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8.1242

The Effect of Fashion Leadership on Word of Mouth Communications on the Internet  

Shin, Hyun-Ky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Konkuk University)
Hwang, Jin-Sook (Apparel Design, Konk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4, no.8, 2010 , pp. 1242-125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fashion leadership on Word of Mouth (WOM) communications on the Internet. This research categorizes consumers into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and compares the groups regarding the WOM behavior (degrees of WOM acceptance and delivery as well as the motivations of WOM acceptance and delive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5 males and females. Major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study were factor analysis, ANOVA, Scheff$\acute{e}$'s 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categorized consumers into fiv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dual leaders, fashion innovators, fashion opin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fashion laggar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leadership groups over WOM behavior (acceptance and delivery) and monthly clothing expenditures. Fashion dual leaders had a higher degree of WOM acceptance with motivation of fashio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compliance, and they had a higher degree of WOM delivery through motivation of economic compensation, pleasure, and advice. In addition, they had a higher expenditure for clothing products. Fashion innovators had a lower degree of compliance in WOM acceptance. Fashion opinion leaders had a higher degree of WOM delivery through motivation from advice. Fashion followers delivered WOM through motivation of economic compensation and advice. Fashion laggards had a lower degree of WOM acceptance and delivery.
Keywords
Fashion leadership; Online word of mouth; WOM delivery; WOM accepta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구양숙. (1999). TV 홈쇼핑의 시장전략과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도선재. (2006).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 관여도, 사전지식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박하철. (2007). 온라인 오피니언 리더의 탐색과 온라인 구전활동 특성 - 구전전달동기, 제품 지식 관련 특성, 대인관계 특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인터넷몰, 커뮤니티형 블로그로 진화. (2007, 11. 14). 전자신문. 자료검색일 2008, 10. 26, 자료출처 http://www.etnews.co.kr
5 조윤정. (2000).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혜택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강서경. (2003). 인터넷상의 구전(word-of-mouth)이 소비자 제품 평가와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송소진, 황진숙. (2007). 온라인 패션구전에 따른 패션제품 관여와 인터넷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3), 410-419.
8 이영희. (2003, 7). 여성고객의 입소문 커뮤니케이션 특징과 전략적 이해. 마케팅공화국 세미나 발표, 서울.
9 양진화. (2006).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유행선 도력 및 의복관심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인터넷 쇼핑몰 "소비자를 마케터로 활용한다". (2008, 5. 21). 머니투데이. 자료검색일 2008, 11. 5, 자료출처 http://stock.moneytoday.co.kr
11 댓글마케팅. (2007, 7. 23). 파이낸셜뉴스. 자료검색일 2008, 11. 5, 자료출처 http://www.fnnews.com
12 송명화, 황진숙. (2008). 유행선도력에 따른 대행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활동. 한국의류학회지, 32(2), 179-189.
13 송미란. (2007). 온라인 구전의 확산에 구전자 특성이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서모정. (2008).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제품 지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Workman, J. E., & Johnson, K. K. (1993). Fashion opinion leadership, fashion innovativeness and need for varie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3), 60-64.   DOI
16 백승록. (2004).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구전활동에 대한 소비자 태도유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문정일. (2002). 개인의 네트워크 특성이 구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N.Y.: Macmillan.
19 인터넷몰, 지식검색 등 '포털형 서비스'로 진화. (2008, 8. 4). 전자신문. 자료검색일 2008, 10. 26, 자료출처 http://www.etnews.co.kr
20 박옥환, 이정순. (1993). 유행정보원 이용도, 의류광고 선호도와 유행선도력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1), 53-61.   과학기술학회마을
21 김정희. (1987). 유행선도력에 따른 의복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김미주, 황의록. (2004).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구전활동에 관한 연구. 2004년 한국유통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5
23 김선화, 이영선. (2001). 유행선도력과 쇼핑 관련 특성과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1), 162-172.
24 유형열. (2001). On-line 구전효과 연구-정보의 방향성과 객관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2008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2008). 한국인터넷진흥원. 자료검색일 2008, 11. 5, 자료출처 http://www.kisa.or.kr
26 이화연, 이은영. (1989). 유행선도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3(1), 67-77.   과학기술학회마을
27 정지아. (1998). 여대생의 유행선도력에 따른 자아이미지 및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전진연. (2007). 인터넷 쇼핑몰에 나타난 온라인 상품평에 관한 연구-의복관여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이화연. (1987). 유행선도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전경숙. (2000). 남자 중.고등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정보원 활용 및 의류구매활동과의 관계연구(제2보). 복식, 50(7),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