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subdivis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음용 지하수중에 분포하는 저영양세균의 계통학적 해석 (Phylogenetic Analysis of Oligotrophic Bacteria Found in Potable Groundwater)

  • 김인기;;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3-298
    • /
    • 2002
  • 다양한 농도의 영양배지(nutrient broth, NB; diluted nutrient broth, DNB)를 이용하여 음용 지하수중의 세균수를 계수한 결과, 통상농도의 NB배지에 비해 저영양배지인 DNB배지에서 2~5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지하수중에는 NB배지에서는 중식이 현저히 저해되고 DNB배지에서만 중식이 가능한 저영양세균(oligotrophic bacteria)이 다수 분포하고 있음이라 판단되어 DNB배지로부터 184균주의 저영양세균을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음용수(CW, CJ )와 광천수(DPG, CJG1)에서 분리된 저영양세균 102 균주의 165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분류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세 개의 주요한 계통군: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 (49 균주), $\beta$-subdivision (50 균주), $\gamma$-subdivision (3 균주)으로 분류되었다.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에는 Afipia, Blastobacter, Bradyrhizobium, Caulobacter, Phenylobacterium, Rhizobioum, Sphingomonas가 포함되었으며, $\beta$-subdivision에는 Acidovorax, Azonexus, Ferribacterium, Janthinobacterium, Leptothrix, Polaromonas, Variovorax가 포함되었고, $\gamma$-subdivision에는 Rhodanobacter 등 다양한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 중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Found in Serpentinite Soil)

  • 이종화;;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0
    • /
    • 2003
  • 충남 홍성군 광천 사문암 토양지역의 석면폐광석(KS1)과 인근 토양(KG, KS2)은 pH8.5-9.2를 나타내어 초염기성 토양임이 확인되었다. KSI과 KS2 토양으로부터 통상농도의 alkaline 배지(AL)와 AL 배지를 $10^{-2}$로 희석한 DAL배지를 사용하여 평판법으로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AL 배지에서보다 DAL배지에서 10-10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75균주에대해 통상농도의 AL 배지에서의 중식 유무를 확인한 결과, 통상농도의 AL배지에서 증식 가능한 [AL세균군]과 AL배지에서는 증식이 저해되고 DAL 배지에서만 증식 가능한 [DAL세균군으로 크게 나누었다. DAL세균(42균주)은 $10^{-3}$ AL 배지(약 6mg C/L)에서도 증식 가능한 저영양성세균(oligotrophic bacteria)으로 사문암 토양 중 50% 이상 분포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75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해석한 결과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 (3균주), $\beta$-subdivision (7균주), $\gamma$-subdivision (2균주),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19균주)와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14 strains)의 계통군을 나타내었다. 이들 세균중 AL세균군(34균주)은 high G+C gram positive bacteria 에 속하는 streptomyces과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에 속하는 Bacillus로 구성되었다. 한편, DAL세균군(42균주)은 high G+C 및 low G+C gram positive 계통군 이외에도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Afipia와 Ralstonia,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Variovorax, proteobacteria $\beta$-subdivision에 속하는Pseudomonas로 구성되어 계통학적으로 다양한 세균임이 확인되었다.

Comparison of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and Sequencing of 16S rDNA Clones in marine sediments

  • Lee Jung-Hyun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21
    • /
    • 2002
  •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has been optimized by using in vitro model community composed of genomic DNAs of known bacterial strains and has been applied to assess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marine sediments. The specific fluorescence-labeled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s (T-RFs) between 39 and 839 base long specifying each strain were precisely measured for known bacterial strains. The addition of a co-solvent (dimethylsulfoxide or glycerol) into PCR reactions has reduced differential PCR amplification. Comparativ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pristine and polluted sediments. A complex T-RFLP pattern showing complex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obtained in the pristine sediment, whereas simple T-RFLP pattern (low bacterial diversity) was shown in polluted sediments where caged aquaculture has been conducted for several years. The results of T-RFLP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at of cloning and sequencing 16S rDNA clones from the same sediments. Sequence analysis of 16S rDNA clones (72) of the pristine sediment revealed a diverse collection of lineages, largely of the class Proteobacteria ($6\%$ alpha subdivision, $46\%$ gamma subdivision, $13\%$ delta subdivision, and $3\%$ epsilon subdivision), Nitrospina $(8\%)$, high G+C gram positive $(8\%)$, Verrucomicrobia $(7\%)$, and Planctomycetes $(6\%)$. In the contaminated sediments, 17 $(59\%)$ of the 16S rDNA clones (29) were related to Campylobacter and symbiont of Rimicaris exoculata belonging to epsilon subdivision of Proteobacteria.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d that T-RFLP analysis is a rapid and precise technique for comparative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 PDF

하수슬러지로부터 페놀분해세균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henol-degrading bacterium from the sewage sludge)

