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9m}$Tc-HMPAO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3초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Cranioplasty in Patients with Surgical Bony Defects : The Usefulness of Acetazolamide Activated $^{99m}Tc-HMPAO$ SPECT

  • Seo, Won-Duck;Kim, Young-Don;Hong, Dae-Young;Kim, Dae-Hyun;Choi, Gi-Hwan;Yeo, Hyung-Ta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0권6호
    • /
    • pp.434-440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ranioplasty on dynamics of cerebral blood flow[CBF] and cerebrovascular reserve capacity[CVRC], an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as a prognostic factor for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cranioplasty. Methods : Between March 2003 and December 2005,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24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25 cranioplasty operations. Cerebral blood flow velocities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MCA] and internal carotid artery[ICA] were obtained by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TCD]. The CVRC was assessed by SPECT in the natural state and after stimulation with 1g of acetazolamide.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cranioplasty was compared between patients who showed hyperactivity to acetazolamide-activated SPECT [Group 1, n=7] and hypoactivity to acetazolamide-activated SPECT [Group 2, n=17]. These measurements were obtained two weeks prior to and two weeks after cranioplasty. Results : The blood flow velocities at the opposite site to the cranioplasty as well as at the cranioplasty sit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ompared with Group 2,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CBF and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cranioplasty in Group 1. Conclusion : Among patients with surgical bony defects, the patients who had normal reactivity of the CVRC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BF and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cranioplasty. The authors suggest that CVRC measurement prior to surgery may be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cranioplasty.

진행성 핵상 마비에서의 국소 뇌혈류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 이원용;이경한;이기형;윤병우;이명철;이상복;전범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5
    • /
    • 1996
  •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is a parkinson-plus syndrome characterized clinically by supranuclear ephthalmoplegia, pseudobulbar palsy, axial rigidity, bradykinesia, postural instability and dementia. Presence of dementia and lack of cortical histopathology suggest the derangement of cortical function by pathological changes in subcortical structures in PSP, which is supported by the pattern of behavioral changes and measurement of brain metabolism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specific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PSP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motor abnormality and degree of changes in cerebral perfusion. We measure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dices in 5 cortical and 2 subcortical areas in 6 patients with a clinical diagnosis of PSP and 6 healthy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using $^{99m}Tc$-HMPAO SPECT. Compared with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only superior frontal regional perfusion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SP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the motor abnormality and any of the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dices (p>0.05). We affirm the previous reports that perfusion in superior frontal cortex is decreased in PSP. Based on our results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motor abnormality and cerebral perfusion in the superior frontal cortex, nonmotoric symptoms including dementia needs to be looked at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perfusion abnormality in superior frontal cortex.

  • PDF

측두엽 간질에서 발작기 뇌관류 SPECT의 간질병소 국소화 성능 (The Performance of Ictal Brain SPECT for Localizing Epileptogenic Foci in Temporal Lobe Epilepsies)

  • 김은실;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장기현;이상건;정천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7-293
    • /
    • 1995
  • Anterior temporal lobectomy has become a widely used resec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ies. Prerequisites of this resection include the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epileptogenic focus and the determination that the proposed resection would not result in unacceptable postoperative memory or language defic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ctal SPECT compared to MRI findings for localization of epiletogenic foci in this group of patients. 11 patients who had been anterior temporal lobectomy were evaluated with ictal $^{99m}Tc$-HMPAO SPECT and MRI. MRI showed 8/11(73%) concordant lesion to the side of surgery and ictal SPECT also showed 8/11(73%) concordant hyperperfusion. In 3 cases with incorrect or nonlocalizing findings of MRI, ictal SPECT showed concordant hyperperfusion. In 2 cases confirmed by pre-resectional invasive EEG, MRI showed bilateral and contralateral lesion but ictal SPECT showed concordant hyperperfusion. 3 delayed injection of ictal SPECT showed discordant hyperperfusion. Thus, ictal SPECT was a useful method for localizing epileptogenic foci in temporal lobe epilepsis and appeared complementay to MRI.

  • PDF

지능 저하를 동반한 두부외상 환자에서 뇌혈류 및 혈류예비능의 변화 (Alterations of Cerebral Blood Flow and Cerebrovascular Reserve in Patients with Chronic Traumatic Brain Injury Accompanying Deteriorated Intelligence)

