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4)_2SO_4$

검색결과 1,074건 처리시간 0.036초

서울과 고산의 PM2.5 수분함량 계절 특성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M2.5 Water Content at Seoul and Gosan, Korea)

  • 이형민;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4-102
    • /
    • 2010
  • Water content of $PM_{2.5}$ (particles in the atmosphere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or equal to a nominal $2.5{\mu}m$) was estimated by using a gas/aerosol equilibrium model, SCAPE2, for the particles collected at Seoul and Gosan, Korea. From measu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les,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Gosan is the proportions of total ammonia (t-$NH_3$=gas phase $NH_3$+particle phase ${NH_4}^+$), total nitric acid (t-$HNO_3$=gas phase $HNO_3$+particle phase ${NO_3}^-$) and sulfuric acid ($H_2SO_4$). Even though both sites have sufficient t-$NH_3$ to neutralize acidic species such as $H_2SO_4$, t-$HNO_3$, and t-HCl (total chloric acid=gas phase HCl+particle phase $Cl^-$), equivalent fraction of t-$NH_3$ and t-$HNO_3$ are higher at Seoul and $H_2SO_4$ is higher at Gosan. Based on the modeling result, it is identified that the $PM_{2.5}$ at Seoul is more hygroscopic than Gosan if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are the same. To reduce water content of $PM_{2.5}$, and thus, mass concentration, control measures for ammonia and nitrate reduction are needed for Seoul, and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is required for Gosan.

임지이용이 계류의 수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A Change of the Stream Water Quality by Forest Land Use)

  • 마호섭;구소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43-48
    • /
    • 2002
  • 순수산림으로 존재하고 있는 소나무림과 밤나무재배 등으로 임지를 이용하고 있는 밤나무림 그리고 밤나무 재배 후의 휴경지 등 3개 조사구(소나무, 밤나무I, 밤나무II임분)에서 비점오염원으로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계류수를 조사하여 임지이용에 따른 수질변화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 임분의 계류수 pH는 소나무임분(pH 6.59)>밤나무II임분(pH 6.53)>밤나무I임분(pH 6.47)계류수 순으로 나타났다. 2. 전기전도도는 밤나무I임분>소나무임분>밤나무II임분 계류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양이온은 세 임분의 계류수 모두 $Ca^{2+}$, $Na^{2+}$, $Mg^{2+}$, $K^+$, ${NH_4}^+$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음이온은 소나무임분과 밤나무II 임분 계류수에서는 ${SO_4}^{2-}$, $Cl^-$, ${NO_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밤나무I 임분 계류수에서는 ${NO_3}^-$, ${SO_4}^{2-}$, $Cl^-$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5. 소나무, 밤나무II임분 계류수는 pH, ${NH_4}^+$, ${NO_3}^-$, $Cl^-$, ${SO_4}^{2-}$이 먹는 물 수질기준 범위내에 있었다. 그러나 밤나무I임분 계류수에서 5항목 중 ${NO_3}^-$는 먹는 물 수질기준을 넘어서는 범위에 있어 임지이용에 따른 하류수질의 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류지역에서 오염원 차단을 위한 수질정화시설 등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강화에서의 PM2.5 농도 경향 (The Trend of PM2.5 Concentration in Kanghwa)

  • 김희강;최민규;여현구;강충민;임종억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5-146
    • /
    • 2000
  • 미세입자는 폐포에 침착율이 높고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와 같은 독성이 강한 유기물질과 SO$_2$와 NOx 등의 무기가스들의 입자로의 변환으로 생성된 $H_2SO_4$, $NH_4HSO_4$${(NH_4)}_3H{(SO_4)}_2$ 등의 산성 황산화물 등과 같은 산성오염물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산성오염물질은 기침 및 호흡기 기능 저하와 같은 인체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강병욱, 1998). 또한 대기에서 시정장애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입자는 0.1~1.0$\mu\textrm{m}$인 미세입자이며 그들중 황산염, 질산염 및 탄소함유성분들이 시정장애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중략)

  • PDF

Aspergillus oryzae에 의한 $\beta$-Mannanase 생산배지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beta$-Mannan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oryzae)

