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07.31.3.351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and Changes of the Jeogori (Part II) -Focused on Goryeo Era-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1, no.3, 2007 , pp. 351-36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Most of the proceeded research of jogories in the Goryeo era are about the total clothing system of the men and women's dress and not many have studied of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jeogories specific structur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igin and the alteration of a git, gil, seop and gorem which forms a jeogori after the Unified Shilla era. The range of this study os from 918 to 1392, Goryeo era and 80 pieces 7 portraits and 5 Buddhist relics were for references.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at git, gil, seop, somae and gorem forms the Goryeo era's jogori. Second, as the length of the joegori got shorter then the past, the ryeongem also got shorter and changed to an oatgit. Third, as most of the opening side of the jeogori started to fix on the right. Forth, an extra cloth attached on the gil developes a seep that be originates in Unified Shilla when get shoter. Fifth, there were wide and very long sleeves that came all the way down to the hand, narrow sleeves and long sleeves. Sixth, Goryeo era's jeogori had ribbons and cloth buttons to fix the form instead of a belt.
Keywords
Jeogori; Goryeo dynasty; Oat git; Seop; Gor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민길자. (2000). 한국 전통직물사 연구. 서울: 도서출판 한림원
2 백영자, 최해율. (2004).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경춘사
3 채금석. (2005). 저고리 세부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복식, 55(1), 113-128
4 채금석. (2006). 우리저고리 2000연.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5 한국미술연구소. (1996). 고려시대의 불화-해설편. 서울: 시공사
6 김동욱. (1979).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7 Chae, K. S., Ku, J. Y., & Cho, J. Y. (2005). A study on the specific structures and the form of the Goguryo costume. Proceedings II of the 2005 Seoul International Clothing & Textiles Conference, Seoul Korea, 902
8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9 심봉금. (2002). 밀양고법리벽화.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
10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5). 거창의 역사와 문화 II. 경남.서울: 거창군.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1 박경자. (1990). 한국전통복식의 특징연구-일반복식의 구성과 착장을 중심으로. 생활문화연구4,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1-40
12 성보문화재연구원. (1997).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유물의. 양산: 성보문화재연구원
13 이경자. (1978). 木偶像의 服飾考察. 복식, 2, 23-34
14 임영미. (1996). 한국의 복식문화(I). 서울: 경춘사
15 채금석. (1987). 佛畵 속에표현된 服飾의 構造와 形態 硏究-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채금석. (1995) 불화속에 표현된 복식의 구조와 형태연구. 복식, 23, 5-23
17 김문자. (1998). 高麗時代 여인들의 偏.養의 형태에 관한 硏究, 복식 38, 73-82
18 백영자. (1993).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19 문명대. (1997). 한국의 미 7-고려불화. 서울: 중앙일보사
20 杉本正年. (1979). 東洋服裝史論攷-古代編. 동경: 文化出版社
21 허흥식, 남권희, 김영숙, 권순정. (1999). 高麗의 佛腹藏과 染織. 서울:계몽사
22 김문숙, 이순원. (2001). 고려시대 일반복식의 명칭에 관한 연구. 복식, 51(2), 65-78
23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교문사
24 성보문화재단. (1991). 1302년 아미타불복장유물의 조사연구. 충남: 온양민속박물관편
25 이경자. (2003) 우리옷의 傳統 樣式.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6 유희경. (1974).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7 이춘계. (1995). 正倉院의 복식과 그 제작국. 서울: 일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