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Amylase

검색결과 968건 처리시간 0.021초

전통 장류 유래 유산균을 이용한 콩 발효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

  • 이선영;서보영;엄정선;최혜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7-195
    • /
    • 2017
  • 전통장류로부터 분리 된 효소 활성 및 probiotic효과가 우수한 유산균을 접종하여 제조된 콩 발효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유산균을 접종한 콩 발효물이 $4.10{\times}10^9-7.75{\times}10^9CFU/mL$으로 나타났다. 유산균수를 측정 결과 유산균을 접종한 콩 발효물은 $2.85{\times}10^9-4.35{\times}10^9CFU/mL$으로 높게 나타났다. ${\alpha}-Amylase$ 활성 측정 결과 I13과 JSA22를 접종한 콩 발효물은 $1.05{\pm}0.91$, $3.13{\pm}1.39unit/mL$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JSB22는 $12.56{\pm}1.39unit/mL$으로 유산균 접종 콩 발효물 중 가장 높았다. Protease 활성 측정 결과, control이 $333.13{\pm}17.68unit/mL$으로 가장 높았으며, 유산균을 접종한 콩 발효물은 JSB22를 접종한 콩 발효물이 $166.67{\pm}2.37unit/mL$으로 높았다.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 접종 콩 발효물 중 JSB22가 $1.23{\pm}0.035%$로 가장 높았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 또한 JSB22가 $94.52{\pm}3.86mg%$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함량을 측정한 결과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leusine 순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tic acid, oxalic acid가 많이 측정되었다. 향기분석 측정 결과 총 39종(ester류 2종, ketose 5종, alcohol 7종, hydrocarbons 14종, heterocyclic compounds 3종, acid 4종, other 5종)이 검출되었다. 세 가지 균주에서 공통적으로 benzene(81.43-98.54 ppm)과 acetic acid, ethyl ester(44.79-56.74 ppm)가 많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장류 유래 기능성 우수 유산균주를 이용한 콩발효물의 기초적 품질특성에 관한 내용으로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관련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유산균 이용 생물전환에 의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생성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가 기능성 콩 발효소재 개발의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장류 품질개선 기능성 스타터 개발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말화한 홍국 Sourdough를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s Added with Red Koji Rice Sourdough Powder)

  • 이재훈;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33-34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홍국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sourdough starter를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하고, 발효시간과 홍국의 첨가량에 따른 sourdough starter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를 분말화하고, 제빵에 사용하여 상업용 sourdough powder와 비교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Sourdough starter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alpha}$-amylase의 활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eta}$-amylase의 활성은 홍국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urdough bread 특유의 맛을 나타나게 하는 유기산은 홍국을 첨가하지 않은 SD1보다 홍국을 10%, 20%, 40% 첨가한 SD2${\sim}$4가 높게 나타났으며, 홍국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상업용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VPB, 홍국을 첨가하지 않은 SD1의 분말과 홍국을 10%, 20%, 40% 첨가한 SD2${\sim}$4의 분말을 첨가한 SPB1${\sim}$4의 mixograph 측정 결과 peak time과 peak value는 SPB1과 SPB2는 밀가루만을 이용한 WWB와 가장 유사하였다. 반죽의 발효과정 동안 pH와 적정산도를 측정한 결과 VPB의 반죽이 가장 낮은 pH를 나타내었으며, 적정산도는 WWB가 가장 낮고, VPB와 SPB1${\sim}$4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제품의 비용적은 WWB, SPB1, SPB2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굽기 손실도 비용적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VPB와 SPB군의 L값과 a값은 유사하였으며, WWB에 비하여 홍국 첨가량이 많은 sourdough powder를 사용한 bread일수록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 측정 결과 VPB는 경도,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 부서짐성 등의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PB1과 SPB2는 WWB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3일간 저장한 후 경도를 측정한 결과 VPB의 경도가 가장 높았으며, WWB, SPB $1{\sim}3$은 서로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p<0.05). 탄력성 정도는 VPB가 가장 높게, 신맛의 정도와 이취의 정도는 WWB가 가장 낮게, 신맛의 정도는 SPB2, 이취의 정도는 SPB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VPB가 가장 낮으며, SPB2와 SPB3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sourdough starter의 제조 시 홍국을 10% 첨가하여 제조하고 분말화하여 bread에 적용할 때 상업용 sourdough powder를 첨가한 bread와 일반적인 이스트 bread보다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이 김치의 과숙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for the Delayed Ripening Kimchi Preparation)

