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Amylase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1초

Herpetosiphon geysericola 균주의 Amylase 생성 (Production of Amylases from Herpetosiphon geysericola)

  • 전영수;서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1
    • /
    • 1985
  • 퇴비 숙성초기에 고온성 cellulose 분해이용균으로 분리된 Herpetosiphon geysericola CUM 317균주는 전분분해 효소인 ${\alpha}-amylase,\;{\beta}-amylase$ 및 glucoamylase를 모두 생성한다. 이 균을 사용하여 그 배양조건을 달리하여 각 amylase의 생성관계를 서로 비교한바 50℃의 밀기울 고체배지나 $40^{\circ}C$의 액체배지상에서 ${\beta}-amylase$는 배양초기 10시간만에 최대의 생성력가를 보였는 반면,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는 30 내지 40시간 정도의 배양말기에 최대를 이루었다. Polypeptone을 함유한 액체배지에 탄소원의 첨가나 무기질소원의 첨가는 전반적으로 amylase들의 생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나 cellulose에 의해서 glucoamylase의 경우 150% 정도 증가되었다. 액체배지에 $CuSO_4$를 첨가해 줌으로서 ${\alpha}-amylase$만의 생성증가 효과를 얻었고 $CdSO_4$에 의하여 ${\beta}-amylase$만의 생성증가가 있었으며, 그리고 $CaCl_2$에 의하여 glucoamylase만의 증가효과가 있은 반면, 상대적으로 ${\beta}-amylase$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났다. 이들 amylase들의 최적 효소생성 pH는 7.5였으며, 최적온도는 ${\alpha}-amylase$와 glucoamylase의 경우 $40^{\circ}C$였고 ${\beta}-amylase$$30^{\circ}C$였다.

  • PDF

대두 및 고구마 ${\beta}-Amylase$의 비교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Soybean and Sweet Potato ${\beta}-Amylases$)

  • 김영휘;김준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05-310
    • /
    • 1987
  • 대두 및 고구마로부터 얻은 ${\beta}-Amylase$의 단백질 구조를 CD Spectra, 항체반응, 화학적 절단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고구마 ${\beta}-Amylase$는 4개의 동일한 subunit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두 ${\beta}-Amylase$는 Subunit구조를 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두 효소는 변성시킨 상태에서 SDS-gel전기영동, gel filtration한 결과 분자량은 동일하였다. 그리고 대두 및 고구마 ${\beta}-Amylase$는 CD spectra상 유사한 2차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방향족 측쇄가 상이함을 나타냈다. 한편 cyteine 잔기 및 methionine 잔기의 화학적 절단한 결과 두 효소는 동일한 아미노산 배일을 나타냈다. 또한 면역학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두 효소는 유사성이 인정되었다. 한편 대두 ${\beta}-Amylase$에 대한 항체는 고구마 ${\beta}-Amylase$의 활성을 억제하였으나 밀, 보리, 무우 ${\beta}-Amylase$에 대해서는 활성 억제가 나타나진 않았다.

  • PDF

발아조건별 당화용 엿기름의 분해효소 활성도 (Activities of Hydrolytic Enzymes in Barley Malts Prepared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 목철균;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24-329
    • /
    • 1999
  • 엿기름의 적정 제조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아조건를 달리하여 제조한 엿기름의 ${\beta}-glucanase$, ${\alpha}-amylase$${\beta}-amylase$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보리는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beta}-glucanase$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세포벽의 주요 구성다당류인 ${\beta}-glucan$이 분해되어 감소하였다. ${\beta}-Glucanase$ 활성은 $15^{\circ}C$의 발아온도에 비해 $18^{\circ}C$$21^{\circ}C$에서 발아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발아 6일경에는 최고값에 달하였다. 6조보리인 올보리의 ${\beta}-glucanase$ 활성이 2조보리인 진양보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올보리의 ${\alpha}-amylase$ 활성 역시 진양보리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6일간의 발아일수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발아보리의 ${\alpha}-amylase$ 활성은 발아온도 $15^{\circ}C$에서 가장 낮았고 $18^{\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1^{\circ}C$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beta}-Amylase$는 원맥에서 상당한 활성이 있었으며 발아과정중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5^{\circ}C$에 비해 $18^{\circ}C$$21^{\circ}C$에서 발아일수에 따른 ${\beta}-amylase$ 활성의 증가폭이 컸으며 발아 5일 이후부터는 효소활성도에 있어서 크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엿기름의 당화력(diastatic power)은 올보리가 진양보리에 비해 $1.4{\sim}1.9$배 정도 높았으며 $18^{\circ}C$에서 $5{\sim}6$일의 발아가 당화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발아조건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떡노화에 대한 전분분해효소류의 효과 (Effect of Starch Degradation Enzymes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s)

