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tocopherol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1초

무산소 가열시 토코페롤의 열분해 키네틱스 (Thermal Degradation Kinetics of Tocopherols during Heating without Oxygen)

  • 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0-124
    • /
    • 2007
  •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토코페롤은 가열 온도가 높을수록, 가열 시간이 길수록 토코페롤의 분해율이 증가하였으며, 무산소 가열의 경우, 토코페롤은 산소가 있을 때 보다 덜 분해되었다. 알파-, 감마-. 델타- 토코페롤의 무산소 가열 조건을 만들기 위하여 $100{\sim}250^{\circ}C$에서 5${\sim}$60분 가열하는 동안 회화로 속으로 질소를 계속 흘려보내는 실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헥산으로 추출한 토코페롤은 두 종류의 용출 용매와 역상 ${\mu}$-Bondapak C$_{18}$-컬럼을 사용한 HPLC로 분리하였고 토코페롤의 분해 패턴과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토코페롤의 열분해 키네틱스는 온도와 시간의 함수로 분석되었고 열분해 패턴은 1차 반응으로 나타났다. 무산소 가열시 알파-, 감마-, 델타-토코페롤의 열분해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3.47, 5.85 그리고 6.76 kcal/mole 이었다.

아마인 및 아마인유의 유지자원으로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laxseed and flaxseed oil as edible oil resources)

  • 권오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47-552
    • /
    • 2016
  • 황색 아마인과 갈색 아마인의 일반성분 분석과 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전자 공여능을 측정하여 각 유지들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과 탄수화물은 37%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조지방은 35%내외로 대두의 20%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마노산 조성은 황색과 갈색 아마인의 차이는 없었으며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ne, glycine, arginine 등이었고, 지방산 조성의 경우는 두 아마인의 지방산 조성에 차이가 있으며 황색과 갈색 아마인의 linolenic acid와 oleic acid의 함량은 각각 56.60, 31.38 과 18.24, 39.16으로 나타나 갈색 아마인이 황색 아마인보단 산화 안정성이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gamma}$-토코페롤의 경우는 황색 아마인이 20.59 mg/100 g으로 갈색 아마인보단 높았지만 들깨의 30.10 mg/100 g에는 미치지 못했다. 총 폴리페놀은 황색 및 갈색 아마인이 각각 10.78, 29.88 mg/100 g으로 갈색 아마인이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전자 공여능 또한 2,500 mg%의 농도에서 갈색 아마인이 77.81%으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황색 아마인과 비교하여 갈색 아마인이 유지의 산화안정성 및 저장성이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며, 기존 참기름 및 들기름과 비교하여서도 영양학적인 측면과 산업적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증숙면 튀김 과정 중 대두유, 우지, 팜유의 가열 산화 안정성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during Frying of Steamed Noodles)

  • 최은옥;이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2
    • /
    • 1998
  • 대두유, 우지, 팜유에서 증숙면을 튀겨내면서 튀김유의 가열산화안정성을 살펴보았다. 튀김유를 $150^{\circ}C$로 가열하고 증숙면을 30분 간격으로 70초간 튀기는 도중 8시간 간격으로 튀김유를 채취하여 과산화물가와 유리지방산의 함량, 지방산 조성의 변화,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엔올을 분석하였다. 튀김과정중 대두유에서의 과산화물가 및 유리지방산가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우지와 팜유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구성 지방산의 불포화도는 대두유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팜유, 우지의 순이었다. 대두유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과정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줄어드는 대신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여 산화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리놀레산과 팔미틴산의 함량비는 대두유의 경우 튀김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튀김시간에 따라 높은 상관관계로 감소하였고 우지보다는 팜유에서 그 속도가 빨랐다. 이것은 대두유가 가열 산화에 가장 안정하고 우지, 팜유가 그 뒤를 따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토코페롤은 대두유에서 튀김과정에 의해 파괴되어 8, 16, 24시간 후 87.5, 81.1, 73.1%가 잔존하였으며 그 파괴 속도는 ${\gamma}$-토코페롤이 가장 컸고 ${\beta}-,\;{\alpha}$-토코페롤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군 우지와 팜유에 각각 34.2, 169.0 ppm 존재하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은 튀김 8시간을 지나면서 모두 파괴되었다. 따라서 높은 불포화도에도 불구하고 대두유에서 나타난 가열산화안전성은 토코페롤의 높은 잔존량에 기인하였고, 팜유가 우지보다 낮은 가열산화안전성을 보인 것은 구성 지방산의 높은 불포화도에서 일부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건강하고 젊은 남녀의 비타민 E와 비타민 C 요구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to Influence Requirements of Vitamins E and Vitamin C in Young and Healthy Men and Women)