  • 문영자;박선;성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4
    • /
    • 2003
  •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오미자 추출물에 함유된 유기산을 분석하여 오미자 추출물 및 유기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변화와 미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시중에 유통되는 김치에서 분리한 CS6은 김치의 숙성과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주에 대해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 저해농도는 62.5mg/$m\ell$이었고, 액체배지의 경우 0.5$\mu\textrm{g}$/$m\ell$ 첨가시 미생물의 증식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2.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산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0.5% 이하 첨가시에 색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0.4% 첨가시에 맛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오미자 ethanol 추출물에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oxalic acid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 중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인 유기산은 succinic acid였으며, 이의 항균활성은 오미자 ethanol 추출물과 비슷한 저해효과를 보여주었다. 4. Succinic acid를 첨가한 김치의 경우, 미생물의 생육저해로 김치의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으로 밝혀졌고, 배양말기까지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였고, 역시 0.4% 이하 첨가시 맛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5.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은 $\beta$-amylase에 대해서는 낮은 저해율을 보였지만 $\alpha$-amylase, glucoamlase에 대해서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조직의 연화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오미자 ethanol 추출물의 Avicelase 저해효과는 CMCase에 대한 저해효과보다 더 강했으며, 과숙김치에서의 경도 유지효과가 기대된다. 7. 연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효소로 생각되는 polygalacturon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오미자 ethanol 추출물 25$\mu\textrm{g}$/$m\ell$ 첨가시에 66.7%의 저해율을 보였고, 30$\mu\textrm{g}$/$m\ell$ 첨가시에는 92.6%의 저해율을 보였으나, pectinesterase의 경우 15~30$\mu\textrm{g}$/$m\ell$ 첨가시에 15~20%의 낮은 저해율을 보였다.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Gamma Radiation-Induced Submergence Tolerant Line in Rice

  • Lee In-Sok;Kim Dong-Sub;hua Jin;Kang Si-Yong;Song Hi-Sup;Lee Sang-Jae;Lim Yong-Pyo;Lee Young-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173-179
    • /
    • 2003
  • The combination of a radiation technique with an in vitro culture system was appiled to develop submergence tolerant rice. The 3,000 $M_3$ lines with an average 80 percent of fertile grain were utilized for the selection of submergence tolerance. Salt tolerant lines were selected based on high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root number after submergence in plastic pots. Of the lines tested, the tolerant line (403-6) showed a dramatic difference in morphological traits under submergence compared to its original variety (Dongjinbyeo). It was suggested that genetic variations between the original variety and $M_3$-403-6 did exist. The levels of $\alpha$-amyl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tant line compared to its original variety. The mutant with greater tolerance showed less electrolyte leakage indicating a greater membrane integrity and better survival. Also, this line was much more resistant to a salt stress of $1.25\%$ than the original variety. The proline level of the line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variet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hibition of growth caused by stress and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plant cell were discussed.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현미의 품종별 가공 처리에 따른 품질 특성 비교 (Effect of Processing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 이종구;임무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13-618
    • /
    • 2013
  • 아밀로오스 함량의 차이가 있는 품종별 현미를 대상으로 frying 처리와 파보일링 처리를 통해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현미의 용융 흡열 곡선을 관찰한 결과 amylose 함량이 증가할수록 호화 엔탈피가 감소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amylograph 측정결과 현미 중 효소의 불활성화를 위해 $HgCl_2$ 처리와 전분입자의 팽윤정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latinization temperature는 Ilpumbyeo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oami가 maximum viscosity와 breakdown 값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X-선 회절도 분석 결과 일품벼 백미의 경우 결정형이 소실된 V형, 일품벼 현미의 경우 B형의 결정체에 가까운 것이 관찰되었다. 가공처리에 따른 주사전자현미경 측정결과 파보일링 처리 후 튀긴 경우 amylose 함량이 높을수록 표면이 둥근 형태를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침 후 파보일링 처리 후 튀긴 경우가 수침처리만 한 후 튀긴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강도와 경도 측정결과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밀의 배합비율과 수분첨가율에 따른 벼누룩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Byeo-Nuruk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Wheat and the Addition Rate of Moisture)

  • 김민성;전진아;정석태;최지호;최한석;여수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97-904
    • /
    • 2011
  • For set up the processing method of Byeo-Nuruk,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yeo-Nuruk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of rice and wheat, as well as the addition rate of moisture. After 12 hours of incubation, the temperature of Nuruk increased dramatically and reached a maxium temperature at 36 hours. After 36 hours, the temperature decreased gradually and was maintained at about $31{\sim}38^{\circ}C$. The ranges of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Byeo-Nuruk were 4.85 to 7.42 and 1.0 to 2.3, respectively. A higher content of wheat ratio in Byeo-Nuruk, was associated with higher enzyme activities of ${\alpha}$-amylase, glucoamylase, and acidic-protease. Further, at a 70% wheat ratio, a 25% addition rate of moisture showed the highest enzyme activity. In the mixture ratio between rice and wheat, the 50:50 and 30:70 treatments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microorganisms.

