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H$-leucine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33초

시판 초기 이유식의 영양성분 및 저장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Weaning Food Manufactured in Korea)

  • 김동한;이성갑;손종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
    • /
    • 2003
  • 시판 국산 및 외국계열사 이유식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들 이유식의 개봉 후 산패 진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판 이유식의 탄수화물 함량은 61~70%, 단백질은 14~16%, 조지방은 8~15% 조회분 2.5~3.2% 정도로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함량이 전체 77~85%를 차지하였다.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1460.2~1954.3mg)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valine(928.9~1201.7mg/100g), isoleucine(758.1~1033.9mg/100g), lysine(798.7~1081.4mg/100g), phenylalanine(722.8~937.3mg/100g)의 순이었다 국산 H, M, S사 및 외국계열사 이유식의 linoleic acid과 linolenic acid 비율은 각각 15.4 : 1, 13.1 : 1, 39.8 : 1 및 12.2 : 1이었다. 32일간 실온 저장한 국내산 이유식 H, M, S사 및 외국계열사 이유식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13.9 meq/kg oil, 1.1 meq/kg oil, 5.4 meq/kg oil 및 14.8 meq/kg oil이었다.

고들빼기 김치의 유기성분(有機成分)(I) - 유이(遊離)아미노산(酸)에 관(關)하여 - (Organic Constituents in Kimchis (Ixeris sonchifolia H.) -On free amino acids-)

  • 강동희;우영숙;이영경;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5-229
    • /
    • 1983
  • 고들빼기를 멸치젓으로 김치담금하여 숙성중(熟成中)의 유이(遊離)아미노산(酸)을 분석정량(分析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원료(原料) 고들빼기의 잎과 뿌리에서 각각(各各) 8종(種)의 유이(遊離)아미노산(酸)을 정량(定量)하였으며, 뿌리에는 arginine, cystine, glutamic acid, 잎에는 arginine, valine, isoleucine, phenylalanine 등의 함량(含量)이 많았고 특(特)히 arginine은 잎 뿌리 모두 그 함량(含量)이 월등(越等)히 많았다. 총(總) 유이(遊離)아미노산량(酸量)은 잎이 뿌리의 약(約) 2.5배(倍)였다. 고들빼기 김치에서는 잎, 뿌리 모두 총(總) 15 종(種)의 유이(遊離)아미노산(酸)을 검출(檢出) 정량(定量)하였으며 잎, 뿌리 모두 threonine,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cystine의 함량(含量)이 많았다. 총(總) 유이(遊離)아미노산량(酸量)은 김치 잎이 9435.6mg%, 뿌리는 7079.1mg%로서 잎이 약(約) 5배(倍) 뿌리가 약(約) 11배(倍)로서 원료(原料)에 비(比)해 많은 증가(增加)를 보였다. 김치 액즙(液汁)에서는 총(總) 16종(種)의 유이(遊離)아미노산(酸)을 정량(定量)하였으며 그 중(中) threonine, glutamic acid alanine, cystine, leucine 등의 함량(含量)이 많았다.

  • PDF

Enzyme Modified Cheese 제조 (Production of Enzyme Modified cheese)

  • 서형주;손종연;김윤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2-198
    • /
    • 1995
  • Cheese milk를 기질로 하여 pronase 등 protease와 palanatase ML 등 lipase를 이용하여 EMC를 제조하였다. Cheese milk 가수분해에 관여하는 각 protease의 반응 조건을 살펴본 결과, pronase-3$0^{\circ}C$, pH 7.0, PANCREATIO-4$0^{\circ}C$, pH 8.0, pacific protease-3$0^{\circ}C$, pH 7.0과 Asp. Sp. 기원 protease-5$0^{\circ}C$, pH 8.0에서 최대의 활성을 보였으며, lipase의 반응 조건은 pancreatic lipase-5$0^{\circ}C$, pH 8.0, palatase ML-5$0^{\circ}C$, pH 7.0과 Candida cylindracea 기원 lipase-4$0^{\circ}C$, pH 6.0 이었다. 최적 반응 조건에서 가수분해를 행한 결과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리아미노산의 양과 유리지방산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acific protease와 pronase에 의해 가수분해시 0.67mg/ml과 0.74 mg/ml의 유리 아미노산을 생성하였으며, 유리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와 leucine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Candida cylidracea 기원 lip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 가장 많은 유리 지방산 생성량을 보였다. 각 EMC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butyr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와 oleic acid의 함량이 보였다. Pancreatin에 의해 가수분해 후 각 lipase를 사용하여 제조한 EMC의 관능검사 결과,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한 EMC가 가장 쓴맛이 강하였고, palatase에 의한 EMC는 가장 바람직한 cheese 향기를 가지고 있다.