  • 박선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729-738
    • /
    • 1998
  • Antioxidants such as vitamin C and E may play a preven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ncer and coronary heart disease. The status of vitamins C and E may be affected by lifestyle habits such as smoking , drinking, and exercise. These habits can modify the dietary requirements of vitamin C and vitamin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Korean young healthy men and women consume vitamins C and E in sufficient quantities relative to their lifestyle habit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52% of the men and none of the women were smokers. ; 84% of all subjects drank alcohol more than once a week ; and the men exercised more often than the women.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 HDL-, and LDL- cholesterol were higher in the women than in the men, but the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men than in the women. The men consumed less satuated fat than the women (p<0.05) . The daily intakes of vitamin C for the men and the women were 47.1mg and 65.6m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 the daily vitamin E intake was higher in the men (11.8mg) than women(6.9mg). The serum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of all subjects were in a normal range, and in no subjects were they below the minimum value of ranges. However, about 19% of male subjects and 10% of female subjects showed deficient status, although the mean serum vitamin C levels were normal . Lifestyle habits fo the sort mentioned above have little influence on the serum vitamin C and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The serum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fat and alcohol consumption. The serum vitamin C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gular exercise,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Meanwhile, the serum lipid persoxide concentration , the indirect index of oxidative stress, was influenced by certain variable such as body mass index ,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 alcohol consumption, energy expenditure, vitamin C intake, and serum ${\gamma}$-tocopherol concentration. Serum lipid peroxide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the number of cigarette smoked , serum triglyceride ,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conclusion , the vitamin E requirements of the subjects were met by the Recommended Daily Allowance (RDA) regardless of lifestyle habits. However, serum vitamin C concentrations showed individual variation and was below the normal ranges. Smoking and exercise influenced serum vitamin C concentration. Therefore, a reevaluation of the requirements of vitamin C relative to lifestyle habits is necessary.

  • PDF

초임계유체 공정에 의한 유효지방산이 풍부한 현미유의 추출 (Extraction of Brown Rice Oil Including Essential Fatty Acid Using Supercritical Fluid Process)

  • 김형진;신명옥;홍인권;박경애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860-865
    • /
    • 1997
  •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현미유는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tocopherol, squalene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현미겨로부터 초입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현미유를 추출하고, GC-MSD를 이용하여 조성을 분석하였다. 현미유의 추출량은 추출공정의 조작온도와 압력에 의존하였으며,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환산밀도에 따라 추출된 기름내 지방산의 조성이 변화되었다. 또한 70~80%의 기름이 4시간 정도의 조작시간내에 추출됨이 확인되었다. 특히 용매추출공정과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을 비교한 결과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에서 추출된 기름의 조성에서만 squalene이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일부 남녀 대학생에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산화 스트레스 지표와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of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in Korean Collage Students)