Preliminary Results of Extraction, Separation and Quantitation of Arsenic Species in Food and Dietary Supplements by HPLC-ICP-MS

  • Nam, Sang-Ho;Cheng, John;Mindak, William R.;Capar, Stephen 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903-908
    • /
    • 2006
  • Various extraction procedures were investigated using reference materials and samples to evaluate extractio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was used to measure total arsenic and to quantitate arsenic species when coupled to an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Arsenic species were extracted from rice flour (NIST SRM 1568a) with water/methanol mixtures using 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 (ASE). Total arsenic extraction efficiency ranged from 42 to 64%, for water and various methanol concentrations. From spinach (NIST SRM 1570), freeze-dried apple, and rice flour (NIST SRM 1568a), arsenic species were extracted with trifluoroacetic acid (TFA) at 100 ${^{\circ}C}$. Total arsenic extraction efficiency was 90% for spinach, 75% for freeze-dried apple, and 83% for rice flour. Enzymatic extraction with alpha-amylase and sonication resulted in extraction efficiency of 104% for rice flour, 98% for freeze-dried apple, and 7% for spinach. Chromatograms of arsenic species extracted by the optimum extraction methods were obtained, and the species were quantified. Arsenite (As(III)), arsenate (As(V)), dimethylarsinic acid (DMA), and monomethylarsonic acid (MMA) were found in the apple sample, and DMA and As(V) in the rice flour sample. As(V) and MMA were found in three herbal dietary supplement samples.

사과박 식이섬유분말을 첨가한 가래떡의 노화억제효과 (Retarded Retrogradation Effect of Garaetteok with Apple Pomace Dietary Fiber Powder)

  • 박영경;김희선;박혜영;한귀정;김명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0-408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tarded degree of Garaetteok retrogradation added with different ratios 0-15% (w/w) of apple pomace dietary fiber powder (DFP). SEM (${\times}$500) showed that air cell size on the Garaetteok surface increased as DFP content increased, whereas control had a compact structure without air cells. The degrees of Garaetteok retrogradation after 3 days at 4 and 25$^{\circ}C$ by ${\alpha}$-amylase iodine method were 57.44 and 41.55% for contro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ose of 15% DFP Garaetteok were 28.38 and 15.05%, respectively. Enthalpy changes (${\Delta}$E) by DSC of control, 10 and 20% DFP Garaetteok after 3 days of storage at 4$^{\circ}C$ were 4.41, 4.17, and 3.80 J/g, respectively, whereas those at 25$^{\circ}C$ were 2.14, 1.04, and 0.72 J/g. Hardness of 15% DFP Garaetteok was around 48%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fter 3 days of storage at 25$^{\circ}C$. Increasing DFP content from 0 to 15% decreased L color value from 86.2 to 55.1,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from -1.9 to 8.9 and from 5.3 to 20.8, respectively. In a sensory intensity test, hardnesses of 15% DEP Garaetteo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1 and 0.1%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fter production and followed by storage for 3 days at 4$^{\circ}C$, respectively.

Global Absolute Quantitation of Proteins in Human Whole Saliva by nLC-QIMS-TOF Employing MSE

  • Cho, Ha Ra;Jin, Sung Giu;Park, Jun Seo;Kim, Han Sol;Choi, Yong Seok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8권4호
    • /
    • pp.114-118
    • /
    • 2017
  • While saliva can be considered as good biological fluid for monitoring biomarkers due to many advantages including its communication with blood and the non-invasive nature during its sampling, its applications to that purpose is still limited. As a part of efforts to expand the applications of saliva to the protein biomarker research, we carried out global absolute quantitation of proteins in human whole saliva (WS) by bottom-up proteomics techniques mainly based on nLC-Q-IMS-TOF employing $MS^E$. From the analyses of a pooled WS sample collected from 22 healthy Korean volunteers, 93 proteins ranging from $5.89{\times}10^1ng/mL$ (immunoglobulin heavy chain) to $1.59{\times}10^4ng/mL$ (${\alpha}-amylase$ 1) were confirmed. For the validation of the present results, human serum albumin in the same sample was quantitated by ELISA and its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from the nLC-Q-IMS-TOF study.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results from individual approaches ($1.18{\times}10^4{\pm}0.03{\times}10^4 ng/mL$ from nLC-Q-IMS-TOF experiments vs. $1.23{\times}10^4{\pm}0.07{\times}10^4ng/mL$ from ELISA experiments, n=3, p=0.309).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global absolute quantitation of proteins in human whole saliva and information from the present study can be widely used as the first level reference for the discovery of new protein biomarkers from human whole saliva as well as for quantitative applications of human whole saliva proteins.

공장식 쌈장의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Commercial Ssamjang during Storage)

  • 김용국;김성주;한민수;장영일;장규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9-396
    • /
    • 2005
  • 공장식 쌈장 제조의 주원료인 된장과 고추장 반제품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함량과 아미노산성질소는 증가하였으며, pH는 낮아졌다. NaCl과 총질소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alpha}$-amylase역가는 숙성 10일째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pretense의 활성은 숙성초기에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쌈장의 저장과정 중 수분함량은 경시적인 증감양상을 보였으며, 된장의 숙성기간이 긴 시험구가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pH는 시험구별로 점차 낮아지고 적정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된장과 고추장 반제품의 숙성일수, 살균온도, 저장온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조단백질의 함량 변화는 일정하지 않았으며 된장의 함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아미노산질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고추장 반제품과 된장의 숙성기간, 된장 함량 및 저장온도보다는 살균온도에 의해 아미노산성질소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