  • 송호천;범희승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3-198
    • /
    • 2000
  • 목적: 두부외상을 받은 후 뇌실질의 해부학적인 병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인지 및 정신운동성 기능장애 등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지만 아직 그 병태 생리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연구자는 두부외상 후 해부학적 뇌 병변이 없으면서도 지능저하를 보인 환자에서 국소 뇌혈류(regional cerebral blood flow, CBF) 및 국소 혈류예비능(regional cerebrovascular reserve, CVR) 이상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 지능저하와 관련된 뇌영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부외상을 받은 후 지능저하를 호소하고, 만성기에 시행한 뇌 MRI에서 유의한 대뇌피질의 이상소견이 없었던 30명으로 남자 16명과 여자 14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4{\pm}12$세였다. 대조군을 19명으로 남자 9명과 여자 10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44{\pm}17$세였다. 휴식기에 Tc-99m HMPAO 925 MHq를 주사하고 5분째 뇌혈류 SPECT를 촬영하였으며, 촬영 도중 아세타졸아미드 1 g을 3분간 주사하였다. 첫 촬영이 끝난 직후 다시 Tc-99m HMPAO 925 MBq를 주사하여 같은 방법으로 뇌부위를 촬영하였다. 지능검사는 한국판-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를 사용하여 언어성과 동작성에 관련된 11가지 소검사를 시행하였다. 각 소검사 별 비정상 점수를 보인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간 유의한 CBF 차이를 윈도우용 SPM'97로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모든 언어성 소검사는 좌측 대뇌반구에서 CBF 감소를 보였고, Wernicke 영역과 모두 관련이 있었고 Broca 영역과 관련을 보인 어휘문제를 포함하여 기본지식문제와 숫자외우기는 전두엽, 측두엽 그리고 두정엽과도 관련이 있었다. 우측 대뇌반구에 추가로 CBF 감소를 보인 경우는 기본지식문제, 숫자외우기, 어휘문제와 공통성문제로 전두엽, 측두엽 그리고 두정엽에서 CBF가 감소를 보였다. 2) 동작성 검사에서 CBF 감소는 주로 우측 대뇌반구에서 관찰되었다. 우측 상측두회 후면과 상연회, 운동전 피질, 그리고 일차적 체운동피질과, 우측 전두전야 일부에서 관련이 있었고, 좌측 전두엽과 상연회 일부에서 CBF 감소가 있었다. 3) CVR 감소는 전체적으로 총 64개 뇌영역에서 관찰되었다. 언어성 검사에서 주로 양측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관찰되었다. 기본지식문제만 양측 하두정회와 후두엽에서 추가로 CVR 감소가 관찰되었다. 동작성 검사에서 주로 양측 전두전야와 상, 중측두회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두부외상 후 대뇌피질의 형태학적 손상을 발견할 수 없었던 경미한 손상에서도 CBF 뿐만 아니라 CVR의 감소를 초래되며, 지능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능 저하는 특정한 뇌영역과 관련되어 있음을 밝혔다.

  • PDF

$^{99m}Tc$-HMPAO SPECT를 이용한 알쯔하이머병의 진단에서 허혈성 뇌병변이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schemic Lesions on $^{99m}Tc$-HMPAO SPECT Findings in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 이경한;이명철;이동수;권준수;김종호;정준기;우종인;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2-29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99m}Tc$-HMPAO SPECT를 이용한 AD의 진단에서 허혈성 뇌병변의 유무와 대조군의 선정방법이 진단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진단된 PAD군 11례와 연령을 맞춘 대조군 12례에서 SPECT를 시행하여 국소 혈류비를 분석하였다. MRI 소견을 조사한 결과 PAD군의 27%(3/11)와 대조군의 25%(3/12)에 유의한 뇌허혈 또는 경색 병변이 관찰되었다. 뇌병변의 유무와 관계없이 두군을 비교한 결과 측두엽이나 두정엽에 평균혈류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군을 신뢰성있게 감별할 만한 특징적인 혈류양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뇌허혈병변이 있는 자를 대조군에서 제외시켰을 때 두군의 측두엽 및 두정엽 혈류비의 차이가 증가하였다. 또 별도로 설정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같은 부위의 혈류비에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뇌혈류 SPECT에 의한 AD의 진단성적은 연구대상의 선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허혈성 뇌병변의 유무는 연구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었다. 향후 허혈성 뇌병변에 의한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SPECT 영상을 방사선학적 검사와 함께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뇌혈관 협착 환자에서 SPM과 확률뇌지도를 이용한 기저/아세타졸아미드 SPECT의 정량적 분석법의 유용성 (The efficacy of Quantitative Analysis of Basal/Acetazolamide SPECT Using SPM and Statistical Probabilistic Brain Atlas in Patients with Internal Carotid Artery Stenosis)

  • 이호영;이동수;팽진철;오창완;조맹제;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57-367
    • /
    • 2002
  • 목적: 뇌혈관질환에 있어서 뇌혈류와 뇌혈류예비능을 기저/아세타졸아미드 뇌혈류SPECT로 평가 가능하나 재관류 수술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12명의 환자($51{\pm}15$세, 남:녀:6:6)의 수술 전후 기저 시와 아세타졸아미드 부하 뇌관류 SPECT를 SPM에서 공간정규화하고 소뇌의 계수를 기준으로 계수정규화한 후 확률뇌지도(statistical probabilistic anatomical map, SPAM)를 이용하여 부위별 혈류를 정량화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수술 전후 및 정상대조군($59{\pm}15$세, 남:녀:10:11)과의 비교를 McNemar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혈류예비능은 기저 시와 부하시의 차이를 기저 시 계수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결과: 수술 후 수술 부위의 기저 시와 아세타졸아미드 부하 시 혈류 그리고 혈류예비능 모두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정상군과의 비교에 있어서는 기저 시 혈류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을 정도로 호전되었으나, 아세타졸아미드 부하시 혈류와 혈류예비능은 수술 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혈류예비능은 주로 수술부위를 중심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SPM 및 SPAM을 이용하여 기저/아세타졸아미드 뇌혈류 SPECT의 수술 전후결과를 정량적, 객관적으로 쉽게 비교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