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태형(2013).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그래픽 디자인의 의미 분석: 롤랑바르트(Roland Rarthes)의 기호론, 신화론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 |
교육부(2015). 고등학교 교양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
3 |
김동렬, 최송현(2021b). 국립공원 자연관찰로 해설판의 기호 간 상호관계와 전시 형식, 초등 과학교과와의 연계성 분석. 환경교육, 34(3), 251-271
DOI
|
4 |
공영태, 김성규(2006). 일본의 초등학교 학습지도요령에서 보이는 환경교육 내용의 고찰. 과학교육연구, 29(1), 103-122.
|
5 |
Parsa, R. M., & Torabi, Z. (2015). Explaining the concept of identity and sense of place i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Kuwait Chapter of Arabia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Review, 4(5), 27-43.
DOI
|
6 |
김지희(2004). 장소정체성의 형성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서울 테헤란밸리를 사례로. 지리학논총, 44, 1-28.
|
7 |
김혜은(2017).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슬로건 티셔츠 분석.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5-76.
|
8 |
박나은(2017). 마을 탐사 활동을 통한 장소감의 발달 특성, 사회과교육연구, 24(3), 115-130.
|
9 |
서보욱, 김도연, 전부기, 이주형(2016). 우리나라 국립공원 탐방 프로그램의 계절별 현황 및 겨울철 탐방객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3), 49-60.
DOI
|
10 |
이형관, 배정한(2016).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도시 장소 정체성의 상실. 2016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3-4.
|
11 |
Bell, P. A., Greene, T. C., Fisher, J. D., & Baum, A. (2001). Environmental psychology (5th ed.). Orlando, FL: Harcourt College Publishers.
|
12 |
Ginting, N., Rahman, N. V., Subhilhar, S., & Wahid, J. (2018). The role of place identity in planning heritage tourism. The Indonesian Journal of Planning and Development, 3(2), 56-66.
DOI
|
13 |
공영태, 김성규(2013). 7차 교육과정에 따른 10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산성비 관련 내용 진술의 비교 분석. 22(7), 811-821.
DOI
|
14 |
교육부(2015). 중학교 선택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
15 |
김경용(2002).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
16 |
Tuan, Y. (1974).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17 |
이예지, 황희준(2014). 초등학교 공간에서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장소감 형성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 학회논문집, 21(1), 13-22.
|
18 |
김혜영, 김세준(2014).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 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0, 185-217.
|
19 |
김민성, 윤옥경(2013). 장소감 측정고구의 개발과 적용: 초등학생의 성별 차이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2), 17-28.
DOI
|
20 |
김세리(2013). 시각과 이미지. 서울: 이담북스.
|
21 |
박봉우, 이주희, 김범수, 이원희, 배현미(2001). 숲과 자연환경해설 안내. 서울: 수문출판사.
|
22 |
박승규(2013). 정체성,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노두. 대한지리학회지, 48(3), 453-465.
|
23 |
이나연, 권헌교, 심규원(2013). 국립공원 환경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자연환경안내도 인식 분석. 국립공원연구지, 4(2), 71-76.
|
24 |
이석환(2007). 장소의 이해와 해석. 서울: 레인보우북스.
|
25 |
이은영, 김보연(2020).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추상적 책표지 디자인에 관한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8(3), 357-362.
DOI
|
26 |
Barthes, R. (1972). Critical essays. Translated by Richard Howard.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
27 |
김동렬, 최송현(2021a). 국립공원 자연관찰로 해설판의 장소성 의미와 현장체험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색: 월악산 국립공원 자연관찰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3-25.
|
28 |
이재석(2019).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역사계 박물관 전시 서사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9 |
조우, 유기준(2004). 탐방객 특성에 기초한 도시공원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97-305.
|
30 |
Deleuze, G. (2004). Difference and repetition [Difference et repetition]. Trans Paul Patton, London: Continuum Publishing Group.
|
31 |
Oktaviani, D., & Saudi, M. S. (2020). Analysis of tourism perception using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toward jayagiri hiking trail bandung. Solid State Technology, 63(3), 4009-4018.
|
32 |
김혜진(2018).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7(3), 275-287.
|
33 |
Relph, E. (179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
34 |
Suksri, C., Phongkhieo, N. T., & Emphandhu, D. (2021).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learning experience in nature trail of national park visitors, Kasetsart. Journal of Social Science, 42(2), 339-344.
|
35 |
Dorwart, C. E., Moore, R. L., & Leung, Y. F. (2009). Visitors' perceptions of a trail environment and effects on experiences: A model for nature-based recreation experiences. Leisure Sciences, 32(1), 33-54.
DOI
|
36 |
Isfandiyary, F. H. (2017). The aspects of semiotics using barthes's theory on a series of unfortunate events movie poster. Diponegoro University.
|