  • 오덕근;김종화이태규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65-571
    • /
    • 1996
  • Aspergillus oryzae A Tee 2114를 사용하여 $\beta$-mannanase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배지성분의 최적 화를 수행하였다. 탄소원인 locust bean gum의 농 도를 달리하여 발효를 수행하였다. Locust bean gum의 농도가 20 g/L 이상일 때는 초기의 점도가 높아 혼합이 거의 되지 않아 초기에 $\beta$-mannanase 의 생산이 지 연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Locust bean g gum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beta$-mannanase의 역가와 균체농도가 비례척으로 증가하였다. Locust bean gum 10 g/L 배지에서 여러 가지 질소원이 $\beta$-mann anas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B-man n nanase의 역가는 무기질소원 중에서는 $(NH-4)_2SO_4$가 좋았으며 유기질소원 중에서는 malt extract가 가장 좋았다. 여러 가지 무기엽의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 KH,PO.가 $\beta$-mannanase의 생산에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배지최적화 결과 최적배지 로 locust bean gum 10 giLt malt extract 3 g/L, $(NH-4)_2SO_4 2 g/L, KH_2PO_4$ 10 g/L이 결정되었으며 이때 $\beta$mannanase의 역가는 거의 6 unit/mL에 접 근하였다. 최적배지를 사용하여 발효조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발효조의 흔합효과로 배양초기에 나타 나는 $\beta$-mannanase 생산 지 연현상을 감소시 킬 수 있었고 배양시간도 단축할 수 있었다. 27시간 배양 한 후 $\beta$mannanase의 역가 9.7 unit/mL와 비 $\beta$-mannanase의 역가 1.9 unit/mg-cell-을- 얻었다. 이 때, 생산성은 0.36 unit/mL. h이었다.

  • PDF

제주-대한해협 해역에서 에어로졸의 화학적 특성과 침적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 of Aerosols in the Cheju-Korea Straits)

  • 김석현;이현미;문덕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297-310
    • /
    • 2022
  • To underst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erosols in the Cheju-Korea Strait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ocean by deposition, aerosol samples were collected on board R/V Eardo from November 1997 to May 1999.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l, NO3-, non-sea-salt (nss)-SO42-, and NH4+ in aerosols were 2.19, 5.59, 6.16 and 2.08 ㎍ m-3, respectively. The Al concentration in the high yellow dust period was about 100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non-yellow dust period. The concentration ratio of NO3-/nss-SO42- ranged between 0.47 and 1.5, indicating that the aerosols in the Cheju-Korea Straits are under the effects of NOx and SOx emitted from China, Korea and Japan. The equivalent concentration ratio of [NH4+]/[nss-SO42-+ NO3-] with the average of 0.58±0.29 indicates that nss-SO42- and NO3- are not neutralized by NH4+. A high activity concentration of 210Pb with 1.13-1.23 mBq m-3 was observed during the high yellow dust period, indicating that 210Pb is easily adsorbed in the yellow dust originating from the continent of Asia. The distribution of 7Be and NH4+ concentrations showed a strong negative linear correlation during the low yellow dust period, April 1998. The total mineral dust flux in the Cheju-Korea Straits was estimated to be 1.21×106 tons yr-1, accounting for about 12% of the annual sediment discharge via the Nakdong River. The combined annual deposition of NH4+ and NO3- was 0.103 mole N m-2 yr-1 was estimated to support 4% of the annual primary productivity in the East China Sea.

사문암(Serpentinite)을 이용한 광물탄산화: Mg 추출과 pH swing 및 탄산화 (Mineral Carbonation of Serpentinite: Extraction, pH swing, and Carbonation)

  • 이승우;원혜인;최병영;채수천;방준환;박권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5-217
    • /
    • 2017
  • 간접 탄산화(indirect method) 및 양이온 공급원으로 사문암(serpentinite)을 이용하여 광물탄산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와 사문암 내 알칼리 토금속(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화 반응을 통해 고순도의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을 합성할 수 있었다. 마그네슘 추출을 위해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였고 Mg 추출률 향상을 위해 황산암모늄 농도, 반응온도 및 사문암과 추출 용매의 비(고액비) 등 여러 반응 변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2 M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여 $300^{\circ}C$ 반응온도에서 고액비(5 g/66 mL) 실험을 진행한 경우 약 80 wt% 이상의 Mg를 얻을 수 있었다. Mg 추출률은 추출 용매 농도 및 반응온도와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사문암의 Mg 추출 과정에서 얻어진 암모니아($NH_3$)는 회수하여 탄산화 과정에서 필요한 pH 복원제(pH swing agent)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약 1.78 M 암모니아를 회수할 수 있었고 지구화학 모델링을 통해 사문암의 Mg 추출 과정의 핵심 단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해안지역에서 입자상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Regions)

  • 최민규;조기철;강충민;여현구;김희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4-123
    • /
    • 1998
  • Particulate matters(less than 10 $\mu$m, PM10) at Kanghwa and Yangyang, which are located in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al regions in Korea, were measured in using low volume air sampler from December 1995 to November 1996,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rom the view point of background level.(and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particulate matters.) The particulate matters were analyzed for major water soluble ionic components(SO$_{4}^{2-}$, NO$_{3}^{-}$, Cl$^{-}$, Na$^{+}$, NH$_{4}^{+}$, K$^{+}$, Mg$^{2+}$ and Ca$^{2+}$) by ion chromatography. Mass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s were $48.77 \pm 22.45 \mug/m^{3}$ at Kanghwa and $54.04 \pm 32.98 \mug/m^{3}$ at Yangyang and SO$_{4}^{2-}$, NO$_{3}^{-}$ and NH$_{4}^{+}$ contributed largely to water soluble ionic components. nss(non sea salt)-SO$_{4}^{2-}$, contributed more than 95 percentage to SO$_{4}^{2-}$ and nss-K$^{+}$ and nss-Ca$^{2+}$ also contributed high percentages to K$^{+}$ and Ca$^{2+}$. It was supposed that most SO$_{4}^{2-}$, was originated from anthropogenic sources, and K$^{+}$ and Ca$^{+}$ were mainty originated from soil.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uggested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correlation between air pollutan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PDF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가 Polyacrylamide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uble Salts and Their Concentrations on Water Absorption of Polyacrylamide Hydrogel)