  • 김정신;박은주;민혜선;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443-452
    • /
    • 2010
  • Elevated plasma concentration of total homocysteine (ptHcy) is known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and oxidative stress is also commonly implicated in CVD. An association between ptHcy and oxidative stress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he study objectiv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tHcy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in 103 healthy college students (62 males and 41 females). Plasma levels of ptHcy, oxidative stress markers (conjugated diene, erythrocyte catalase, TRAP, lymphocyte DNA damage), antioxidant vitamins ($\alpha$-tocopherol, $\gamma$-tocopherol, carotenoids), and lipid parameter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were deter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 of ptH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subjects ($22.17\;{\pm}\;2.14\;{\mu}mole/L$) than in female subjects ($12.28\;{\pm}\;0.45\;{\mu}mole/L$). There was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tHcy and plasma ${\beta}$-carotene in male subjects (p $lt; 0.05), but no correlation between ptHcy and other plasma antioxidant vitamin levels in either gender. However, there were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tHcy and plasma ${\alpha}$-carotene or ${\beta}$-carotene,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tHcy and lymphocyte DNA damage. A significantly low level of ${\alpha}$-carotene or ${\beta}$-carotene was found in male subjects with elevated ptHcy (${\geq}\;15\;{\mu}mol/L$), a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plasma homocysteine. Thes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views on the association between plasma homocysteine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in humans and support the hypothesis that homocysteine promotes the oxidative environment by counteracting the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

Characterization of Lipophilic Nutraceutical Compounds in Seeds and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 Um, Seungduk;Bhandari, Shiva Ram;Kim, Nam-Hoon;Yang, Tae-Jin;Lee, Ju Kyoung;Lee, Young-Sa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231-238
    • /
    • 2013
  • Perilla frutescens, which comprises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has been cultivated traditionally in Asian countries as an edible oil, leaf vegetable, and medicinal crop. To evaluate the lipophilic phytonutrient properties of P. frutescens, we selected 54 Perilla accessions [19 landraces of var. frutescens (FL), 22 weedy type var. frutescens (FW), 9 weedy type var. crispa (CW), 2 cultivars of var. frutescens widely cultivated for seed oil (FCS), and 2 cultivars of var. frutescens cultivated as a leaf vegetable (FCL)] and analyzed their seeds and leaves for vitamin E, squalene, and phytosterols. Among the four vitamin E isomers analyzed, ${\gamma}$-tocopherol was the major form of vitamin E in seeds, whereas ${\alpha}$-tocopherol was the major form in leaves of all types of P. frutescens. The highest total vitamin E content in seeds was present in FL ($170.0mg{\cdot}kg^{-1}$), whereas that in leaves was highest in FCL ($358.1mg{\cdot}kg^{-1}$). The highest levels of squalene in seeds and leaves were in FL ($65.5mg{\cdot}kg^{-1}$) and CW ($719.3mg{\cdot}kg^{-1}$),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phytosterols, ${\beta}$-sitosterol occurred in the highest amount in both leaves and seeds of all of the crop types. Phytonutrient contents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leaves than in seeds of all crop types.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umption of leaves and seeds of Perilla crops could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as Perilla possesses considerable amounts of various lipophilic compounds.

Algae유로부터 디글리세롤 함유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중 구성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ompositional Changes of Functional Oil from Algae Oil during the Lipase-Catalyzed Production)

