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나지연, 송진웅(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검사 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개관과 분석(1990-2009). 초등과학교육, 29(3), 292-306.
|
2 |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
3 |
박재용, 이기영(2021). 과학자의 연구 사례에 관한 비네트 개발 및 효과 탐색. 초등과학교육, 40(1), 81-99.
|
4 |
방미정, 김효남(2010). 초등학생의 인지 수준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77-291.
|
5 |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
6 |
강석진(2012).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의 관계. 대한화학회지, 56(3), 378-385.
DOI
|
7 |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교육부.
|
8 |
김동욱, Shigeki KADOYA(2008). 한국초등학교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과학⋅수학교육연구, 31, 43-50.
|
9 |
김희정, 김성원(2013).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66-283.
DOI
|
10 |
김선영(2008). 과학의 본성 교수를 위한 과학사의 활용. 생물교육, 36(3), 266-274.
DOI
|
11 |
서윤경, 전영석(2020).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종합적 과학재능 검사 도구의 개발: 수행형 검사 수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3), 347-358.
DOI
|
12 |
성기석, 신명경, 김은정(2020).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41(2), 147-154.
DOI
|
13 |
성민웅, 곽대오, 김영수(2000). 과학의 본성에 대한 중등학생들의 견해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80-692.
|
14 |
소원주, 김범기, 우종옥(1998).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27-136.
|
15 |
심규철, 박종석, 이기영, 손정우, 문홍주, 박재용, 배미정, 소영무, 안성수, 이순영, 전병희, 조향숙(2018). 고등학교 과학 탐구 실험. 비상교육.
|
16 |
심은지, 최승언, 김찬종(2019). 고등학생의 과학의 본성이해를 위한 과학사 롤플레잉게임(SHRPG) 개발 및 적용: 대륙이동설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45-57.
DOI
|
17 |
이광호(2005). SPSSWIN을 활용한 기초통계분석. 교우사.
|
18 |
이영희(2014).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77-691.
DOI
|
19 |
이영희, 손연아, 김가람(2014). 초등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분석: 4가지 영역의 과학적 소양을 기준으로. 초등과학교육, 33(2), 207-216.
|
20 |
이영희(2017). 과학의 본성. 교육과학사.
|
21 |
이은아(2001). Development of a pool for test-items to assess students' progress in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based on AAAS'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2 |
이항로(2011). 과학 영재의 과학 본성과 탐구 관점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511-530.
DOI
|
23 |
장명덕(2014).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
24 |
장병기(2004).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조사하기. 초등과학교육, 23(2), 159-171.
|
25 |
정윤숙, 김성원(2015). 과학 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95-905.
DOI
|
26 |
최준환, 남정희, 고문숙, 고미례(2009).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21-239.
|
27 |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한국과학창의재단.
|
28 |
홍훈기, 박은이(2010).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49-260.
DOI
|
29 |
홍훈기, 박은이(2011).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91-405.
DOI
|
30 |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7.
DOI
|
31 |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057-1095.
DOI
|
32 |
Aikenhead, G., Ryan, A. G., & Fleming, R. W. (1987). High-school graduate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Methods and issues in monitoring student views. Science Education, 71(2), 145-161.
DOI
|
33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University Press.
|
34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Oxford University Press.
|
35 |
An, Y. L., Shin, H. S., & Kim, H. J. (2012). Development of views on science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experienced scientific knowledge, atom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3), 428-445.
DOI
|
36 |
Chen, S. (2006).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views on nature of science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90(5), 803-819.
DOI
|
37 |
Chen, S., Chang, W. H., Lieu, S. C., Kao, H. L., Huang, M. T. & Lin, S. F. (2013). Development of an empirically based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young students' ideas about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4), 408-430.
DOI
|
38 |
Chiappetta, E. L., & Koballa, T. R. (2004). Quizzing students on the myths of science. Science Teacher, 71(9), 58-61.
|
39 |
Chiappetta, E. L., & Koballa, T. R. (2015).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Developing fundamental knowledge and skills. Pearson.
|
40 |
Kang, S. J., Scharmann, L. C., & Noh, T. H. (2004). Examining students' views on the NOS results from Korean 6th, 8th, and 10th graders. Science Education, 89(2), 314-334.
DOI
|
41 |
Lederman, J. S., & Khishfe, R.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Form D. Unpublished paper.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
42 |
Lederman, J. S., & Ko, E. K. (2004). Views of nature of science, Form E. Unpublished paper.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
43 |
Lederman, N. G., & O'Malley, M. (1990). Students' perceptions of tentativeness in science: Development, use, and sources of change. Science Education, 74(2), 225-239.
DOI
|
44 |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DOI
|
45 |
Lederman, N. G., & Abd-El-Khalick, F. (1998). Assessing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 historical perspective.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331-350). Kluwer Academic.
|
46 |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DOI
|
47 |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In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831-880). Lawrence Erlbaum.
|
48 |
McComas, W. F. (1998).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Dispelling the myths.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53-70). Kluwer Academic.
|
49 |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DOI
|
50 |
McComas, W. F., Clough, M. P ., & & Almazroa, H. (1998). A review of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3-39). Kluwer Academic.
|
51 |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c Press.
|
52 |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20). NSTA position statement: The nature of science. https://www.nsta.org/nstas-official-positions/nature-science
|
53 |
Rezba, R. J., Sprague, C. R., McDonnough, J. T., & Matkins, J. J. (2007). Learning and assessing science process skills.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
54 |
Rosenthal, R., & Fode, K. L. (1963). The effect of experimenter bias on the performance of the albino rat. Behavioral Science, 8(3), 183-189.
DOI
|
55 |
Solomon, J., Scott, L., & Duveen, J. (1996). Large-scale exploration of pupil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0(5), 493-508.
DOI
|
56 |
Tsai, C., & Liu, S. (2005).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towards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3), 1621-1638.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