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 and ${\beta}$-pinen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8초

우리나라 소나무속(屬)의 Monoterpene 조성(組成)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onoterpene Composition of the Subgenus Diploxylon of the Genus Pinus in Korea)

  • 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60-169
    • /
    • 1976
  • 한국산(韓國産) Pinus속(屬)의 Diploxylon아속(亞屬)의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 대(對)한 류별(類別)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GLC에 의(依)한 monoterpene 조성(組成)을 분석(分析)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의 monoterpene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 terpinolene 외(外)에 2개의 미지(未知)의 조성분(組成分)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의 주요(主要) monoterpene조성(組成)은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terpinolene 이다. 중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beta}$-phellandrene, ${\alpha}$-plnene, terpinolene 이다. 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limonene 이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서 모두 monoterpene 조성분(組成分)은 개체간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중곰솔은 monoterpene 조성(組成)에 있어서 소나무와 곰솔의 중간에 해당되었다. 소나무와 곰솔을 구별(區別)하는 가장 좋은 분류적기준(分類的基準)이 되는 monoterpene의 주성분(組成分)은 ${\alpha}$-pinene, ${\beta}$-pinene, myrcene이었고 소나무는 ${\alpha}$-pinene이 ${\beta}$-pinene보다 항상 많았고 중곰솔을 그 반대(反對)였다. 안면도와 치악산(産) 소나무의 산지별(産地別) 차이(差異)에서는 ${\alpha}$-pinene에서 유이성(有異性)이 보였으나 이는 개체 사이의 변이(變異)가 큰 것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소나무와 잣나무의 잎과 수지에 함유된 정유 성분 (Essential Oil Components of Leaves and Resins from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송홍근;김재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3호
    • /
    • pp.59-67
    • /
    • 1994
  • The essential oils of leaves and resins from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components. After each retention times of 45 known terpenoids were dertermined with a fixed analytical condition by GC the essential oil compounds of leaves and resin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ir retention times with the retention times of known standards. To confirm these results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leaves from P. koraiensis were analized by 2 different GC/MS. According to these results, 36 terpenoids in essential oils of leaves from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were identified and 15 terpenoids and 22 terpenoids were identified from P. koraiensis resin and P. densiflora resin,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s which are more than 2% of total amaunt of volatile components were as follows: 1. The major terpenoids of leaves from red pine.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D-limo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terpinolene, ${\alpha}$-terpineol. 2. The major terpenoids of leaves from korean pine. ${\alpha}$-pinene, camphene, myrcene, D-limonene, 3-carene, terpinolene, bor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alpha}$-terpineol, borneol, ${\delta}$-cardinene. 3. The major terpenoids of resin from red pine. ${\alpha}$-pinene, ${\beta}$-pinene, myrc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linalyl acetate. 4. The major terpenoids of resin from korean pine. ${\alpha}$-pinene, ${\beta}$-pinene, D-limonene, ${\beta}$-caryophyllene, phytol.

  • PDF

물쑥 및 파드득 나물의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rtemisia selengensis and Cryptotaenia japonica)

  • 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4
    • /
    • 1987
  • 우리나라의 야생산채류중 물쑥과 파드득나물의 휘발성 성분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해서 GC와 GC-MS조합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물쑥에서는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myrcene, limonene, ${\alpha}-terpinene$ 및 caryophllene의 7가지 성분이, 파드득나물에서는${\alpha}-pinene$${\beta}-pinene$의 두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파드득나물의 나머지 성분은 elemene, caryophyllene 및 humulene으로 추정된다.

  • PDF

해송의 Monoterpene 조성과 솔잎혹파리 내충성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Monoterpene Composition in the Oleoresin of Pinus thunbergii Parl. and the Resistance to Pine Gall Midge)

  • 김종완;김정석;유장발;김종수;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81-87
    • /
    • 1977
  • 잎혹파리 내충성 및 피해 해송의 1년생 가지, 신초 및 침엽중 monoterpene조성을 GLC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착생 방위별 (남, 북) 1년생 가지 및 신초의 monoterpene조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일년생 가지의 주요 moneterpenes는 ${\alpha}-pinene,\;{\beta}-pinene$,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 및 terpinolene였다. 3. 신초및 침엽중 monoterpene조성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Delta}^3-carene$,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 terpinolene외에 확인되지 않은 고비점 terpenoids로 구성되었다. 4. limonene의 조성은 피해목보다 선발목에 더 많았다. 5. ${\beta}-pinene$의 조성은 선발목보다 피해목에 더 많았다. 6. 선발목과 피해목을 limonene과 ${\beta}-pinene$의 조성의 차이로 고찰하였다.

