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0}Ar-^{39}39/Ar$ 연대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ge Constraints on Human Footmarks in Hamori Formation, Jeiu Island, Korea (제주도 하모리층에 발달하는 사람 발자국의 형성시기)

  • Cho Deung-Lyong;Park Ki-Hwa;Jin Jae-Hwa;Hong Wa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3 s.41
    • /
    • pp.149-156
    • /
    • 2005
  • Ar-Ar, carbon AMS and OSL dating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age of the human footmarks on the Hamori Formation, Jeju Island, Korea. $^{40}Ar/^{39}Ar$ ages of trachybasalt from the Songaksan Tuff, which is underlain by the Hamori Formation, range between $10.6{\pm}19.9\;Ka$ and $11.7{\pm}26.3\;Ka$. Radiocarbon AMS ages of humin fractions extracted from sediment samples yielded the maximum limit age of the Hamori Formation as $15,161{\pm}70\;yr$ B.P. The OSL dating of the top and bottom layers of the Hamori Formation gave $6.8{\pm}0.3\;ka$ and $7.6{\pm}0.5\;ka$,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iming of the human footmarks formation can be constrained as between ca 6,800 yr B.P. and 7,600 yr B.P.

Ages and Evolu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Ulleung-do and Dok-do (울릉도와 독도 화산암의 생성연대 및 진화사)

  • Song Yong-Sun;Park Maeng-Eon;Park Kye-Hu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2 s.44
    • /
    • pp.72-80
    • /
    • 2006
  • We report new K-Ar ages of volcanic rocks from Ulleung-do and Dok-do island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Korea Sea; $3.67{\pm}0.40\sim1.89{\pm}0.29$ Ma for the Dok-do and $8.07{\pm}0.39\sim0.51{\pm}0.07$ Ma for the Ulleung-do. Such ages reveal that igneous activities of both Dok-do and Ulleung-do extend longer than previously reported. It is likely that igneous activity of Ulleung-do started as early as $8.07{\pm}0.39$ Ma which is much older than age known currently, and latest eruption and intrusion of trachyte of Dok-do lasted until $1.89{\pm}0.29$ Ma, which overlaps previously reported igneous activity of Ulleung-do. However, it seems that the main volcano-building stage of Ulleung-do started after 2.7 Ma and igneous activities of Dok-do were finished mostly before then, which suggests that Dok-do was farmed before Ulleung-do in the respect of main stages of volcano-building. Such explanation agrees well with the hypothesis that southeastern seamounts, Dok-do and Ulleung-do were sequentially generated by relatively fixed hotspot.