  • 송재철;박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62-1269
    • /
    • 2003
  • 효소류의 떡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DSC 열특성의 검토에서 호화개시온도는 GP(glucoamylase+pullulanase)로 처리한 경우가 71.1$^{\circ}C$로 가장 낮고 그 다음이 $\beta$-amylase, $\alpha$-amylase 순이었다. 또 호화최대온도는 효소 처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서 대부분 낮은 편이었으며 그 중 GP처리한 것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떡의 용융 enthalpy는 GP, $\beta$-amylase, $\alpha$-amylase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GP의 용융 enthalpy값이 다른 경우보다 많이 낮게 나타났다. 재결정도는 GP의 값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vrami exponent(n)는 0.90 ∼ 1.20 범위에 있었으며 노화속도의 시간상수 1/k은 GP, $\beta$-amylase, $\alpha$-amylase, Control의 순이었다. 효소류를 첨가한 떡의 조직감은 대조구에 비해서 차이를 보였으며 종류별 효과는 GP, $\beta$-, $\alpha$-amylase의 순으로 나타났다. L* 값은 $\beta$-amylase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고 a* 값은 효소간 5% 수준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b* 값의 경우는 GP는 청색 방향으로, $\beta$-, $\alpha$-amylase는 반대인 황색 방향으로 변하였다. 효소 처리한 떡의 관능검사는 효소 처리한 것이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어 좋은 관능성을 보여주었다.

과요오드산 산화전분 변형에 의한 아밀라아제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Amylolytic Enzymes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61-564
    • /
    • 1998
  • The stabilizatio of amaylolytic enzyme such as $\beta$-amylase of barley, $\beta$-amylase of wheat, $\beta$-amylase of sweet potato, $\alpha$-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lpha$-amylase of Aspergillus sp. and $\alpha$-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was attained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The pH stability of modified enzyme was increased at pH 9 for $\beta$-amylase of sweet potato, pH 3~5 and 8~11 for $\beta$-amylase of barley, pH 2~3 and 7~12 for $\beta$-amylase of wheat and pH 6 for $\alpha$-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Thermal stability increased 17.6% for $\alpha$-amylase of Aspergillus sp. at 6$0^{\circ}C$ for 10min, 30% for $\alpha$-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t 10$0^{\circ}C$ for 5min and 4.5% for $\alpha$-amylase of sweet potato at 6$0^{\circ}C$ for 10min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enzymes.

  • PDF

A Gene Encoding $\beta$-amylase from Saprolegnia parasitica and Its Express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Kim, Hee-Ok;Park, Jeong-Nam;Shin, Dong-Jun;Lee, HwangHee Blaise;Chun, Soon-Bai;Bai,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529-533
    • /
    • 2001
  • The ${\beta}$-Amylase cDNA fragment from the oomcete Saprolegnia parasitica was clo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using degenerate oligonucleotide primers derived from conserved ${\beta}$-amylase sequences. The 5'and 3'regions of the $\beta$-amylase gene were amplified using the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system. It consisted of an open reading frame of 1,350 bp for a protein of 450 amino acids. Comparison between the genomic and cDNA sequences revealed that the intron was not present in the coding region.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beta}$-amylase gene had a 97% similarity to the ${\beta}$-amylase of Saprolegnia ferax, followed by 41% similarity to those of Arabidopsis thaliana, Hordeum vulgare, and Zea mays. The ${\beta}$-amylase gene was also express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by placing it under the control of the alcohol dehydrogenase gene (ADC1) promoter.