  • PDF

신기능성 물질 탐색을 위한 침엽수잎의 특수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I) - 펙틴, 탄닌, 테르페노이드의 분석 - (Studies on the Analysis of Special Components of Major Pine Needles for Searching of the New Functional Substances (I) - Analysis of Pectin, Tannin and Terpenoids -)

  • 황병호;이현종;강하영;유순희;조재현;조국란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34-142
    • /
    • 1997
  • 주요 소나무류잎의 특수성분을 분석하여 시판되고 있는 솔잎 가공식품의 기초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임산화학 분야의 학문적 기초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펙틴은 잣나무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탄닌은 잣나무가 높게 분석되었고, 소나무와 해송은 유사하였다. 테르페노이드 성분중 ${\alpha}$-pinene은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beta}$-pinene은 리기다와 해송에서 높게 분석되었으며, 희귀성분으로는 잣나무에서 sabinene과 citronellol, 리기다에서는 ${\alpha}$-pinene oxide 등이 분석되었다. 특히 소나무잎에 다량 존재하는 성분은 ${\alpha}$-pinene, ${\beta}$-caryophyllene, ${\beta}$-phellandrene, ${\Delta}^3$-carene, phytol 등 이었다. 향기성분의 주체인 ${\alpha}$-pinene, limonene, bornylacetate들이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보다 많이 분석된 것으로 보아 삼림욕의 신선하고 상쾌한 내음의 주체성분이라고 생각된다.

  • PDF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잎의 정유성분 변이 (Variation of Volatile Composition in the Leaf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 조민구;장진성;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2-166
    • /
    • 2002
  • 산초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주요성분은 hexanal, (E)-2-hexenal, ${\alpha}-pinene$, myrcene,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linalool, citronellal, estragole 이었으며, 특히 estragole은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초피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hexanal, (Z)-3-hexenol, n-hexanol, ${\alph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었으며, 이중 (Z)-3-hexenol ${\alpha}-pinene$, limonene, citronellal이 모든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수목원에서 월별 변화를 보이는 성분을 관찰한 결과. 산초는 ${\alph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alph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이였으며, 초피는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alpha}-pinene$, (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이였다. 그러나 지역별 채집한 개체에 나타났던 estragole이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나무 잎에서 미량으로만 존재한 이유는 열매를 맺지 못할 정도의 어린나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estragole 성분은 열매를 맺는 시기에 증가되는 성분이라 사료되었다.

리기다송(Pinus rigida Mill)과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잎 정유의 향기성분 (Flavor Components of the Needle Oils from Pinus rigida Mill and Pinus densiflora Sieb & Zucc)

  • 최경숙;박형국;김정한;김용택;권익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69-773
    • /
    • 1988
  • 소나무과의 리기다송(Pinus rigida Mill)과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needle oil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로 분석하였다. 리기다송의 주요 성분은 ${\alpha}-pinene$, 1-hexen-3-ol formate, sabinene, ${\beta}-pinene,\;{\alpha}-terpieol$, ${\beta}-caryophyllene$ 등 이었으며, 적송은 ${\alpha}-pinene$, bornyl acetate, ${\beta}-pinene$, ${\beta}-hpellandrene$ 등이 주성분이었다. 적송은 리기다송에 비해 fresh, soft sweet하며 삼림을 연상시키는 효과가 컸는데, 리기다송에 bornyl acetate를 첨가하였더니 적송보다 더 강한 삼림향을 나타내었다.

  • PDF

Antibacterial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Leaf-Derived Components Toward Human Intestinal Bacteria

  • Hwang, Young-Hee;Lee, Hoi-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10-616
    • /
    • 2002
  • The growth-inhibiting effects of Pinus densiflpora leaf-derived materials on nine human intestinal bacteri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impregnated paper disk method, and their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13 commercially available terpenes.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 of the extract of P densiflora leaf was characterized as the monoterpene (1R)-(+)-$\alpha$-pinene by various spectroscopic analyses. Responses varied according to bacterial strain, chemicals, and dose. At 10 mg/disk, limonene and (1R)-(+)-$\alpha$-pinene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Clostridium perfringen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ithout adverse effects on the growth of five lactic acid-bacteria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 bifidum, B. longum,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 casei). Little or no inhibition against seven bacteria was observed with anethole, borneol, camphor, caryophyllene, 1,8-cineole, estragole, linalool, and $\alpha$-terpineo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revealed that (1R)-(+)-$\alpha$-pinene had more growth-inhibiting activity against C. perfringens than (1R)-(+)-$\beta$-, (1S-(-)-$\alpha$-, and (1S-(-)-$\beta$-pinenes. Furthermore, the growth-inhibition against L. casei was much more pronounced in (1R)-(+)-$\beta$- and (In-(-)-$\beta$-pinenes than (1R)-(+)-$\alpha$- and (1S)-(-)-$\alpha$-pine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lpha$ form seems to be required against C. perfringens and $\beta$ form against L. casei for growth-inhibiting activity. Morphologically, most strains of C. perfringens were damaged and disappeared at 5 and 2 mg/disk of (1R)-(+)-$\alpha$-pinene. Morphological study revealed that (1R)-(+)-$\alpha$-pinene had more growth-inhibiting activity against C. perfringens than (1R)-(+)-$\beta$-, (1S)-(-)-$\alpha$-, and (1S)-(-)-$\beta$-pinenes. As naturally occurring growth-inhibiting agents, the Pinus leaf-derived materials described above could be useful preventive agents against diseases caused by harmful intestinal bacteria such as clostridia.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 fil.)의 부위별 정유성분 조성 (Essential Oil Composition from Leaves, Flowers, Stems, and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L. fil.)