  • 김영준;이석원;한기봉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1호
    • /
    • pp.67-74
    • /
    • 2004
  • 난지도 하수처리장내 슬러지로부터 페놀을 유일한 탄소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고 동정하였다. 본 세균은 그람 음성 구균으로 운동성을 가지며 페놀의 농도가 0.05%, 0.10%, 0.15%인 배지에서 성장을 보였으며, BBL Test를 실시한 결과 유사성을 가진 세균이 나타나지 않았다. 세균의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위하여 세균의 염색체로부터 16s rDNA를 클로닝한 후 DNA 염기서열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 및 분석한 결과 본 세균은 Proteobacteria의 Gamma (${\gamma}$) Subdivision에 속한 Xanthomonas Group의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strain과 99%의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itrogen-Fixing bacterium MAGDE3, Pseudomonas cissicola strain과는 98%의 상동성을, Stenotrophomonas sp. LMG 198, Xanthomonas cucurbitae과는 97%의 상동성을 보였다.

  • PDF

Bacterial Diversity of Culturable Isolates from Seawater and a Marine Coral, Plexauridae sp., near Mun-Sum, Cheju-Island

  • Lee, Jung-Hyun;Shin, Hyun-Hee;Lee, Deuk-Soo;Kwon, Kae-Kyung;Kim, Sang-Jin;Lee, Hong-Ku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193-199
    • /
    • 1999
  • Fifty-eight strains showing different colon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various media were isolated from marine coral (Plexauridae sp.) and ambient seawater near Mun-Sum, Cheju-Island in 1998. Bacterial diversity was studies b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All isolates representing the bacterial domain included affiliates of the high G+C (59%) and los G+C (3%) subdivision of Gram positive bacteria, and the alpha (33%) and gamma (5%) subdivision of the Proteobacteria. The 16S rDNA sequence similarity of the isolates was in the 88.3 to 100% range (average, 95.6%) to reported sequence data. In the comparison of the isolates from marine coarl and ambient seawater, more diverse groups belonging to ${\alpha}$-Proteobacteria were preferentially obtained from seawater.

  • PDF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Study on the Olig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Forest Soil

  • Whang, Kyung-Soo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0년도 Proceedings of 2000 KSAM International Symposium and Spring Meeting
    • /
    • pp.150-156
    • /
    • 2000
  • Olig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forest soil showed a specific community consisting of various taxonomic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soil or aquatic habitats. Based on the cell shape, the isolat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egular rod, curved/spiral rod, irregular rod, and prosthecate bacteria. The cellular fatty acids 60 oligotrophic isolates were analyzed. The 30 fatty acids which were identified or characterized are classified. At the dendrogram based on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four clusters(I-IV) were separated at a euclidian distance of about 50. Cluster 3 and 4-a strains were containing Q-8, these strains are accommodated in the Proteobacteria gamma and beta subdivision. The chemotaxonomic profiles of the cluster 4-a strain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the genus Burkholderia. Cluster 3 wa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branched-chain fatty acids, iso-C15:0, iso-C17:1, and iso-C17:0 as the major components. These chemotaxonomy suggested the close relationship of the isolates with Xathomonas/Sterotrophomonas group. Based on the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two representative strains(MH256 and MA828) of cluster 3 showed the close relation to genera, Xathomonas/Sterotrophomonas, but were not included in these genera. These strains were even further away from core Xanthomonas, and clearly were seen to branch outside the cluster formed by the Sterotrophomonas maltophilia. MH256 and MA828 16S rDNA sequence was different enough to put new genus on a separate branch. The isolates with Q-10 were also studied. They are corresponded to the two large groups in Proteobacteria alpha subdivision. One was incorporated in the genus Bradyrhizobium cluster, which also includes Agromonas, a genus for oligotrophic bacteria. The strains of the other group showed high similarity to the genus Agrobacterium.

  • PDF

Chitinase생산 저영양세균의 분리 및 계통분류학적 특성 (Isolation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Chitinase Producing Oligotrophic Bacteria)

