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지연, 김영환, 김영배(2014).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사례. 교육공학연구, 30(2), 163-191.
|
2 |
임송미(2015). Bloom의 완전 학습 모형을 활용한 제품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 |
장은주(2015).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 적용방안 연구. 교원교육, 31(2), 199-217.
|
4 |
박희옥, 박만구(2012). 비와 비율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5(2), 159-170.
|
5 |
김남익, 전보애, 최정임(2014).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0(3), 467-492.
|
6 |
김상홍(2015). 플립드 러닝을 위한 유러닝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7 |
김수현, 나귀수(2008).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연구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8(3), 309-329.
|
8 |
김태규(2020). "원격수업 부실 이어져…학생.학부모.교사 모두 불만족", 투데이신문, 9월 9일.
|
9 |
박상준(2015). 거꾸로 교실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 의 연구-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지, 22(2), 1-21.
|
10 |
박에스더, 박지현(2015). 플립러닝에 대한 메타연구: 성공적 적용요건과 향후 연구방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1), 169-178.
|
11 |
방진하, 이지현(2014).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299-319.
|
12 |
유상미(2015). Flipped Learning 열풍 속에서 본 수업가치의 재탐색과 EBS 역할. 미디어와 교육, 5(1), 13-36.
|
13 |
최정수, 전우천(2016). 플립드 러닝이 초등학생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6(4), 201-210.
|
14 |
이준범(2021). "초등 온라인 수업에 '타요' 동영상…교육부는 뭐하나?", MBC뉴스, 3월 8일.
|
15 |
이희숙, 강신천, 김창석(2015).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지, 18(2), 45-57.
|
16 |
지영춘(2006). EBS 교육방송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수학 8-가 내용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17 |
최지현(2017). 국어과 교육에서 플립러닝(거꾸로수업)의 실행조건, 국어교육연구, 40, 253-281.
|
18 |
하지훈(2017). 거꾸로 수업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ALP 모형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 |
한국교육개발원(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교육평가체제연구(III): 수학과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
20 |
한국교육방송공사(2018). 한국교육방송공사 2018년도 연지. 한국교육방송공사: 서울.
|
21 |
한석희(2016). 초중고 영어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한 거꾸로 교실 현장 지원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2 |
홍기칠(2016).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교육방법연구, 28(1), 125-149.
DOI
|
23 |
Bergmann, J. & Sams, A. (2012). Flipped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
24 |
Ash, K. (2012). Educators evaluate 'Flipped Classrooms': benefits and drawbacks seen in replacing lectures with on-demand video, Education week, 32(2), 6-8.
|
25 |
이민경(2014). 새로운 교실 만들기의 가능성-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교육비평, Vol33. 201-212.
|
26 |
Bates, S. & Galloway, R. (2012). The inverted classroom in a large enrollment introductory physics course: a case study. Higher Education Academy.
|
27 |
최창우(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 내용지도법. 서울: 경문사.
|
28 |
정순모, 박혜연, 김응환(2014).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1), 123-148.
|
29 |
진용성, 박태호(2018). 국어과 교수학습에서 거꾸로 수업의 실천 방안. 4세대 모형의 구안과 기존의 국어 수업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53(4), 103-140.
DOI
|
30 |
최욱(2017). 거꾸로학습(Flipped learning)의 디딤수업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연구, 교육공학연구, 33(1), 1-34.
|
31 |
Son, K. (2018). The effects of Visual Representations on Learning Proportional Expressions and Distribution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1(4), 445-459.
DOI
|
32 |
Milman, N. B. (2012). The flipped classroom strategy: What is it and how can it best be used. Distance Learning. 9(3), 85-87.
|
33 |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NCTM
|
34 |
NCTM. (1994). Understanding rational numbers and proportions. pp.3-4.
|
35 |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
36 |
Reeve, J., & Tseng, M. (2011). Agency as a fourth aspect of student engagement during learning activiti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6(4), 257-267.
DOI
|
37 |
이희숙, 김창석, 허서정(2015).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1), 113-126.
DOI
|
38 |
김미란(2021). "학교는 태블릿을 줬지만 아이는 배울 수 없었다", 더스쿠프, 7월 7일.
|
39 |
김민주(2018). EBS강좌를 활용한 거꾸로 학습이 중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0 |
이동엽(2013). 플립드 러닝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12), 83-92.
DOI
|
41 |
임정훈, 김상홍(2016).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32(4), 809-836.
|
42 |
박슬아, 오영열(2018).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초등수학교육, 21(1), 215-240.
|
43 |
Strayer, J. (2007).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flip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 comparison of learning activity in a traditional classroom and a flip classroom that used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
44 |
김영배(2015).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지원시스템 설계 원리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45 |
김예람(2021). "새해 '원격수업 플랫폼.콘텐츠 다양화'시급", 한국교육신문, 1월 4일.
|
46 |
마상렬(2016). EBSmath의 동영상 콘텐츠 활용이 학생들의 수학 흥미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 분석: 중1 기하영역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7 |
박경은, 이상구(2015). 지역아동센터학생 대상 EBS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사례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9(4), 589-623.
|
48 |
김선희, 김경희(2009). 교육과정에 근거한 TIMSS 2007 공개 추이문항의 정답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99-120.
|
49 |
고민서, 문광민, 신혜림(2020). "원격수업엔 유튜브 링크만 잔뜩…학부모 87%…애들 방치수준", 매일경제, 10월 9일.
|
50 |
Bergland, J. (2020). BLENDED, FLIPPED, AND REMOTE LEARNING: WHAT'S THE DIFFERENCE? [Blog post]. Retrieved from https://blog.tcea.org/blended-flipped-and-remote-learning
|
51 |
김소라(2021). "선생님 원격수업 어땠나요…올해 교원평가 재개…진통 예고", 서울신문, 4월 22일.
|
52 |
Siegelman, A. (2021). Blended Learning, Hybrid Learning, The Flipped Course: What's the difference? [Blog post]. Retrieved from https://teaching.temple.edu/edvice-exchange/2019/11/blended-hybrid-and-flipped-courses-what%E2%80%99s-difference
|
53 |
박세미(2021). "부실 원격수업에…교실 불신 댓글 5배 늘었다", 조선일보, 1월 30일.
|
54 |
Bergmann, J. [Jon Bergmann]. (2014, Jul 1). Jon Bergmann-Flipped Learning [Video]. https://youtu.be/BHM5ypLCiBA
|
55 |
양현수, 김민경(2018). 수학일지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에 미치는 영향: 3학년 수와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7(3), 247-270.
|
56 |
고민석(2015). Flipped Learning을 위해 제작한 과학학습 동영상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사용한 시각화구성 전략 탐색-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31-245.
DOI
|
57 |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별책 1]. 서울: 교육부.
|
58 |
이희명, 엄우용(2016). 교육용 SNS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수업 효과 분석: 초등학교 수학과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1). 109-138.
|
59 |
박태정, 차현진(2015). 거꾸로 교실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교사 인식 조사. 컴퓨터교육학회지, 18(1), 81-97.
|
60 |
신영준, 하지훈(2016).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 69.
|
61 |
이동엽, 박주현(2016). 플립드 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8), 1-9.
DOI
|
62 |
이상원(2021). "화상강의 잘 못한다고 무능 교사? … 원격수업 플랫폼", 경북매일, 3월 10일.
|
63 |
이시라(2021). "접속이 안돼요…'먹통' 원격수업 플랫폼", 경북매일, 3월 1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