  • PDF

보리와 밀 맥아 Amylases의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Amylases from Barley and Wheat Malt)

  • 김영휘;조정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31
    • /
    • 1991
  • 보리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의 대한 찹쌀과 멥쌀 전분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리와 밀의 발아 과정에서 ATP 함량은 발아 2일 후에 급격하게 증가하여 5일 후에는 감소하였으며, 건조 중량은 3일 후부터 감소하였다. 보리맥아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 모두 6일째에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의 경우, 보리맥아에 존재하는 ${\alph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보리 맥아의 경우 멥쌀 전분에서 밀 맥아의 경우 멥쌀과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beta}-amylase$의 경우는 보리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 대해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밀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질 효율성은 보리 맥아에서 추출한 ${\bet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 PDF

Herpetosiphon geysericola 균주의 Amylase 부분정제 및 특성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mylases from Herpetosiphon geysericola)

  • 전영수;홍용기;서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8-135
    • /
    • 1987
  • 고온성 cellulose 분해이용세균인 Herpetosiphon geysericola CUM 317 균주가 생성하는 ${\alpha}-amylase$, ${\beta}-amylase$ 및 glucoamylase를 황산암모늄 염석,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CM-cellulose chromatography 방법으로 각각 부분정제하였다. 이들 ${\alpha}-amylase$, ${\beta}-amylase$ 및 glucoamylase의 감자 전분에 대한 Km치는 $2.31mg/m{\ell}$, $7.69mg/m{\ell}$$8.33mg/m{\ell}$였으며, 각 분자량은 84,000 dalton, 76,000 dalton 및 80,000 dalton의 크기로 나타났다.

  • PDF

Aspergillus oryzae 의 alpha 및 beta-amylase 활성에 미치는 gibberellin 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gibberellin on alpha-and beta-amylase activities of Aspergillus oryzae)

  • 정기택;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8-74
    • /
    • 1968
  • Effects of gibberellin on alpha and beta-amylase activities of Aspergillus orygae var. microsporus have been studied.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growth of mycelium and dry weight of surface ped was accelerated by 0, 0001% gibberellin solution, spores of Aspergillus oryzae var. microsporus. were preveously soaked for three days. 2. Adding to culture media with 0, 0015% gibberellin, alpha-amylase was increased 50% much as beta-Amylase was as much as 50%.

  • PDF

대두 $\beta$-amylase Isozyme의 분리 및 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Soybean $\beta$-amylase Isozymes)

  • 지의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9-160
    • /
    • 1990
  • The soybean $\beta$-amylase ($\alpha$-1, 4-glucan maltohydrolase, EC 3.2.1.2) is composed of seven isozymes(I', I, II, III, IV, V and VI), and isozyme II and IV are the main components among these. The Purification of $\beta$-amylase isozymes from soybean whey were performed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CM-Sephadex C-50 column chromatography, DEAE-Sephadex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The resulted purity of $\beta$-amylase was throughly confirmed by electrophoresis, and then determined its isoelectric point and molecular weigh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Five active fractions of soybean p-amylase were derived on CM-Sephadex C-50 column chromatography. 2. Seven active bands of p-amylase isozymes were detected by isoelectric focusing gel electrophoresis, and their isoelectric points(I' to VI) were 5.07, 5.15, 5.25, 5.40, 5.55, 5.70 and 5.93, respectively. 3. Isozyme II and IV were main components of soybean $\beta$-amylase. 4. The molecular weights of both isozyme II and IV were determined to be 56,000 daltons by the result of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5. Km values of main isozyme II & IV for amylopectin were determined to be 2.25 mg/ml, which suggest the same function of each isozy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