  • 왕현진;최종명;이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6-202
    • /
    • 2005
  • 본 연구는 상토의 보수성 증가를 위하여 혼합되는 acrylamide 계통 고흡수성 수지인 Stocksorb C(STSB)의 수분 흡수 특성,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 STSB가 침지된 외부용액속의 무기염 농도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STSB의 수분 흡수량은 증류수에 침지한 경우 약 180 $mL{\cdot}g^{-1}$였다. 1가의 양이온을 포함한 염인 $KH_2PO_4,\;KNO_3$ 또는 $(NH_4)_2SO_4$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수량이 저하되었으나 세 종류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a(NO_3)_2{\cdot}4H_2O$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속에 STSB를 침지시킨 경우 수분흡수능 저하가 심하여 20 $meq{\cdot}L^{-1}Ca(NO_3)_2{\cdot}4H_2O$ 용액에서 약 25 $mL{\cdot}g^{-1}$ 수분을 흡수하였다. $Mg(NO_3)_2{\cdot}6H_2O$$MgSO_4{\cdot}7H_2O$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분 흡수량이 심하게 저하하였고, 1가의 양이온이 포함된 염을 용해시킨 용액에서보다 그 정도가 심하였다. 그러나 요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용액에서의 수분 흡수량은 저하되지 않았다. 침지전 Hoagland용액의 농도가 높거나,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STSB를 침지시킨 용액에서의 $K^+$$NH_4^+-N$의 농도가 점차 높아졌다. Hoagland 용액의 희석배수와 무관하게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부용액의 $NO_3^--N,\;H_2PO_4^-$$SO_4^{-2}$ 농도가 약간 상승하였고, 24시간 경과 후 각각 5,300, 250 및 1,500 $mg{\cdot}L^{-1}$ 농도로 분석되었다.

Levan으로부터 Levanbio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배양 (Isolation and Cultivation of Microorganism Producing Levanbiose from Levan)

  • 이태호;강은정;강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41-447
    • /
    • 1998
  • A bacterial strain No. 43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as a levan-assimiating microorganism producing an extracellular levanase and hydrolying levan to levanbiose. According to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the strain was idenified as Pseudomonas sp. No. 43. The optimum culura medium was composed of 10g levan, 5g(NH4)2SO4, 3g NH4Cl, 3g polypepton, 1g K2HPO4, 0.5gMgSO4.7H2O, and 0.2g MnCl2.4H2O per liter. The cultivation for levanase was carried out in pH 7.0 at 4$0^{\circ}C$ for 28hr. The reaction product was a kind of oligosaccharide and it was purified by chilled ethanol precipitation and gel filtration for evalluation of degree of polymerization (DP). The purified product was determined as levanbiose of MW 342 and DP2 by HPLC and FAB-MS.

  • PDF

Study of the Molecular Reorientation in Ammonium Sulfate by Neutron Scattering

  • Kim, Huhn-J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06-321
    • /
    • 1972
  • 중성자산란을 이용하여 (NH$_4$)$_2$SO$_4$에 있어서 분자의 재배향(reorientation)을 조사하였다. T=300$^{\circ}$K의 측정에 대해서는 여러산란각도에서 분리된 준탄성산란스펙트럼과 구조인자(form-factor)를 SKOLD 이론에 의한 네개의 재배향모형과 비교하여 NH$_4$이온이 $\tau$$_{c}$=2.0$\times$$10^{-11}$ sec인 3중회전 4축(3-fold four axes) 또는 2중회전 3축재배향을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tau$$_{c}$의 온도의존성을 100$^{\circ}$K-413$^{\circ}$K에 걸쳐 조사했으며, 고온상에 대해서는 복합스책트럼의 폭을 NMR이완시간측정에 얻은 결론과 비교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중성자산란이 고체에 있어서 분자재배향의 상세한 조사에 유력한 한 방법임을 보여 주었으며 따라서 이 방법의 응용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 한 예로서 NH$_4$I(상 1)에 대해서 측정한 탄성구조인자와 자유회전근사에서 얻은 이론치를 비교하여 NH$_4$이온이 8면체형포텐샬 (Potential)에서 $\tau$$_{c}$$\leq$$10^{-12}$ sec인 재배향을 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분자재배향이 비탄성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간단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