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terpineol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The Effect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Chinese-Style Pork Jerky

  • Chen, W.S.;Liu, D.C.;Chen, M.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427-43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effect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Chinese-style pork jerky. The pork jerky was roasted by far-infrared grill at $150^{\circ}C$ or $200^{\circ}C$ for 5 min. The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using a Likens-Nickerson apparatus coupled to a gas chromatograph and a mass spectrometer enabled us to identify 21 volatile compoun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olatile compounds coming from pork jerky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ir possible origins. The first group of volatile compounds derived from oxidation of lipid included hexanal, ethylbenzene, nonanal, benzaldehyde, 2,4-decadienal, 1-octen-3-ol, octadecanal, and 9-octadecenal. The second group of volatile compounds generated from degradation of natural spices included 1,8-cinene, 4-terpineol, ${\alpha}$-terpineol, e-anethole, methyl-eugenol, panisaldehyde, elemol, eugenol, methyl-isoeugenol and myristicin.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between 2 different roasted temperatures at levels for all volatile compounds.

Cloning of Four Genes Involved in Limonene Hydroxylation from Enterobacter cowanii 6L

  • Yang, Eun-Ju;Park, Yeon-Jin;Chang, Hae-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7호
    • /
    • pp.1169-1176
    • /
    • 2007
  • Genes encoding proteins responsible for limonene catabolism were cloned from a limonene-degrading microorganism, Enterobacter cowanii 6L, which was isolated from citron (Citrus junos) peel. The 8.6, 4.7, and 7.7 kb fragments (CD3, CD4, and CD6) of E. cowanii 6L chromosomal DNA that confer to E. coli the ability to grow on limonene have been cloned and their corresponding DNA sequences were determined. Nine open reading frames (ORFs) were identified, and the four ORFs (921 bp of CD3-2; 1,515 bp of CD4-1; 1,776 bp of CD6-1; and 1,356 bp of CD6-2) that encode limonene hydroxylase were confirmed by independently expressing these genes in E. coli. FAD and NADH were found to stimulate the hydroxylation reaction if added to cell extracts from E. coli recombinants, and multiple compounds (linalool, dihydrolinalool, perillyl alcohol, (${\alpha}-terpineol$, and ${\gamma}-terpineol$) were the principal products observe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solate E. cowanii 6L has a broad metabolic capability including utilization of limonene. This broad metabolic ability was confirmed by identifying four novel limonene hydroxylase functional ORFs in E. cowanii 6L.

야생 초피(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잎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Wil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 Leaf)

  • 박준희;차원섭;오상룡;조영제;이원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3-489
    • /
    • 2000
  • 경상북도 상주시 청화산 일대에서 채집한 야생 초피잎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것과 blanching한 후 건조한 것을 분쇄하여 기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잎을 자연 건조한 것에서는 55개의 peak가 확인되었으며 blanching한 후 건조한 시료에서는 35개의 peak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연 건조한 시료 중에서 검출된 55 개의 물질들 중에는 hydrocarbon 계통의 물질들이 decane, dodecane, sabinene, myrcene등을 비롯한 23개의 물질이 확인되었고 alcohol 계통의 물질들은 isobutylal-cohol, cis-pentenol, 1-penten-3-ol등 10개의 물질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aldehyde로는 3-methylbutanal, hexanal. 2,6-dimethyl hept-5-al등 7개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ketone 화합물은 3-hydroxy-2-butanone. 2-nonanone, 2-undecanone, 2-tridecanone이 확인되었다. cis-3-hexenyl acetate, linalyl acetate, citronellyl acetate, neryl acetate 등 6개의 ester류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기타 물질로 3-cyano-2,5-dimethylpyrazine, dimethyl sulfide, chloroform, 1,8 cineole, dill ether 등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초피의 생잎을 blanching한 후 건조하여 전처리를 거쳐 휘발성 물질을 확인한 결과 35개의 peak를 확인하였는데 그중 hydrocarbon 계통의 물질들이 20개나 확인되었다. 그 내용으로는 1,1'-oxybis-ethane, $\alpha$-pinene, camphene, myrcene, $\beta$-phellandrene. $\beta$-caryophyllene 등이다. 그리고 alcohol 류로는 L-lin-alool, (-)-isopulgerol. $\alpha$-terpineol. citronellol이며 aldehyde류로는 nonanal, citronellal이다. ketone 화합물은 2-undecanone, 2-tridecanone등이며 그리고 ester류로는 citronellyl acetate, cis-3-hexenyl acetate, neryl acetate 등이다. 기타물질로서는 3-cyano-2,5-dimethylpyrazine. chloroform 등이다. 그리고 $\alpha$-pinene, myrcene, $\beta$-phellandrene. L-linalool, citronellal, citronellyl acetate, $\beta$-caryophy-llene이 다른 휘발성 물질보다 비교적 많은 양으로 검출되었다.

