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주평론"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4초

1919년 중국의 문단 - 『신청년』 그룹을 중심으로 - (Chinese Literary Circles of 1919 -The New Youth Literary Coterie)

  • 이보경
    • 개념과 소통
    • /
    • 제23호
    • /
    • pp.69-103
    • /
    • 2019
  • 본고는 1919년 중국의 문단을 『신청년』 그룹의 동향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변동을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 『신청년』을 둘러싸고 『매주평론』과 『신조』 사이의 협력과 긴장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되짚어 보았다. 『신청년』 그룹이 『매주평론』을 창간한 것은 우승열패의 생물학적 진화론이 아니라 '상호부조'를 실천하는 '신기원'에 대한 소망과 연관되어 있었다. 『신조』의 창간은 베이징대학 학생들이 주도했지만, 그것은 동시에 『신청년』 편집인들의 후속 세대 양성 프로젝트이기도 했다. 『신조』의 편집인들은 '밤 고양이'와 '화롯불'로 자처한다. 밤새 학술에 정진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선배 세대와의 차이를 강조한 것이다. 『신청년』, 『매주평론』, 『신조』는 단단한 트라이앵글을 형성하여 구파 문인들을 신기원의 '희생양'으로 삼아 담론 권력을 장악하는 데 성공한다. 그런데 5·4운동 직후 이들은 결별의 길을 걸어간다. 체포된 천두슈를 대신한 후스는 『매주평론』의방향을 '문제' 중심으로 바꾸고자 하고, 『신조』의 독서회 성격을 강화하여 '학술' 에 집중하도록 견인한다. 반면 『신청년』은 '마르크스주의 특집호'를 필두로 정치적으로 보다 급진화된 모습을 보여 준다. 이 결과 1917년 상하이에서 베이징으로 옮겨 오면서 시작된 동인지시대는 막을 내리게 된다. 중국 문단은 이후 학술지향과 정치 지향이라는 두 개의 길로 나뉜다. 마지막으로 1919년 『신청년』 그룹의 행위를 추동한 '수치'의 '정동'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그것은 공교롭게도조선의 독립운동에 대한 반응과도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