희귀식물 무주나무(Lasianthu japonicus Miquel)의 특성과 자생지

  • 이은주;문명옥;강영제;김문홍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1b
    • /
    • pp.76-76
    • /
    • 2002
  • 무주나무(Lasianthus japonicus Miquel)는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하고 열대 및 아열대의 상록활엽수림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남쪽계곡에만 분포하는 희귀식물이다. 무주나무는 현재 환경부 지정 보호야생식물로 보호되고 있으나 개체특성 및 자생지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무주나무의 자생지 현황과 생육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주나무의 자생지는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리 해발 250m의 계곡 동사면과 서귀포시 돈네코 계곡의 해발 350 m 계곡의 서사면 등 2개소로 확인되었다. 자생지별 개체수는 남원읍 하례리 4개체, 서귀포시 돈네코계곡 5개체 등 총 9개체에 불과하였다. 자생지는 계곡의 상록수림 하부에 바위 위 부엽토나, 습한 계곡 사면이었으며, 교목층에는 구실잣밤나무, 비쭈기나무, 황칠나무, 동백나무 등이 우점하고, 관목층에는 사스레피나무, 백량금, 산호수 등이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이었다. 분포 개체의 수고는 최소 0.4 m, 최대 1.55 m로 평균 1.5 m 였다.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줄기는 어릴 때는 사각형이지만 점차 원형으로 되며, 일정한 마디가 있고 털이 없으며, 잎은 대생하고, 혁질이며, 중륵과 측맥이 뚜렷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열매는 장과형으로 성숙 시에는 남색이며 털이 없으며, 직경 약 6-7 mm, 4-5개의 종자가 들어 있었다. 종자는 반달형이며, 3개의 홈이 지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현재의 자생지는 자연적인 요인으로서 토양유실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었으며, 교목 또는 다른 관목에 의한 피압으로 무주나무의 생장에 부적절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생지의 적절한 식생관리와 지속적인 자생지 조사 및 자생지외 보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I_{NO}$ 가 죽절초를 제외한 3종에서 여름철 낮시간에 증가하였다. 겨울철의 O-J-I-P곡선은 모든 종에서 낮시간에 다소 낮아지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psi$o/(1-$\psi$o)가 낮시간에 다소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P $I_{NO}$ , SF $I_{NO}$ , $\psi$o/(1-$\psi$o)등의 변수는 식물의 활력도를 검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irc}C$) 까지 동시에 냉각된 사실을 지시한다. 각섬석 편암내의 각섬석들은 복잡한 40Ar/39Ar 연대를 보여주며 일부가 평형연대를 보여주지만 특별한 의미 부여가 힘들다.해예방행동을 촉구하는 등의 효과도 높은 것으로 예방의학적인 유용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대두 단백질로 코팅된 golden delicious는 상온에서60일 동안 보관하였을 경우, 사과표피의 색도 변화를 현저히 지연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ontrol과 비교하여 성공적으로 사과에 코팅하였으며, 상온에서 보관하여을 때 사과의 품질을 30일 이상 연장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대두단백질 필름이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

  • PDF

Study on Resource Plants of the Mt. Geonji, Jeonju City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 Oh, Hyun-Kyung;Beon, Mu-Sup;Lim, Seong-Gu;Park, Joon-Moh;Kim, Kae-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73-82
    • /
    • 2008
  • The resource plants of the Mt. Geonji was listed 354 taxa; 92 families, 242 genera, 303 species, 48 varieties and 3 forms. 354 taxa listed consists of 205 taxa of edible plants(57.1%),234 taxa of medicinal plants(65.2%), 167 taxa of ornamental plants(46.5%) and 218 taxa of the others(60.7%).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2 taxa; Trapella sinensis var. antennifera in class IV, Iris ensata var. spontanea in Class II, 16 taxa(Salix glandulosa, Alnus hirsuta,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Mallotus japonicus, Ilex macropod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Vaccinium oldhami, Lysimachia barystachys, Fraxinus mandshuric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2 families, 23 genera, 28 species, 2 varieties, 30 taxa(Bromus unioloides, Phytolacca americana, Oenothera erythrosepala, Ipomoea hederacea var. hederacea, Aster pilosus, Erechtites hieracifoli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8.5% of all 354 taxa vascular plants. Wild plants disturbing ecosystem like Solanum carolinense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ave been increasing. So, it needs continuing control and conservation measures on the plant ecosystem.

Clonal Variation in Female Flowering of Larix leptolepis (낙엽송 클론의 암꽃 개화량 변이)

  • Kim, In-Sik;Kim, Jong-Han;Kang, Jin-Taek;Lee, Byung-Sil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1-4
    • /
    • 2008
  • The clonal variation in female flowering was studied in Larix leptolepis clone bank, consisting of 116 clones, for three years. The between-year variation was large; i.e. the percentage of flowering grafts and average number of flowering per graft were $28.4{\sim}67.2$ and $9{\sim}176$, respectively. Differences in flowering abundance among clones were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e years studied. The variance of flowering abundance among clones was increased when flowering was poor. The average of broad-sense heritability of flowering abundance was 0.52. The genetic gain(%G) was estimated at 57.4% when the upper 30% clones were selected. The clonal stability of flowering abundance was compared using average number of flowering and coefficient of variance value of each clone. The clones such as Gyeonggi 9(29), Kangwon 37(137), Chungnam 6(46), Chungnam 14(414), R11, R8 showed abundant flowering and high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