  • PDF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deficiency 환자의 임상경과와 분자유전학적 특성

  • 정창우;김구환;이범희;이진;최진호;유한욱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6-109
    • /
    • 2011
  • MCG는 3-methylcrotonyl-CoA의 결핍으로 발생하는 선천성 leucine 대사 장애이다. 무증상에서 간질지속증 등의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며 주로 신생아대사이상선별검사에서 의심되어, 소변 유기산 검사를 통해 3- hydroxyisovaleric acid의 증가의 소견이 보인다. 치료는 leucine 제한 식이와 L-carnitine의 복용 등의 식이요법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MCG로 확진된 9가계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상과 분자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9명은 신생아 대사이상검사로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2명은 가족검사를 통해서 진단되었다. 총 2-10세($2.6{\pm}1.96$년)까지의 관찰 기간 동안 모든 환자는 정상 발달을 보였으며, 신경학적 이상이나 대사불균형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총 18개의 대립유전자 중 17개에서 돌연변이를 발견하였으며, p.D280Y 돌연변이가 66.7%의 대립유전자에서 확인되어, 한국인 MCG에서 흔한 돌연변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S342K, p.P459S, p.552S, p.Q496H, p.T556A 등 대부분의 돌연변이가 이전에 보고된 바가 없던 돌연변이로 한국인 MCG환자의 유전학적 특성이 다른 민족과 다름을 시사한다.

  • PDF

Streptomyces sp.가 생산하는 Penicillinase 에 관한 연구 (제1보) Streptomyces sp. YS-40에 의한 Penicillinase의 생산조건 (Studies on the Penicillinase Produced by a Streptomyces sp. (Part I). Optimal Conditions for the Penicillinase Production by Streptomyces sp. YS-40.)

  • 도재호;김상달;이동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7-184
    • /
    • 1982
  • 토양에서 분리, 선별한 Streptomyces 속의 한 균주가 생산하는 Penicillinase의 최적생산조건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원으로서는 glucose, 실소원으로는 L-as-paragine이 가장 우수했으며 금속감중에서 Mn C $l_2$를 첨가했을때 효소생성을 37% 증가시켰다. Amino 산중에서 L-leucine이 본 효소생산을 약간 증가시켰으며 L-histidine L-methionine은 크게 저하시켰다. Riboflavine, i-inositol, hesperidine, niacinamide, biotin, DL-$\alpha$- lipoic acid, folic acid가 효소생산을 증가시켰으며 항생물질중에서 cephradine, cephalexin, ampicillin, cloxacillin의 첨가가 효소생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본 효소생산의 최고 pH는 7.0이며 최적온도는 28$^{\circ}C$였다. 또 500$m\ell$ Erlenmeyer flask에서 175$m\ell$의 배지를 가하여 3 일간 배양했을 때 효소생성이 최고에 도달했다.

  • PDF

A Review on the Radioisotopic Methods for Measuring Bacterial Production in Aquatic Environments

  • Hyun, Jung-Ho;Larock, Paul 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2호
    • /
    • pp.97-106
    • /
    • 1996
  •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our radioisotopic methods, $^{3}H$-thymidine, $^{3}H$-adenine, $^{3}H$-leucine, and $^{35}S$-sulfate, for measuring bacterial production were reviewed. The maior issues discussed in production methods were: (1) whether all the actively growing bacteria take up the radiolabeled (organic) tracers; (2) how each target molecule should be purified (nonspecific labeling); and (3) how important the determination of the precursor pool specific activity is (internal isotope dilution). Since all the radioisotoic methods have their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areful consideration must be paid in choosing the radioisotop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ach environment investigated.

  • PDF

장기 숙성에 따른 시판 멸치액젓의 성분변화 (Component changes in Commercial Salt-Fermented Anchovy Sauce by Long Fermentation)

  • 남기호;장미순;박희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01-109
    • /
    • 2012
  • 본 연구는 숙성기간이 다른(1, 3, 6, 9 및 12년) 시판 멸치액젓의 일반성분, pH, 아미노질소, 유리아미노산 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분석을 통해 장기 숙성에 따른 멸치액젓의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기간에 따라 멸치액젓의 수분은 감소하였으며 조단백질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회분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pH는 9년산 멸치액젓까지는 감소를 보였으나 산도의 경우 pH와는 반대로 9년산까지 증가 하다가 12년산에서 약간 감소하였다. 숙성기간에 따라 멸치액젓의 VBN과 염도의 함량은 각각 243.6~253.4, 25.10~25.33%로 장기 숙성에 따른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아미노질소는 1~6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후의 숙성기간에서는 증가폭이 적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8,762.2~10,650.7mg% 이었으며 숙성기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였다.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glutamic acid, leucine, lysine의 함량이 높았다. 숙성기간에 따라 감칠맛계 아미노산은 꾸준히 증가한 반면 쓴맛계 아미노산은 점점 감소함을 보였다. 숙성기간에 따라 L값 및 b값은 점점 감소한 반면, a값 및 ${\Delta}E$값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분광광도계로 453 nm에서 측정한 색도는 1차 희귀방정식에 따라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6년산 멸치액젓이 종합평가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Micrococcus sp. LL3가 생성하는 intracellular aminopeptidase의 특성 및 정제 (Purification and partial characteristics of intracellular aminopeptidase from micrococcus sp. LL3)