  • 장수정;김영회;김명곤;김계환;윤세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101-107
    • /
    • 2002
  • 순비기나무의 잎, 꽃, 줄기 및 열매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으로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및 GC를 이용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7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성분은 monoterpene hydrocarbons 16종, oxygenated monoterpenes 30종, sesquiterpene hydrocarbons 10종, oxygenated sesquiterpenes 8종, diterpenes 3종, 기타 성분 9종으로서, 특히 ${\alpha}-pinene$, ${\beta}-pinene$, sabinene, 1,8-cineole, terpinen-4-ol, ${\alpha}-terpineol$등의 monoterpene류가 주요 구성성분들이었다. 부위별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잎에서는 ${\alpha}-pinene$ (30.25%) > 1,8-cineole (19.89%) > sabinene (9.56%) > ${\alpha}-ternineol$ (7.94%) > ${\beta}-pinene$ (5.69%) > terpinen-4-ol (2.37%), 꽃에서는 ${\alpha}-pinene$ (25.47%) > 1,8-cineole (7.69%) > manoyl oxide(6.21%) > ${\beta}-pinene$ (4.20%) > ${\alpha}-terpineol$ (3.76%) >sabinene (2.78%), 줄기에서는 ${\alpha}-pinene$ (13.24%)>${\alpha}-terpineol$ (10.64%)>1,8-cineole (4.40%)>manoyl oxide (4.02%) > ${\beta}-pinene$ (2.39%) > terninen-4-ol (2.21%), 그리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0.24%) > 1,8-cineole (11.47%) > ${\beta}-pinene$ (9.79%) > u-terpineol (7.08%) > sabinene (3.68%) limonene (2.77%)의 순서로 조성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onoterpene류의 조성비율이 높았으나 꽃과 줄기에서는 잎이나 열매에 비해 sesquitepene류, diterpene류 이외에도 구조를 동정하지 못하였으나 diterpene류 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성분들의 조성비율이 높았다.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비교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and Chrysanthemum indicum)

  • 홍철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108-113
    • /
    • 2002
  •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GC를 이용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 비교 또는 문헌상의 각 성분의 RI값과 비교에 의해 성분을 동정하였다. 산국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94개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그 중 GC peak area를 기준으로 했을 때 주요 구성성분은 camphor (15.40%), cis-chrysanthenol (14.11%), ${\alpha}-thujone$ (13.27%), 1,8-cineole (4.16%), ${\alpha}-pinene$ (3.80%), ${\beta}-caryophyllene$ (3.58%), germacrene D (2.69%), camphene (2.40%), umbellulone (2.24%) 및 ${\beta}-pinene$ (2.00%) 등이었다. 감국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80개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주요 구성성분은 germacrene D (16.50%), camphor (10.04%) 이외에도 ${\alpha}-thujone$ (6.40%), ${\alpha}-pinene$ (4.50%), ${\alpha}-cadinol$ (3.97%), cam-phene (3.82%), ${\beta}-pinene$ (3.67%), zingiberene (3.64%), cis-chrysanthenol (3.45%), piperitone (3.09%), 1,8-cineole (2.61%) 및 chrysanthenone (2.42%) 등이었다.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상의 차이점으로 산국의 정유에서는 감국에 비해 camphor, cis-chrysanthenol, ${\alpha}-thujone$, 1,8-cineole 및 umbellulone의 함유비율이 높은 반면 감국의 정유에서는 germacrene D, ${\beta}-caryophyllene$, ${\alpha}-cadinol$, zingiberene, cis-chrysanthenol 및 piperi-tone의 함유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