}$-mannosidase at 40 U/kg). CE was complex enzymes (amylase, protease, xylanase, and mannanase). Results: In vitro XMosidases displayed significant activities on hydrolysis of corn and soybean meal in the presence of non-starch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s (xylanase and ${\beta}$-mannanase). In vitro simulation of gastric and small intestinal digestion by XMosidases showed XMosidases achieved $67.89%{\pm}0.22%$ of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63.12%{\pm}0.21%$ of energy digestibility at $40^{\circ}C$ for 5 hrs. In weanling pigs, additional XMosidases to CE in feed improved average daily gain, feed conversion rate (p<0.05),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p = 0.01) and dry matter (p = 0.02). XMosidases also altered the gut bacterial diversity and composition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beneficial bacteria. Conclusion: Addition of a complex enzyme supplementation (contained xylanase, ${\beta}$-mannanase, protease and amylase), XMosidases (${\beta}$-xylosidase and ${\beta}$-mannosidase) can further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on of young pigs.

돼지 동결정액의 배양에 따른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변화

  • 황인선;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25-25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L-fucosidase, $\alpha$-D-mannosidase, $\beta$-D-galactosidase 및 N-acetyl-$\beta$-D-glucosaminidase ($\beta$-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융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beta$-GlcNAc'ase의 activity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alpha$-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정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침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beta$-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 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beta$-GlcNAc'ase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alpha$-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beta$-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돼지 동결정액의 배양에 따른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변화 (Changes of Glycosidase Activity and Fertilizing Ability in Vitro by Incubation of Frozen-Thawed Spermatozoa in the Pig)

  • 황인선;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1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를 평가하기 위하여 chlortetracycfine fluorescence분석법을 이용하여, glycosidase가 체외수정능력과 정자침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L-fucosidase, $\alpha$-D-mannosidase, $\beta$-D-galactosidase 및 N-acetyl-$\beta$-D-glucosaminidase ($\beta$-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응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beta$-GlcNAc'ase의 activity 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alpha$-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 $\beta$-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beta$-GlcNAc'ase 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alpha$-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본 연구의 결과, $\beta$-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황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Antivir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Ephedra sinica Stapf)

  • 이도승;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5-739
    • /
    • 2014
  • Newcastle disease virus(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BHK) 세포에서 syncytium(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HN)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과 3.2 u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DV 감염된 HAD(%)는 25 ug/mL 농도에서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용식물인 마황 메탄올 추출물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였다. 또한 마황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_{50}$$18{\mu}g/mL$이었으며, ${\beta}$-glucosidase, ${\alpha}$-mannosidase, ${\beta}$-mannosidase에 대한 마황 추출물의 $IC_{50}$은 각각 60, 40, $150{\mu}g/mL$로 나타나 ${\beta}$-type glycosidases 보다 ${\alpha}$-type glycosidase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_{50}$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