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468/jksmee.2014.28.1.1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orrection of Error for the Gearwheel-involved Problem  

Roh, Eun Hwan (Department of Mathematics,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eong, Sang Tae (Sacheon Yongsan Elementary School)
Kim, Min Jeong (Sacheon Jeongdong Elementary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v.28, no.1, 2014 , pp. 1-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ecently a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re emphasized. Nevertheless, the students solved the problem associated with a given type of problem solving using mechanical algorithms. With this algorithm, It's hard to achieve the goal that are recently emphasized. Furthermore It may be formed error or misconception. However, consistent errors have positive aspects to identify of the current cognitive state of the learner an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ause of the error. Thu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rror happening in the process of solving gearwheel-involved problem and to propose the correct teaching method. The result of student's error analysis, the student tends to solve the gear-wheel problem with proportional expression only. And the student did not check for the proportional expression whether they are right or wrong. This may be occurred by textbook and curriculum which suggests only best possible conditioned problems. This paper close with implications on the discussion and revision of the concept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sequence related to the gearwheel-involved problem as well as methodological suggested of textbook.
Keywords
Gearwheel-involved problem; Problem solving; Error analysis; Teaching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 (2011c). 수학 교과서 5-2. 서울: 두산동아 (주)
2 강지형․김수환․라병소,․박성택․이의원․이정재․정은실 (1999).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수학교육. 서울: 동명사.
3 교육과학기술부 (2011d). 수학 교과서 6-1. 서울: (주) 천재교육
4 교육과학기술부 (2011e). 수학 교과서 6-2. 서울: (주) 천재교육
5 교육과학기술부 (2011f). 수학 익힘책 6-1. 서울: (주) 천재교육
6 교육과학기술부 (2011g). 수학 지도서 4-1. 서울: (주) 천재교육
7 교육과학기술부 (2011h). 수학 지도서 5-2. 서울: 두산동아 (주)
8 교육과학기술부 (2011i). 수학 지도서 6-1. 서울: (주) 천재교육
9 교육과학기술부 (2011j). 수학 지도서 6-2. 서울: (주) 천재교육
10 교육과학기술부 (2011k).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11-361 호.
11 구미애 (1999). 초등 수학 교과의 혼합 연산을 적용하는 문제 만들기에서 나타나는 오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부미 (2006). 수학적 오 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지연․박영희 (2012).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의 타당성 검토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3), 265-28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4 김선옥 (2002). 초등학교 학생의 수학 오류 분석 및 교정을 통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 방안 : 초등학교 3-가 단계를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수미 (2003). 수학과 오류의 진단과 처방에 관한 교사용 자료 개발 연구. 학교수학, 5(2), 209-221.   과학기술학회마을
16 김현주 (2006).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방정숙․김재화 (2006).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소수 계산 오류와 선행지식 간의 연결 관계 분석 및 지도방안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3), 275-294.
18 성창근․이광호 (2012). 비례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3), 331-352.
19 송순희․오정연 (1997).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수학교육>, 36(1), 11-22.   과학기술학회마을
20 유익승․한인기 (2011). 대수식의 기하학적 해석을 통한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 25(2), 451-472.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엄선영․권혁진 (2011). 학업성취도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및 전략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3), 537-556.   과학기술학회마을
22 이기석․이두호 (2010). 무리함수의 가역성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0), 709-730.   과학기술학회마을
23 이종희 (2002).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발달과 인식론적 장애. 교과교육학연구, 6(2), 23-36.
24 전영배․노은환․최정숙․김대의․정의창․정찬식․김창수 (2009).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545-562.   과학기술학회마을
25 정은실 (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과학기술학회마을
26 주홍연․권혁진 (2012).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시각화의 구성 요소 및 활용에 관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4(1), 1-28.
27 Behr, M., Harel, G., Post, T., & Lesh, R. (1992). Rational number, ratio, and proportion. In D.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296-333. NY: Macmillan.
28 Clayton, G. A. Wilson, B, Scott, K. B. & Dorough, L. (1990). Successful Mathematics Teaching for Middle-School. Washington, D. C.: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ED 316-432.
29 Margaret S. Smith. & Mary Kay Stein. (2011).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방정숙 역 (2013).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서울: 경문사.
3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metics. Reston, VA: Author.
31 Tirosh, D. (2000). Enhancing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Conceptions: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1), 5-25.   DOI   ScienceOn
32 전영배․노은환․김대의․정찬식․김창수․강정기․정상태 (2010).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부등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 543-562.   과학기술학회마을
33 교육과학기술부 (2011b). 수학 교과서 4-1. 서울: (주) 천재교육
34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수학 교과서 3-2. 서울: 두산동아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