  • 김수진;김민영;구본성;윤상홍;여윤수;박인철;김윤지;이종화;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3-299
    • /
    • 2005
  • 인삼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총640 저영양세균 중 유일한 탄소원으로 colloidal chi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투명환을 나타낸 8균주를 선발하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chitin의 형광성 유사체인 4-methylumbelliferyl D-N,N'-diacetylchitobioside (MUF-diNAG)을 분해하였고, CR-42균주의 경우 4-methylumbelliferyl-D-glucosaminide (MUF-NAG)를 분해하였다. 이들 chitinase 생산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 5개의 주요한 계통군: proteobacteria $\gamma-subdivision$ (3균주), proteobacteria $\beta-subdivision$ (1 균주), Actinobacteriaceae (1 균주), Bacillaceae (1 균주) 그리고 Bacteriodetes (2 균주)로 분류되었다. 이들 분리균주 중 WR164와 CR18 균주는 16S rDNA염기서열의 유사도가 미배양 및 미동정 등록균주와 $97\%$ 미만으로 나타나 신규미생물로 제안할 수 있는 균주로 예상되었다. 한편 CR2와 CR75 chitinase 생산균주는 인삼 탄저 병원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생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군집의 구조분석을 통한 장기간 농약사용이 토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ng the Impacts of Long-Term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on a Soil Ecosystem by Structural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 윤병준;김성현;이동헌;오계헌;강형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0-266
    • /
    • 2003
  • 본 연구는 장기간 동안 지속적인 농약의 사용이 토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세균군집의 구조분석을 통하여 그 관련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30년 이상 매년 수시로 농약을 사용하여온 제주지역의 한 감귤원 토양과 비농지 토양에 존재하는 세균군집을 16S rRNA clonal library로부터 얻은 각 100 개 클론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기초로 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지속적으로 농약을 사용해온 감귤원 토양에서는 3개의 아문(Proteobacteria $\alpha$, $\gamma$, $\delta$)을 포함하는 Proteobacteria를 비롯한 5개 문 18개의 속 그룹에 포함되는 세균군집의 구조를 보였고,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비농지 토양에서는 4개의 아문(Proteobacteria $\alpha$, $\beta$, $\gamma$, $\delta$)을 포함하는 Proteobacteria를 비롯한 12개 문, 44개의 속 그룹에 포함되는 군집구조를 나타냈다. 감귤원 토양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세균은 Proteobacteria g group에 속하는 것으로 전체 clone의 56%로 상당한 우점현상을 나타내었고, Acidobacteria group에 속하는 균이 25%, Firmicutes group, 5%, Planctomycetes group, 2%, Proteobacteria $\alpha$$\delta$ group이 각 1%, Cyanobacteria group, 1% 등의 순서로 우점현상을 보였다. 반면, 비농지 토양에서는 Acidobacteria group에 속하는 균이 14%, Planctomycetes group, 13%, Proteobacteria $\alpha$, $\gamma$, $\delta$ group이 각각 10%, 9%, 9%, Firmicutes group, 8%, Verrucomicrobia group, 8%, Actinobacteria group, 6%, Proteobacteria $\gamma$ group, 3%, Bacteroidetes group, 3%, Gemmatimonadetes group, 3%, Cyanobacteria group이 1% 등의 순서로 장기간 농약을 사용해 온 토양에 비하여 훨씬 다양한 미생물군집의 분포빈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비료 및 농약의 사용이 토양생태계를 구성하는 세균군집의 다양성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또는 특정 미생물을 소멸 시킬 수 있음을 제시해 주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Bacillus subtilis KC-3 발효두유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the Bacillus subtilis KC-3 Fermented Soymilk in 3T3-L1 Adipocytes)

  • 김지영;정은정;문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26-1131
    • /
    • 2010
  • 3T3-L1 지방세포에서 상업용 Bacillus subtilis 균주와 순창 민속마을 전통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KC-3(KCCM 42923) 균주를 이용해 두유를 발효시키고 이를 발효하지 않는 두유와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렙틴의 분비량은 B. subtilis MYCO 10001 발효두유(F-MYCO)와 B. subtilis KC-3 발효두유(F-K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지방의 축적과도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구를 관찰한 결과 두유와 발효두유 모두에서 축적된 지방의 양이 감소했고 그중 F-KC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지방의 생성과 축적이 억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방축적의 감소가 지방 분해와도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글리세롤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는데 발효되지 않은 두유의 글리세롤 분비 정도는 control과 비슷하였으나 발효두유의 모든 군에서는 글리세롤의 분비량이 증가하였고 특히 F-KC에서 글리세롤 분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F-KC의 지방 축적 감소가 지방 생성 억 제로부터 기인된 것인지 조사하기 위하여 지방생성에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는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SREBP-1c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두유나 다른 발효두유에 비하여 F-KC에서 이들 유전자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 subtilis KC-3에 의해 발효된 두유의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중요한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SREBP-1c의 발현 억제에 기인한 것으로서 그 결과 지방의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 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KDC와 DDC의 전자공학분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lectronical engineering class in KDC and DDC)

  • 심의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179-205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electronical engineering class in KDC3 and electronical engineering class in DDC 19.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items in classification schemes of the electronical engineering fields is that KDC is classified by the vacuum tubes, electron tubes, special tubes, computers etc and DDC is classified by the microwave electronics, short-and long-wave electronics, X-ray and gamma-ray electronics, computers etc. 2. There is a blank in KDC and there are three blanks in DDC of the electronical engineering fields, but the total classification items number is much more in DDC than in KDC. This means that DDC is more classified than in the special classification items. 3. Classification items over 70% in the total classification items of computer fields in KDC, are classified a classification items of the short-and long-wave electronics in DDC. 4. There is a blank of computer fields in KDC and there are three blanks of computer fields in DDC, but the total classification items are many eighteen items. This means that DDC is more classified than KDC. 5. The sections of computers in DDC were established the 621.38195 classification item and the subsection of analogue computers in DDC were established the 621.381957 classification item and the subsection of digital computer in DDC were established the 621.381958 classification item. As we have seen, because of the development in technology and the subdivision of knowledge, the number of items is increased, and the terminology also become simplified and specified in the field of electronic engineering in KDC and DD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