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 C$

검색결과 14,733건 처리시간 0.038초

${\alpha}_2$-아드레날린 효능약인 UK 14,304의 신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K 14,304, An ${\alpha}_2$-Adrenergic Agonist, on Renal Function in Dog)

  • 고석태;김해석;최홍석
    • 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98-511
    • /
    • 1997
  • The effects of UK 14,304, an ${\alpha}_2$-adrenergic agonist, on renal function were investigated in dogs. UK 14,304, when given intravenousely($15.0{\mu}g/kg,\;50{\mu}g/kg$), produced the increase of urine flow accompanied with the marked augmentation of free water clearance ($C_{H_2O}$) and reabsorption rates of sodium in renal tubules ($R_{Na}$), and the remarkable decrease of osmolar clearance ($C_{osm}$) and the amounts of sodium excreted in urine ($E_{Na}$). UK 14,304 given into a renal artery($1.5{\mu}g/kg,\;5.0{\mu}g/kg$) elicited the increase of urine flow with the augmentation of $C_{H_2O}$ in both kidney. UK 14,304, when administered into carotid artery($3.0{\mu}g/kg,\;10.0{\mu}g/kg$). exhibited the same aspect as shown in intravenous UK 14.304 at smaller dose than the intravenous dose. Diuretic action of intravenous UK 14,304 were produced together with increase of $C_{H_2O}$ in situation of water diuresis too, changes of renal function in this state were the increase of $C_{osm},\;E_{Na},\;and\;E_K$ (excreted amounts of potassium in urine), and the decrease of $R_{Na}\;and\;R_K$, these were different appearances from situation of saline diuresis. Diuretic action of intravenous UK 14,304 were blocked completely by post or pretreatment of yohim-bine, ${\alpha}_2$-adrenergic blocking agents, and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vasopressin, antidiuretic hormone. Above results suggest that UK 14,304 produces the diuretic action by the inhibition of vasopressin secretion and suppression of electrolytes reabsorption of electrolytes in renal tubules mediated with central ${\alpha}_2$-adrenoceptor in dog.

  • PDF

[14C]Butachlor를 이용한 호기성 토양대사 시험법 확립 (Establishment Aerobic Soil Metabolism System Using [14C]Butachlor)

  • 김주혜;김종환;김대욱;이봉재;김찬섭;임양빈;서종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8-268
    • /
    • 2014
  • OECD Test guideline 307에 따라 확립한 토양대사 시험법으로, 호기성 토양 조건에서 [$^{14}C$]butachlor의 토양대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토양은 국내 밭토양의 대표적인 토성인 양토였으며, 비멸균 및 멸균토양에 [$^{14}C$]butachlor ($6.83mgKg^{-1}$)을 처리하고 flow-through system에서 60일간 배양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mass balance는 비멸균 토양과 멸균토양에서 각 처리방사능 대비 91.1~95.5%, 93.0~97.7% 수준이었다. 비멸균 토양의 경우 처리 후 60일 경과 시 처리방사능의 8.4%로 감소하였으며, $DT_{50}$$DT_{90}$은 10.4일과 34.6일이었다. 토양 추출액 중 주요대사산물 2-chloro-2',6'-diethylacetanilide이 검출되었다. $^{14}CO_2$ 및 비추출성 토양잔류물은 3.5%와 43.5% 수준이었다. 시험기간 중 멸균 토양 내 [$^{14}C$]butachlor의 분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butahclor는 호기성 토양에서 미생물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어 주요 대사산물 2-chloro-2',6'-diethylacetanilide와 $CO_2$를 생성하거나 토양에 강하게 흡착되어 비추출성 잔류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OECD guideline TG 307에 확립한 호기성토양대사 시험법은 농약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토양 동태 예측 있어 국내 활용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14}C$ 표지 Imazapyr의 토양중 무기화와 흡착 (Mineralization and Adsorption of $^{14}C$-Lablled Imazapyr in Soil)

  • 권정욱;이재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0-326
    • /
    • 1997
  • 제초제 imazapyr의 토양환경중 행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이 상이한 8종의 토양을 이용하여 $^{14}CO_2$로의 무기화 및 흡착 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리화학적 특성이 상이한 8종의 토양중 배양기간 동안 발생된 $^{14}CO_2$의 양은 총 처리 방사능의 약 1.5${\sim}$4.9%로써 토양에 따라 상이한 방출율을 보였다. pH가 낮고 유기물이 많은 토양 C, G 및 H에서는 낮은 $^{14}CO_2$ 방출량을 보인 반면 pH가 높고 유기물이 적은 토양 B와 D에서는 높은 $^{14}CO_2$ 방출율을 보였다. 2. Imazapyr의 흡착실험에서 평형농도 도달시간은 네 토양 모두에서 약 3시간 이었다. 물리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토양에서 0.25${\sim}$28.32%의 흡착율을 보였으며, 토양구성 요소중에서, 유기물 함량이 토양에 의한 imazapyr의 흡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Freundlich 흡착상수$(K_f)$는 유기물의 함량이 2.0${\sim}$21.3배 증가함에 따라 5.5${\sim}$25.6배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토양 유기물이 imazapyr의 흡착에 미치는 범위는 점토가 미치는 것보다 더 큼이 분명하다. $K_f$값은 토양 C, D, G 및 H에서 각각 0.44, 0.08, 0.65 및 2.05이었으며, 모든 토양에서 $K_d$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 PDF

