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소연 (2017).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을 위한 공간계획 연구- 평택시 서정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47, 117-128.
|
2 |
경찰청 (2017). 2016년 경찰범죄통계. 경찰청.
|
3 |
김용국, 조영진 (2017). 범죄로부터 안전한 다세대.다가구주택 계획기준 제안.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연구보고서.
|
4 |
김재민, 배경자, 남상오, 한진영 (2012). 여성이 안전한 공공원룸주택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
5 |
노지현, 박부미 (2017). CPTED 지표를 활용한 지역의 범죄 불안감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6(4), 91-104.
|
6 |
문상철 (2014). 국내 주택 방범인증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경찰청 원룸방범인증제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7 |
박경돈, 박민정 (2010). 지방자치단체 담장 허물기 사업의 정책효과분석 -범죄예방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4(1), 203-223.
|
8 |
박현호 (2011). 주거시설 CPTED 가이드라인 국가표준 KS A 8801(안) 고찰. 산업경영논총, 18, 61-78.
|
9 |
박현호 (2017).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와 범죄과학. 서울: 박영사.
|
10 |
박현호, 조준택 (2014). 건축물 침입에 이용되는 침입수법 및 도구의 유형화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 57-86.
|
11 |
박형민, 황지태, 황정인, 황의갑, 박경돈 (2009).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CPTED)의 제도화 방안(II).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
12 |
양충훈, 최보연, 박남현, 김기수 (2016). 학교 주변 원룸건축의 범죄예방환경계획(CPTED) 구성요소별 사례분석-충북대학교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6(2), 1137-1142.
|
13 |
이경훈, 강석진 (2011). 공동주택 범죄예방 설계의 이론과 적용. 문운당.
|
14 |
이호상 (2013). 커뮤니티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방법론 연구 -서울시 범죄 예방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14, 425-437.
|
15 |
정윤혜, 이유미, 이윤재 (2016). 도시형생활주택의 범죄예방환경설계 측면에서 본 주거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서울시 관악구 원룸형 주택 1인가구 5개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6(6), 39-50.
|
16 |
정일훈, 양진석 (2010). 환경설계(CPTED)를 활용한 도시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7(4), 434-446.
|
17 |
조영진 (2015). 범죄예방 환경조성을 위한 범죄위험평가 도입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18 |
조영진, 김용국 (2016) 건축물 범죄안전 디자인 성능에 관한 연구 -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범죄 안전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19 |
최우철, 나준엽 (2017). CPTED 평가지표를 반영한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의 범죄예방 디자인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47, 263-274.
|
20 |
통계청 (2016). 2015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 통계청.
|
21 |
Amemiya, M., & Hino, K. (2009). Guide for Surveys for safe neighborhoods from Crime. Building Research Institute.
|
22 |
이윤호 (2016). 현대사회와 범죄. 서울: 박영사.
|
23 |
Cozens, P. M., Pascoe, T., & Hillier, D. (2004). Critically review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cured-by-design for residential new-build housing in Britain. Crime Prevention and Community Safety, 6(1), 13-29.
DOI
|
24 |
Fennelly, L. (2016). Effective physical security. Butterworth-Heinemann.
|
25 |
Kitchen, T. (2005). New urbanism and CPTED in the British planning system: Some critical reflections.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342-357.
|
26 |
State of Western Australia (2006). Designing Out Crime Planning Guidelines.
|
27 |
Tseloni, A., Thompson, R., Grove, L., Tilley, N., & Farrell, G. (2017). The effectiveness of burglary security devices. Security Journal, 30(2), 646-664.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