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석환 (2011), 조직성과지표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4), 97-124.
|
2 |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2015),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Handbook.
|
3 |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2015), GCS Evaluation Framework.
|
4 |
HM Government (2016), Government Communications Plan 2016/17.
|
5 |
Lewis, J. M. (2015), The Politics and Consequenc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Policy and Society, 34(1), 1-12.
DOI
|
6 |
Pandey, S. K.&Garnett, J. L. (2006), Exploring Public Sector Communication Performance: Testing a Model and Drawing Implication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1), 37-51.
DOI
|
7 |
강병준 (2010), e-거버넌스 시대 공무원 의사사통의 활성화 정책, 정책개발연구, 10(1), 91-117.
|
8 |
강영철 (2009), 공공부문 성과지표의 규범적 지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4), 121-141.
|
9 |
김태진.이재성.김건위 (2002), 공공기관 홈페이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평가연구 경향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33, 159-173.
|
10 |
나태준.김성준.김용운 (2004), 새 술을 헌 포대에?: 서울시의 전략기획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3(3), 63-88.
|
11 |
송건섭 (2013), 통합된 지방정부의 성과평가모델과 소통시스템 구축, 한국조직학회보, 10(3), 31-63.
|
12 |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2015), An illustration of how to use the GCS Evaluation framework
|
13 |
송건섭 (2017), 주민소통을 위한 지방의회의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 한국지방자치연구, 18(4), 55-83.
|
14 |
제갈돈 (2013),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 성과, 및 만족도의 관계: 기대불일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7(1), 69-94.
|
15 |
이청림.이유재 (2012),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 모형의 개발과 적용, 마케팅연구, 27(4), 69-99.
|
16 |
인천광역시 (2013), 소통,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 소통지표개발 연구자료.
|
17 |
임동진.윤수재 (2010),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실태 및 만족요인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3), 83-114.
|
18 |
조경식.이양수 (2008), 조직간 의사소통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42(1), 229-252.
|
19 |
채은경.이창길(2017). 인천시 소통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
20 |
황성수 (2012), 스마트 정부 시대에 맞는 참여적 거버넌스 모색: Social Media를 활용한 정책홍보와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5(4), 29-46.
|
21 |
황성욱.문빛.이종혁 (2014), 지방자치단체 공공소통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8(5), 255-284.
|
22 |
국무조정실 (2015a),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
23 |
이용식(2013). 원활한 시정운영을 위한 소통지표 개발. 인천발전연구원.
|
24 |
이종현.한경석 (2012), 행정기관의 효율적인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1), 73-95.
|
25 |
국무조정실 (2015b), 성과지표 개발.관리 매뉴얼.
|
26 |
기획재정부 (2012), 재정사업 성과지표 개발 매뉴얼.
|
27 |
안전행정부 (2013), 정부3.0 성과관리 방안 연구.
|
28 |
한국행정연구원 (2009),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 시스템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29 |
한국행정연구원 (2015a), 평가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성과측정 매뉴얼 개발 연구.
|
30 |
한국행정연구원 (2015b), 주요국 정부업무평가제도 동향연구.
|
31 |
한국행정연구원 (2016), 정부업무평가정보 활용 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