수도(水稻) 등숙기간(登熟期間中) 동화산물(同化産物)(14C)의 전유특성과 무기성분(無機成分)의 영향(影響) (Translocation Pattern of Photosynthate(14C) and Nutrient Effect on Translocation during Ripening in Rice)

  • 홍영표;석순종;황영수;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3-240
    • /
    • 1982
  • 수도(水稻) 등숙기간중(登熟期間中) 동화산물 전류의 품종간 특성과 식물체내 무기성분조성이 동화산물 전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표식탄소(標識炭素)($^{14}C$)를 이용, 본 시험이 실시되었다. 곡실로의 $^{14}C$ 전류와 수기충(受器充) 전속도(塡速度)는 일치하는 경향이었고 품종 및 특성은 등숙 후기전류우세형(I형 : 아끼바레), 등숙초기전류우세형(II형 ; 태백벼, 추풍벼), 중간형(III형 ; 밀양 23호, 밀양 42호, 유신)등 3群으로 분류되었다. 질소영양상태와 $^{14}C$의 곡실로의 전류간에는 역상관의 경향을 보였다. 유수형성기부터 출수기까지 인산, 가리. 석회, 고토, 및 규산의 공급중단은 곡실입중을 약 4~12% 감소시켰으나 출수기에 동화된 $^{14}C$의 곡실로의 전류를 증가시켰고 출수 후 이들 성분의 재공급효과는 인산>고토>가리, 석회의 순(順)이었으며 규산의 재공급효과는 인정하기 어려웠다. 광합성능은 질소영양에 크게 좌우되었으며 인산, 가리, 석회의 공급중단은 단엽광합성능(單葉光合成能)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반면에 규산의 공급중단은 광합성능을 증가시켰다.

  • PDF

살충제 Imidacloprid의 논토양 중 흡착 및 용탈 특성 (Adsorp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Insecticide Imidacloprid in Paddy Soils)

  • 임양빈;경기성;김찬섭;이희동;류갑희;이재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8-63
    • /
    • 2006
  •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 imidacloprid의 토양흡착 특성과 벼 재배 환경중 용탈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14}C]$limidacloprid를 이용하여 수원근교 논토양 2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Freundlich 흡착 등온식으로부터 구한 imidacloprid의 흡착상슈$(K_f)$$1.7{\sim}2.6$, 기울기(1/n)는 1 미만, 토양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_{oc})$$228{\sim}249$, 토양 반감기를 이용한 지하수 오염가능성(GUS index)은 $1.6{\sim}2.4$로 흡착성이 중간 정도로 평가되어 토양중 용탈 가능성은 높지 않았다. 논토양에서 용탈성은 숙성잔류물 함유 토양보다 신생잔류물 함유 토양에서 더 높았다. 논토양의 토층별 $^{14}C$의 분포는 $0{\sim}10cm$ 깊이에 80% 이상이 분포하였으며, 벼 재배구에서 처리된 $^{14}C$의 식물체로의 이동성은 신생잔류물 함유 토양이 숙성잔류물 함유 토양보다 높았으나 식물체로 흡수된 $^{14}C$은 총처리량의 약 3% 미만으로서 imidacloprid의 용탈성과 생물이용도가 매우 낮음을 시사하였다.

갈조류 개다시마 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Regeneration and the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a Kelp Saccharina sculpera (Phaeophyceae))