  • 조은진;조경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59-1063
    • /
    • 2005
  • 조류(microalgae, from Schizochytrium sp.)로부터 DHA가 풍부하고 이취가 적은 지질을 획득하고 이를 옥수수유와 기질로 이용, Lipozyme IM(from Rhizomucor miehei) 촉매하에 TAG형태로 합성된 재구성지질(SL)을 이용하여, 효소적 glycerolysis반응에 의해 DAG와 MAG함유 기능성 유지를 생성하였다. Normal-phase HPLC 분석 결과, 48시간 동안 합성 된 DAG와 MAG의 함량은 각각 33.6과 $18.7\%$이었으며, 지방산 분석 결과에서 DHA는 각각 10.7과 $8.1 mol\%$의 함량을 보였다. 합성에 있어서 2에서 48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DAG와 MAG의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반응 시간 증가에 따라 그 생성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lpha},\;{\gamma}$$\delta-tocopherol$의 총 함량은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한 미강유, 팜스테아린과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 유래 대량 제조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caled-up Low-Trans Shortening from Rice Bran Oil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with Batch Type Reactor)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8-345
    • /
    • 2009
  • 미강유(RBO), 팜스테아린(PS),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HO)를 기질로 사용하여 24 hr, $65^{\circ}C$의 조건하에 회분식 반응기(batch type reactor)에서 TLIM을 이용한 interesterification을 통해 생성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DSC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SFC 함량 변화는 commercial shortening과 low-trans shortening(LTS) 간에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고, slip melting point는 각각 35.5, $34.8^{\circ}C$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LTS는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이 C16:0(33.7 wt%), C18:1(45.7 wt%), C18:2(13.4 w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트랜스지방산은 시중 유통 쇼트닝보다 3배 이상 적은 0.5 wt%로 미량 검출되었다. Sn-2 position에 위치한 지방산 조성은 C16:0이 36.6 wt%, C18:1이 43.5 wt%로 나타났다. LTS의 주요 TAG 조성으로는 POO, POP, PLO 등으로 나타났고, 반응 전과 반응 후의 TAG 조성을 비교해 보면, OOO와 PPP의 area%는 각각 27.65에서 6.97 area%로, 11.97에서 3.36 area%로 감소한 반면 POO는 15.94에서 29.05 area%로, PLO는 6.44에서 13.05 area%로 증가되었다. ${\alpha},\;{\gamma}\;{\delta}$-Tocopherol 분석 결과 LTS의 total tocopherol은 12.37 mg/100 g, ${\gamma}$-oryzanol 함량은 0.43 mg/100 g을 나타냈으며, total phytosterol 함량은 251.38 mg/100 g으로 나타났다. Commercial shortening과 LTS의 texture analyzer를 통한 hardness 측정 결과, commercial shortening은 157.41 g, LTS는 157.00 g으로 두 시료의 hardness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LTS의 polymorphic form을 측정하기 위해 x-ray duffraction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쇼트닝이나 마가린은 ${\beta}'$형 결정일 때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데, LTS의 분석 결과 ${\beta}$형이 함께 공존하고 있지만, ${\beta}'$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아마인과 아마인유의 영양성분과 물리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Flax(Linum usitatissimum) Seeds and Oils)

  • 남진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6-525
    • /
    • 2010
  • 아마인의 유용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열과정을 통한 성분변화 및 다른 종유작물과 유지의 물리화학적 성분과 비교, 평가하였다. 조지방은 37~43%, 탄수화물은 30~35%, 조단백질은 18~23%, 조회분은 3~4% 그리고 수분 함량은 0.2~6.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식이섬유 함량은 생아마인보다 가열 처리한 볶음 아마인에서 SDF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IDF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TDF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총 식이섬유 함량은 28~31%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아마인의 주요 유용성분을 살펴본 결과, 비타민은 ${\gamma}$-tocopherol(E), 아미노산은 ag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은 생아마인보다 볶음 아마인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마인의 무기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인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물리화학적인 특징으로 요오드가, 비누화가, 산가를 분석하였으며, 브라운 아마인유는 각각 204.1 g/100 g, 193.6 mg/g, 1.59 mg/g을 나타내었으며, 골드 아마인유는 각각 203.0 g/100 g, 189.9 mg/g, 2.35 mg/g으로 조사되었다. 아마인유의 지방산 함량에서는 전체적인 구성 비율을 볼 때 ${\alpha}$-linolenic acid(ALA, C18:3n-3)가 약 55.5~56.1% 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브라운보다는 골드 아마인유의 ${\alpha}$-linolenic acid의 함량이 약간 높았다. 높은 ${\alpha}$-linolenic acid 함량은 아마인유가 오메가-3 지방산이 강화된 식품 개발에 좋은 자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약 71%로 함유되어 있으며, ${\alpha}$-linolenic acid 등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식품의 영양학적인 의의가 크며, 양질의 식용유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