  • PDF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이용한 녹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Green Tea(Camellia sinensis L. var. Yabukita) by Purge and Trap Headspace Sampler)

  • 이재곤;권영주;장희진;곽재진;김옥찬;최영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0
    • /
    • 1997
  •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사용하여 녹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 확인한 후 성분조성을 동시증류추출장치로 추출된 성분가 비교하였다. Headspace법으로는 88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methyl butanal(3.1%), 1-penten-3-ol(5.48%), 2-penten-1-ol(2.89%), hexanal(5.77%), heptanal(2.24%) 등의 비교적 비점이 낮은 성분들과 2,4-heptadienal(4.28%), linalool(2.27%), nonanal(2.06%), 2,6-dimethyl cyclohexanol(2.57%) 및 $\alpha$-pinene(1.52%), caryophyllene(1.70%) 등의 hydrocarbon 화합물, $\beta$-cyclocitral(2.0%), $\alpha$-ionone(2.62%), $\beta$-ionone(2.98%) 같은 carbonyl 화합물이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으로는 64개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저비점 성분들보다는 benzyl alcohol(3.79%), linalool(9.52%), terpineol(2.16%), geraniol(2.75%), nerolidol(6.50%) 등의 alcohol 성분들과 $\alpha$-ionone(1.77%), $\beta$-ionone(4.80%), geranyl acetone(1.82%) 등의 ketone 화합물, hexanoic acid(1.45%), nonanoic acid(1.11%) 등의 acid 화합물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감잎의 성장시기별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Flavor Compounds in Persimmon Leaves(Diospyros kaki folium) during Growth)

  • 김종국;강우원;김귀영;문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72-478
    • /
    • 2001
  • 감잎의 성장시기별 일반성분과 감잎차의 주요한 품질 특성인 향기성분을 연속수증기증류추출법(SDE) 으로 추출하여 GC-MS에 의하여 분리 동정하여 감잎차를 제조하기 위한 감잎의 최적 채취시기를 조사하였다. 감잎에서의 향기성분은 alcohol류 23종, aldehyde류 18종, ester류 4종, acid류 15종, hydrocarbon류 37종. ketone류 14종, phenol류 6종 및 기타 9종 등 126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감잎의 주요 향기성분 중 alcohol류는 linalool. cis-3-hexanal, 1-$\alpha$-terpineol, 3,7,11,15-tetramethyl-2-hexadecen-1-ol이며. aldehyde류는 trans-2-hexanal, nonanal. 2-decenal이며 acid류는 hexanoic acid, nonanoic acid, palmitic acid이며, hydrocarbon류는 1.1-dimethylethyl cyclohexane, 1-methyl-4- [ (2 methylpropyl) ] -benzene이며, ketone류는 2-hydroxy-3-propyl-2-cyclopenten-1-one이며, phenol류는 2.6is(1,1-dimethylethyl)-4-methyl phenol이었다. 감잎의 향기성분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그 종류 및 상대적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6월 중순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7월 초순에는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은 향기성분과 병행하여 조사한 결과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6월 20일 이후에는 감소하였는데 감잎차의 제조를 위한 채취시기는 유용성분과 향기성분의 상대적인 함량이 높은 6월 중순경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 및 인도네시아산 식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 김무성;이동철;홍종언;장이섭;조홍연;권용관;김희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49-958
    • /
    • 2000
  • 국내 식물 150종과 인도네시아 식물 82종의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각 시료의 70% ethanol 추출물을 사용하여, 세균류인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및 효모인 Candida albicans, 사상균인 Aspergillus niger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검색 결과, 국내산 17종과 인도네시아산 18종이 비교적 항균활성이 좋았으며, 이중 강황, 소목, 육두구, 익지인, 죽엽, 초두구 등과 asam, bolong-bolong, clove, gambir, klembak, pasak bumi 등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가장 항균력이 우수한 육두구(Myristica fragrans)와 bolong-bolong(Melaleuca leucadendra)의 주 활성 분획을 분석한 결과, 육두구의 주 항균성분은 limonene과 caprylic acid로, Bolong-bolong의 주 항균성분은 ${\alpha}-terpineol$로 나타났다.

