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8.1253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Korean and Chinese Advertisement Expressions and Brand Images -Focused on Laneige and Mamonde Cosmetic Magazine Advertisements-  

Rhee, Young-Sun (Dept.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 Soon-Hwa (Dept.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Zhang, Jing Jing (Xi'an Eurasi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4, no.8, 2010 , pp. 1253-12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n in-depth study on the differences of cosmetics advertising and brand representation between Korean companies and Chinese companies. In addition, it studies the preferences of cosmetics consumption in Korea and China. To study these topics, two major methods are applied to magazine advertising analysis and consumer research. Analysis objects are the magazine advertisements of the Korean brands Mamond and Laneige, which entered the China market more than 5 years ago; the 64 advertisements are evenly split between Koreans and Chinese. The objects of the survey are 470 females between the ages 20 and 30 (237 from Korea and 233 from Chin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advertisements use intense appeal in which the types of advertisement appeal are highly preferred. Second, ordinary models are highly preferred. Second, (on the nationality of the models) Chinese and Korean models are preferred in comparison to western models. Third, (as shown in the survey) Koreans and Chinese preferred magazine advertisements with headlines and copies. Four, blue colors are commonly used in the advertisements; however, the survey shows that the Chinese consumers prefer gray colors. Furthermore, from this study, there is a significant dynamic between the brand image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e-purchase intention.
Keywords
Advertisement expression; Brand images; Consumers satisfaction; Intention of re-purchas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문진. (1989). 상표이미지 선호도와 패션광고전략에 관한 연구-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수경. (1995). 의류상품의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이정황. (2000).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광고의 전략과 그 사회 문화적 의미에 대하여-기호학적 분석을 토대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Rajagopal. (2006). Brand excellence: Measuring the impact of advertising and brand personality on buying decisions. Measuring Business Excellence, 10(3), 56-65.   DOI   ScienceOn
5 최정선, 전중옥. (2008). 화장품 광고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7), 35-45.
6 손정란. (2005). 문화 배경에 따른 광고표현 비교연구: 한국과 중국의 화장품 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서은혜, 김주덕. (2009). 중국 20대 여성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2), 578-586.
8 Aaker, D. A., & Alexander, L. B. (1993). Brand equity & advertising.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
9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The Free Press.
10 홍혜경. (1983). 광고의 소구방법에 관항 연구- 여성잡지의 이성적 소구 대 감성적 소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주영. (1994). 1990년대 초반 한국 여성잡지 화장품 광고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영호. (2000). 수입화장품 광고이미지가 여성의 미의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문주향, 박명희. (2007). 여성잡지에 나타난 화장품 광고분석. 한국미용학회지, 13(3), 1467-1475.
14 김희숙. (2002). 청소년잡지에 나타난 화장품 광고의 소구유형 및 소비가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492-502.
15 주해선. (2001). 2000년대 우리나라 화장품 잡지 광고의 표현유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김흥규, 김유경, 최원주. (2001). 광고를 통한 브랜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브랜드 개성과 광고표현요소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2(3), 143-170.
17 Williamson, J. (1998). Decoding advertisements. London: Marion Boyars.
18 정혜정. (2005). 화장품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Tse, D., Belk, R., & Zhou, N. (1989). Becoming a consumer society: A longitudinal and cross-cultural content analysis of print ads from Hong Kong. The republic of China, and Taiwa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march), 457-472.   DOI   ScienceOn
20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onsu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January), 1-22.
21 이미현, 임숙자. (1997). 의류광고의 효과적인 TV 광고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5), 880-888.
22 Haley, R., Staffaroni, J., & Fox, A. (1994). The missing measures of copy tes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4(3), 46-60.
23 정상길. (2002). 새로운 패션머천다이징. 서울: 섬유저널.
24 김주호, 손주영. (2008).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중국과 한국의 여대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7), 1104-1115.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25 김윤. (2002). 여성잡지에 나타난 화장품 광고의 소비가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화장품 광고소구유형 및 소비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8(1), 49-59.
26 Shimp, T. A. (1981). Attitude to ward the adasa mediator of consumer brand choice. Journal of Advertising, 10(2), 9-15.   DOI
27 Reichheld, F. F. (1996). The loyality effect: The hidden force behind growth profits and lasting valu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8 이영주. (1985). 여성의류 광고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9 김유경. (2000). 브랜드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제품특성과 소비자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49, 29-53.
30 Dyer, G. (1982). Advertising as communication. London: Methuen.
31 윤지혜. (2005). 내용분석을 통한 화장품 광고메시지에 관한 연구-여성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Doyle, P. (1990). Building successful brands: The strategy option.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7(2), 26-29.
33 Cobb-Walgren, C. J., Ruble, C. A., & Donthu, N. (1995). Brand equity,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Journal of Advertising, 24(3), 25-40.   DOI   ScienceOn
34 이두희. (2002). 광고론. 서울:박영사.
35 안광호, 유창조. (1999). 광고원론. 서울: 법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