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8/eamj.2020.032

The Development of the Items on Class Critiques Involving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Yu, Ji Won (The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Hwang, Hye Jeang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Chosu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tems on class critiques based on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Namely, this study deals with the items on how pre-service or in-service teachers understand and comment on mathematics instruction on their own instruction or peers' instruction. To accomplish this, first of all the draft items on instructional reviews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y(Hwang, 2018). In order to revise and develop the draft items, the experimental study was executed. The experimental study was done by the subject of 11 groups who are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educational college of C University. The subject was supposed to watch an in-servic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excellent instruction(study) video and to comment the instruction video on the draft items on class critiques. While analyzing the comments of the subject, the revised items on the class critiques were to be develop. Based on this study, from now on, the final and ideal items on the class critiques would be establish to reflect and comment teachers' instruction.
Keywords
Class Critiques; The Items on Class Critiques; Mathematical Competenc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성우 (2011). 수업 비평문에 나타난 초등영어 예비교사들의 교육적 안목 탐색. 영어영문학 연구, 53(3), 21-46.
2 강옥기 (2000). 수학과 학습지도와 평가론. 서울: 경문사.
3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2012).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4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5 권종겸 (2014). 반성적 수업 분석지를 활용한 교육실습에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교사행동 및 인식 변화. 한국수학사학회지, 27(5), 365-384.   DOI
6 김남균, 유제정 (2015).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관점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54(1), 1-11.
7 김소형, 김용석, 한선영 (2016).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 55(2), 171-192.
8 김은지 (2014). 수업 성찰 저널에 나타나는 수학교사의 성찰 수준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9 박경미 외 42명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연구보고서 BD15120005.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0 박상철 (2016). 문학 수업 '비평 텍스트' 분석 연구-수업 비평 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1 방정숙 (2014).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399-424.
12 방정숙, 선우진 (2015).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625-647.
13 방정숙, 선우진 (2016).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259-281
14 방정숙, 권민성, 선우진 (2017). 수학 교육에서 노티싱(Noticing)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교수학, 19(4), 795-817.
15 소경희 (2012).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 활용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교육과정연구, 30(1), 59-79.
16 김유경 (2017).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93-111.
17 엄훈 (2010). 수업 비평 개념에 대한 대안적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3(2), 79-101.
18 이경화, 이은정, 박미미, 송창근 (2017).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중등수학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인식. 수학교육학연구, 27(3), 469-489.
19 이선 (2017). 녹화된 모의수업 동영상과 동료협의를 통한 초등영어 예비교사들의 수업성찰에 대한 분석. 영상영어교육, 18(1), 233-253.
20 이혁규 (2007). 수업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인류학연구, 10(1), 151-185.
21 임성만 (2017).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보는가?-예비교사들의 수업 경험과 비평을 통해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99-213.   DOI
22 임찬빈.이화진.최승현.오은순.이경언.이수정.노은희.권순달 (2006).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 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황혜정 (2013). 교사 의견 조사에 기초한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7(1), 39-62.
24 황혜정 (2018). 수학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32(1), 97-111.
25 Star, J. R., & Srtickland, S. K. (2008). Learning to observe: Using video to improv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no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 107-125.   DOI
26 Stockero, S. L., & van Zoest, L. R. (2013). Characterizing pivotal teaching moments in beginning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6(2), 125-147.   DOI
27 van Es, E. A., & Sherin, M. G. (2002). Learning to notice: Scaffolding new teachers; interpretations of classroom interaction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24, 244-27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