  • PDF

페이스트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수직배양법 연구 (Process Development of Aligning Carbon Nanotube from the Paste)

  • 이재걸;문주호;이동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67-472
    • /
    • 2002
  • 다이아몬드 연마 필름(diamond lapping film)으로 긴 탄소나노튜브를 절단하고 이를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으로 관찰했다. 절단된 탄소나노튜브를 ${\alpha}$-terpineol을 용매로 ethyl cellulose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한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과 주사 사출법으로 유리 기판에 도포하였다. 스크린 프린팅으로 인쇄된 선에 존재하는 절단된 탄소나노튜브를 기판에 대해 수직 배향을 시키기 위하여 사포, 다이아몬드 연마 필름을 사용하여 마찰시키거나 접착성이 있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촉시켰다가 분리 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SEM으로 탄소나노튜브의 배향 특성을 관찰한 결과 주사 사출법과 스크린 프린팅 후 다이아몬드 연마 필름을 사용하여 후처리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의 우수한 수직배양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녹차음료 PET제품의 고온저장중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Beverage PET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 이경훤;라임정;조혁준;여명재;김승배;박지용;김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8-104
    • /
    • 2009
  • 본 연구는 $60^{\circ}C$ 고온저장 조건에서 4주 동안 PET 포장된 녹차음료의 품질 변화 특성과 품질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PET 포장용기의 산소투과성 및 cap의 밀봉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고온저장 조건에서 MXD6 blend PET는 가스 차단성이 우수하였으며 4주 동안 TEN cap의 removal torque 변화도 적게 나타났다. 4주 동안 고온저장 중 녹차음료의 pH, 색도 및 비타민 C 및 카테킨 함량은 유의적으로 변화하였고 카페인과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고온저장 중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Hexanol, linalool, menthol 및 ${\alpha}$-terpineol 4종의 alcohol류 향기성분은 고온저장 3주차까지 급격한 함량 증가를 보였고 d-limonene은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떫은맛과 향, 전체적인 맛은 기호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 황경아;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8-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차의 계승과 새로운 식품의 개발하고자 생강나무의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재차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은 덖음차 81종, 찐후덖음차 78종, 자연건조차 88종, 발효차 86종, 찐차 72종 및 인공건조차 89종의 분리할 수 있었다. 생강나무 잎차의 향기성분은 $\beta-piepne$을 비롯한 hydrocarbone류가 45종이 동정되었으며,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이 분포되었다. Alcohol류는 L-linalool, n-octanoal, phenyl acetaldehyde, $(-)-\alpha-terpineol$, elemol, cholest-5-en-3-ol, 등 16종, 2-nitro-2(3-hydroxybuthyl) -clododexanone, 3-(3-butenyl)-2,3-epoxy-cyclohexanone, 2-ethyl-2-propyl- cyclo-hexanone 등 11종의 ketone류가, phenyl acetaldehyde, tetradecanal, 10-undecanal, 4-Bromo-2- methylbutanal 등 8종의 aldehyde류가 동정되었다. 또한 ester류는 methyl 9, 12, 15-octadecatrienate, didodecyl phthalate, 1,2-benzenediccar-baboxy acid-bis(2-ethylhexyl) ester 3종류가 동정되었고, 또한 phenol류는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이 동정되었다.

살구의 휘발성 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방법의 영향 (Influence of Isolation Method on the Composition of Apricot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Flavor)

  • 김영회;곽재진;권영주;양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48
    • /
    • 1990
  • 살구의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 방법의 영향을 조사코저 살구 과육(pH 3.1)을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법, headspace trapping법 또는 이를 pH 7.0으로 중화시킨 후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의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확인된 80종의 성분들 중 pH3.1에서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중에는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에서는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미량으로 검출된 n-hexanal, trans-2-hexenal, cis-3-hexen-1-ol, linalool oxide, linalool, ${\alpha}-terpineol$, nerol, geraniol, benzyl alcohol, ${\beta}-phenylethyl alcohol$ 및 naphthale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살구에서 비휘발성인 glycoside 형태로 존재하는 위와 같은 성분들이 산성조건하에서 수증기 증류시 glycoside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휘발성 성분으로 유리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