  • 유현일;이기현;김수홍;하동수;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76-58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5, 10, 15, 20, $25^{\circ}C$), 조도(10, 20, 40, 60, $80{\mu}mol\;photons\;m^{-2}\;s^{-1}$) 및 광주기(10:14, 12:12, 14:10 h L:D) 조건에서 개다시마 유리배우체 단편의 생장 및 성숙 유도조건을 파악하였다. 암배우체 단편의 생장은 $20^{\circ}C$, $20{\mu}mol\;photons\;m^{-2}\;s^{-1}$, 10:14 h (L: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인 반면 수배우체는 $15^{\circ}C$, $20{\mu}mol\;photons\;m^{-2}\;s^{-1}$, 14:10 h (L: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여 차이를 나타내었다. 암배우체의 최적 성숙조건은 $15^{\circ}C$, $40{\mu}mol\;photons\;m^{-2}\;s^{-1}$, 14:10 h (L:D) 조건에서 가장 빠른 성숙을 보인 반면 수배우체는 $10^{\circ}C$, $20{\mu}mol\;photons\;m^{-2}\;s^{-1}$, 10:14 h (L:D) 조건에서 빠른 성숙을 보여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확인된 개다시마 유리배우체 단편의 생장 및 성숙조건은 개다시마의 자원조성 및 대량양식 기반조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벼 재배 microecosystem 내에서 제초제 bensulfuron-methyl의 행적 (Fate of the herbicide bensulfuron-methyl in a soil/rice plant microecosystem)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박주형;이용필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99-308
    • /
    • 2004
  • 토양/벼 microecosystem내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 bensulfuron-methyl의 행적을 구명하기 위하여 [Phenyl-$^{14}C$]bensulfuron-methyl의 신생(fresh) 잔류물과 13주간 숙성된 숙성(aged) 잔류물을 처리한 2종의 상이한 논토양을 stainless steel pot (내경, 17 cm $\times$ 높이 10 cm)에 담고 벼 (Oryza sativa L.)를 12주간 재배 하였다. 토양 A(유기물 함량, 3.59%; 양이온 치환용량, 7.65 $cmol^+\;kg^{-1}$; 토성, 사질 식양토)와 토양 B(유기물 함량, 1.62%; 양이온 치환용량, 4.51 $cmol^+\;kg^{-1}$; 토성, 사양토)에서 $[^{14}C]$bensulfuron-methyl이 13주간의 숙성 기간동안 $^{14}CO_2$로 무기화된 량은 최초 처리량의 각각 6.79와 10.15% 이었다. 신생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으로부터 방출된 $^{14}CO_2$량은 숙성 잔류물을 처리한 토양으로부터 방출된 량보다 많았다. 12주간 벼를 재배하고 수확하였을 때 신생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 A와 B로부터 벼가 흡수 이행한 $^{14}C$량은 각각 최초 처리량의 1.53과 4.40%이었고 숙성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 A와 B로부터 흡수 이행한 양은 최초 처리량의 4.04와 6.37% 이었다. 숙성과 토성에 관계없이 토양에 잔류하고 있는 $^{14}C$량은 최초처리량의 $80.41\sim98.87%$ 이었다. 유기 용매로는 토양에 잔류하는 $^{14}C$ 방사능의 $39.25\sim70.39%$를 추출할 수 있었고 bensulfuron-methyl의 추출불가 토양 흡착 잔류물의 대부분은 fulvic acid 부분에 혼입되어 있었다 $(61.32\sim76.45%)$. 벼 재배 유무에 따른 미생물 활성을 비교한 결과 벼 재배시 두 토양에서 모두 미생물 활성이 벼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의 $1.6\sim3.0$ 배 이었으나 $^{14}CO_2$ 발생량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았다.

Life History of Porphyra seriata Kjellman (Bangiales, Rhodophyta) from Korea in Laboratory Culture

  • Kim, Nam-Gil;Notoya, Masahiro
    • ALGAE
    • /
    • 제19권4호
    • /
    • pp.303-309
    • /
    • 2004
  • The laboratory culture study of Porphyra seriata Kjellman from Korea was conducted at different conditions of temperatures (5, 10, 15, 20, 25 and 30${^{\circ}C}$), photon flux densities (10, 20, 40 and 80 $\mu$mol $^{-2}s^{-1}$) and photoperiods (14L: 10D and 10L:14D). Conchocelis filaments grew fast at 15-20${^{\circ}C}$ and 20-80 $\mu$mol $^{-2}s^{-1}$ under both photoperiods. Concho sporangial branches were produced at 5-25${^{\circ}C}$, and abundant when the conchocelis filaments were cultured at higher temperatures of 20-25${^{\circ}C}$ under both photoperiods. Foliose thalli grew well at 15-20${^{\circ}C}$ under 10L:14D and at 20${^{\circ}C}$ under 14L:10D. At 30${^{\circ}C}$, the foliose thallus failed to survive. No archespores were observed at any culture conditions. Spermatangia and zygotosporangia were formed in squarish patches at the upper marginal portion of mature thalli. Anatom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mature spermatangia were 64 (a/4, b/2, c/8) and 128 (a/4, b/4, c/8), and that of zygotosporangium was 16 (a/2, b/2, c/4) according to the Hus' formula.

흑연과 알루미나 표면 위에서의 o-크실렌의 물리흡착 (Adsorption of o-Xylene on Graphite and Aluce)

  • 김낙중;장세헌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80-385
    • /
    • 1978
  • 진공미량저울을 사용하여 Spheron 6 위에서 o-크실렌의 여러 온도에서의 흡착등온곡선을 얻고 이들로 부터 BET 방법을 써서 흡착분자 단면적을 구하였다. 이 단면적의 값은 $-15^{\circ}C$까지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15와 $-14^{\circ}C$ 사이에서 갑자기 변하여 $-14^{\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다시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이 결과는 $-15^{\circ}C$ 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촘촘히 쌓인 편재흡착이 일어나고 $-14^{\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벤젠고리를 중심으로한 하나의 회전자유도를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