  • 이시경;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539-54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Cheddar 치즈의 숙성기간을 단축시키고 flavor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Micrococcus sp. LL3를 치즈 제조시에 첨가할 목적으로 본 균주가 생성하는 aminopeptidase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본 효소를 정제하였다. L-Leucine-p-nitroanilide를 기질로 사용 하였을 때 본 효소의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 및 7.0이었다. 본 효소는 $50^{\circ}C$까지의 온도에서 10분간 방치하였을 경우에도 안정하였다. $Mg^{++}$ ion에 의해 본 효소의 활성이 촉진되었으나 $Hg^{++}$ ion과 EDTA나 1,10-phenanthroline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거의 실활되어 metallopeptidas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효소의 기실 특이성은 광범위 하였으나, N-terminal amino acid로서 arginine을 함유한 peptide는 분해하지 못했다. 본 균주가 생성하는 aminopeptidase의 정제를 위하여 DEAE-Sephacel ion chromatography및 gel filtration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분자량 46,500의 효소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가루, 크럼블 및 펠렛사료 급여가 브로일러육의 이화학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ound, Crumble and Pellet of Physico-chemical Properites on Broiler Meat)

  • 조헌조;강신곤;차용호;김병기;우선창;여영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85-592
    • /
    • 2002
  • 본 시험은 대형육계에 있어서 생산체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영양수준(2${\sim}$3주령, ME 2,843 kcal/kg, CP 19.46% ; 4${\sim}$6주령, ME 3,072 kcal/kg, CP 17.85% ; 7${\sim}$8주령, ME 3,109kcal/ kg, CP 17.26%)에 따른 사료가공형태(대조구 : 가루$\longrightarrow$크럼블$\longrightarrow$펠렛 ; 처리1구 : 가루$\longrightarrow$크럼블$\longrightarrow$펠렛 ; 처리2구 : 크럼블$\longrightarrow$크럼블$\longrightarrow$펠렛 ; 처리3구 : 펠렛$\longrightarrow$펠렛$\longrightarrow$펠렛)로 활성탄(1%)을 혼합첨가하여 8주(56일간)동안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육의 일반성분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22.22 ${\sim}$23.40%였고, 조지방 함량은 0.30${\sim}$0.45% 범위로서 처리구가 낮았으며, 특히 처리2구는 0.28로서 가장 낮았다 (P<0.05). 계육의 가열감량은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고, 전단력과 pH는 처리3구가(1.21kg, 5.85) 낮은 경향이었다. 육색에서 명도(L)는 대조구와 처리2구가 가장 밝았고, 적색도(a)는 0.19${\sim}$0.85의 범위였고, 황색도(b )는 처리1구가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와 조직감, 향미에서 시험구간에서는 유의차는 없었다(P<0.05). 지방산에서의 myristic acid와 arachidoic acid는 처리1구가, oleic acid과 지방의 불포화도가 처리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아미노산에서 cyst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은 처리1구와 처리2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알타리무우김치 숙성과정중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The change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during radish Kimchi Fermentation)

  • 방양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60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ange of free amino acid content in the radish Kimchi added with anchovy pickle sauce with that added with 15% NaCl solution during 30 days fermentation. RESULTS : 1. During the fermentation, the pH of both sample A and B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7.3 and 7.1, respectively, and then both decreased continually to the lowest value of 4.2 at the 30th day. 2.The salinity in the juice of sample A was higher than that of sample B in all the steps during fermentation, accompanied with a slight decrease of the salinity in both cases with time elapsed. 3. The free amino-type nitrogen content of sample A was nearly duplicated in the final step than in the initial one,while that of sample B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e processing period. 4. The free amino acids detected in the both samples wer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tyrosine, cysteine, valine, methin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gamma-aminobutyrix acid(\ulcorner), ornithine, lysine, histidine and arginine. 5. The amounts of proline, arginine were the highest in all free amino acids during fermentation, and tasty components of radish Kimchi seemed to relate to glutamic acid, ala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more deliciousness of Kimchi A and B seemed to derive from amino acids of anchovy pickle sauce added to Kimci A, such as alanine, valine, phenylalanine, lys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